맨위로가기

이정 (월경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李貞)은 당나라 태종의 아들이자 월왕으로, 무측천의 통치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631년 한왕에 봉해진 후 여러 지역의 도독과 자사를 역임하며 종실 제왕 중 유력한 인물로 성장했다. 무측천이 권력을 잡자, 이정은 이씨 왕조 부흥을 꾀하며 이충을 앞세워 반란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정은 자결하고, 그의 가족들도 처형당했다. 이후 중종 복위 후 명예가 회복되었으며, 개원 연간에 옛 봉지로 복귀되고 '경(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 태종의 황자 - 당 고종
    당 고종은 당 태종의 아들이자 당나라의 제3대 황제로,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등 영토를 확장했으나 말년에 무측천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 627년 출생 - 서혜
    서혜는 문인 집안 출신으로 당 태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간언을 올리기도 했지만 24세에 사망하여 현비로 추존, 소릉에 배장되었다.
이정 (월경왕)
기본 정보
당 태종
당 태종
이름이정(李貞)
시호월경왕(越敬王)
생몰년도627년 ~ 688년 9월 21일(음력 8월 22일)
가계
아버지당 태종
어머니모빈(郜嫔)
배우자최씨(崔氏)
자녀이융기(李隆基), 이융범(李隆范), 이융업(李隆业), 이융례(李隆礼), 이융장(李隆將)
관직 및 작위
봉작월왕(越王)
관직안동도호(安東都護)
군사 지위태원도행군원수(太原道行軍元帥)
천병도대총관(天兵道大總管)
기타
관련 사건서경업의 난

2. 생애

이정(越景王)은 이세민연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관 5년 한왕에 봉해졌고, 정관 7년 서주 도독에 임명되었다. 정관 10년 원왕으로 옮겨 봉해졌다가 곧 월왕으로 개봉되었으며, 양주 도독으로 전임되어 실봉 800호를 받았다. 정관 17년 상주자사로 전임되었다가 정관 23년 실봉 1000호까지 늘어났다. 영휘 4년 안주 도독에 임명되었고, 함형 연간(670년~674년)에 다시 상주 자사로 전임되었다. 이정은 기사(騎射)를 잘했고, 문장과 사학에 통달했으며, 관청 업무도 유능하여 종실 제왕 중에서도 유력했다.

무측천이 조정을 다스리게 되자, 이정은 태자태부·예주 자사의 직위를 더했다. 수공 4년 명당이 완성되고, 무측천에 의한 이씨 숙청이 의심스러워지자, 이정 등은 이씨에 의한 탈권을 계획했다. 이들은 성급하게 거사를 진행했으나, 이충의 군대는 궤멸되었다. 이정은 상채를 함락시키고 7000명의 병사를 모아 오영(五營)으로 나누었으나, 뒤를 잇는 제왕들의 기병이 없었고 군대의 사기도 낮았다. 9월, 무측천은 곡숭유와 잠장천 등에게 10만 명의 병사를 주어 이정을 토벌하게 했고, 이정 부자의 속적(屬籍)을 삭탈하고 성을 '훼(虺)'로 고치게 했다. 곡숭유 등이 예주에 도착하자, 이정의 막내아들 이규와 배수덕 등이 항전했으나 궤멸되었다. 이정은 독약을 먹고 죽었고, 이규는 그의 어머니를 목매어 죽인 후 자살했으며, 배수덕도 목을 매어 자살했다.

개원 5년, 옛 봉지로 복귀되었고, 경(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1. 배경

이정은 627년 당 태종과 후궁 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631년 한왕(韓王)에 봉해졌고, 633년 서주(徐州) 도독에 임명되었으나, 실제로 부임했는지는 불분명하다. 636년 원왕(元王)으로 개봉(改封)되었다가 다시 월왕(越王)으로 개봉되었고, 양주(揚州) 도독에 임명되어 실제로 부임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실봉(實封) 800호를 하사받았다. 643년 상주(相州) 자사로 전임되었다. 649년 당 태종이 사망하고 이정의 동생 이치가 즉위했다. 653년 안주(安州) 도독으로 전임되었다. 670년~674년 함형 연간에 다시 상주 자사로 전임되었다.

2. 2. 무측천에 맞선 반란

683년, 당 고종이 사망하고 아들 이철이 즉위했으나, 실권은 황태후 무씨에게 있었다.[1] 684년, 무측천은 중종을 폐위시키고 예종을 옹립하여 권력을 더욱 강화했다. 무측천이 당나라를 전복하고 자신의 왕조를 세울 계획이라는 의심이 커지면서, 이정은 예주(豫州, 대략 오늘날의 주마뎬, 허난성) 자사로 임명되었다.

이정은 당 고조의 아들들인 한왕 이원가, 곽왕 이원궤, 노왕 이령궤 등과 무측천을 무력화할 계획을 모의했다. 688년 9월 16일, 이정의 아들 이충이 박주(博州, 대략 오늘날의 랴오청, 산둥성)에서 먼저 반란을 일으켰으나,[1] 다른 왕자들은 준비가 덜 되어 이정만이 호응했다. 이정은 상채(上蔡, 오늘날의 주마뎬)를 점령하고 병력을 모았으나, 적인걸 등이 이끄는 토벌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정은 패배를 직감하고 자결했으며, 그의 아들 이규도 어머니를 죽이고 자살했다.

2. 3. 사후

무측천은 이정의 반란을 계기로 이원가, 이령규 등 황족들을 숙청하고, 그들의 가족들을 살해하거나 유배 보냈다. 705년, 무측천이 축출되고 당 중종이 복위하면서 이정의 성과 황족 신분은 회복되었으나, 무삼사와 상관완아의 반대로 작위는 회복되지 못했다.[1] 716년(개원 4년), 당 현종 때 이정과 이충은 재매장되고 명예가 회복되었다.[1] 개원 5년(717년)에는 옛 봉지로 복귀되었고, 경(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3.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당 태종
어머니덕비 연씨 (德妃 燕氏)609년 ~ 671년
아들이충 (琅邪王 李沖)첫째 아들, ? ~ 688년, 아들: 이급(李汲)
아들이흡 (李洽)둘째 아들
아들심국공 이온 (沈國公 李溫)셋째 아들
아들상산공 이천 (常山公 李蒨)넷째 아들
아들이규 (李規)다섯째 아들
아들령회공 이진자 (臨淮公 李珍子)여섯째 아들


4. 묘비명

이정에 대한 묘비명은 그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반란의 실패를 기록하고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