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로 발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로 발보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치인이자 항공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파시스트당에 가입하여 로마 진군에 참여했다. 1926년 공군 장관으로 임명되어 이탈리아 왕립 공군을 건설하고 대서양 횡단 비행을 지휘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33년 리비아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1940년 2차 세계 대전 중 아군 오인 사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무솔리니의 암살 지시 의혹을 낳았으며, 파시즘 이후 그의 이름을 딴 많은 기념물과 거리가 이름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라라 출신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145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도미니크 수도사이자 종교 개혁가로,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정치적, 종교적 개혁을 시도했으나 교황과 대립하여 파문당하고 화형에 처해졌다. - 페라라 출신 -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는 17세기 초 건반 악기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토카타, 칸초나, 리체르카레, 변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군인 - 조반니 메세
조반니 메세는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동부 전선과 튀니지 전역에서 군 지휘관을 역임했으며, 종전 후 이탈리아 협동 교전군 참모총장과 상원 의원을 지낸 이탈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의 군인 - 마테오 마리아 보이아르도
마테오 마리아 보이아르도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으로, 기사도 시 《사랑에 빠진 오를란도》를 통해 르네상스 궁정 문화를 반영하고 후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 파시스트 - 카를로 카라
카를로 카라는 이탈리아의 화가로, 미래주의와 형이상주의를 거쳐 고전주의로 회귀했으며, 아나키스트에서 파시즘 지지자로 정치적 성향이 변화했고, 주요 작품으로 《아나키스트 갈리의 장례식》이 있다. - 이탈리아 파시스트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이탈로 발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접두사 | 이탈리아 원수 |
이름 | 이탈로 발보 |
![]() | |
출생일 | 1896년 6월 6일 |
사망일 | 1940년 6월 28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왕국 페라라 |
사망지 | 이탈리아령 토브루크 |
키 | 1.74m |
배우자 | 1924년 에마누엘라 플로리오와 결혼 |
자녀 | 3명 |
소속 정당 | 이탈리아 전투 파시 (1919–1921) 국가 파시스트당 (1921–1940) |
경력 | |
소속 | MVSN 레기아 항공 |
복무 기간 | 1915–1940 |
최종 계급 | 마레스찰로 델 아리아 (공군 원수) |
주요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북아프리카 전역 |
관직 | |
이탈리아령 리비아 총독 | 시작: 1934년 1월 1일 종료: 1940년 6월 28일 |
군주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총리 | 베니토 무솔리니 |
이전 | 직책 신설 |
이후 | 로드olfo 그라치아니 |
항공부 장관 | 시작: 1929년 9월 12일 종료: 1933년 11월 6일 |
총리 | 베니토 무솔리니 |
이전 | 베니토 무솔리니 |
이후 | 베니토 무솔리니 |
쿼드룸비르 | 기관: 파시즘 대평의회 동료: 미켈레 비안키 (사망 1930), 에밀리오 데 보노, 체사레 마리아 데 베키 시작: 1923년 1월 12일 종료: 1940년 6월 28일 |
대의원 | 시작: 1924년 5월 24일 종료: 1939년 3월 2일 |
선거구 | 에밀리아-로마냐 |
2.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921년, 발보는 국가 파시스트당에 입당하여 페라라 파시스트 조직의 서기가 되었다. 그는 파시스트 갱들을 조직하여 '셀리바노'라는 별명의 그룹을 결성했다. 이들은 지역 지주들을 위해 파업을 방해하고, 포르토마조레, 라벤나, 모데나, 볼로냐에서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를 공격했다. 이 그룹은 페라라의 에스텐세 성을 습격하기도 했다.[8]
1926년 11월 6일, 발보는 항공 경험이 많지 않았음에도 공군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0] 그는 집중적인 비행 훈련 과정을 거쳤고 이탈리아 왕립 공군(''Regia Aeronautica Italiana'')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1928년 8월 19일, 그는 공군 장군이 되었고 1929년 9월 12일에는 항공부 장관이 되었다.[10]
1933년 11월 7일, 발보는 이탈리아령 리비아 식민지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무솔리니는 발보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의 새로운 지평을 넓히려 했다. 발보의 임무는 서쪽의 툼모에서 차드호로, 동쪽의 쿠프라에서 앵글로-이집트 수단으로 이어지는 지역에서 이탈리아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었다. "티베스티-보르쿠 지역"과 "사라 삼각지대" 확보를 통해 프랑스 제3공화국과 영국으로부터 추가적인 영토 할양을 요구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무솔리니는 독일 제국 식민지였던 카메룬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이탈리아령 카메룬과 리비아를 연결하는 영토 회랑을 구상했다. 이는 이탈리아에게 대서양 항구를 제공하여 세계 강국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수에즈 운하와 지브롤터 장악은 이러한 구상의 최종 목표였다.[27]
1938년 영-이탈리아 협정으로 영국과 이탈리아 왕국 간 긴장이 완화되었지만, 발보는 이 협정이 무솔리니가 어길 수 있는 약속이라고 생각했다. 뮌헨 위기 당시 발보는 10,000명의 군대를 되찾았다.[29]
1896년 이탈리아 왕국 페라라의 콰르테사나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정치적으로 활발했던 발보는 14세에 주세페 가리발디의 아들 리치오티 가리발디를 따라 알바니아 봉기에 참여하려 했다.[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이탈리아가 중립을 선언하자, 발보는 연합국 측 참전을 지지하며 여러 친전쟁 집회에 참여했다. 1915년 이탈리아가 참전하자 이탈리아 왕립군에 장교 후보생으로 입대, 알피니 산악 보병으로 복무했다. 제8 알피니 연대 알피니 대대 "발 펠라"에서 첫 임무를 수행했고, 1917년 10월 16일 비행 훈련에 자원했다. 며칠 후 카포레토 전투에서 이탈리아 전선이 붕괴되자, 발보는 제7 알피니 연대 알피니 대대 "피에베 디 카도레" 소속 돌격 소대를 지휘하며 전선으로 복귀했다. 종전 시점에 발보는 은메달 2개와 은메달 2개를 받았고, 혁혁한 공훈으로 대위(''Capitano'')로 진급했다.[4]
전후 발보는 피렌체에서 1914-15년에 시작한 학업을 마치고 법학 학위와 사회 과학 학위를 취득했다. "주세페 마치니의 경제적, 사회적 사상"에 관한 그의 졸업 논문은 애국적 역사가 니콜로 로돌리코의 지도를 받았다. 발보는 이탈리아 공화당원이었으나, 사회주의자와 관련 노동조합 및 협동조합은 혐오했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 은행원으로 근무했다.
3. 파시스트당 활동
26세의 발보는 로마 진군의 주요 기획자 4인방인 사두정치자 중 막내였다. 미켈레 비안키, 체사레 마리아 데 베키, 에밀리오 데 보노와 함께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9] 1923년, 발보는 파시즘 대의회의 창립 멤버가 되었고, 같은 해 반파시스트 교구 사제 조반니 민초니 살해 혐의로 기소되었다. 1924년에는 파시스트 민병대의 사령관이 되었으며, 1925년에는 국민 경제 차관이 되었다.
종전 후, 발보는 피렌체의 법률 학교에서 "주세페 마치니의 경제와 사회 이론"이라는 논문으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 민족주의자로서 이탈리아 공화당에 입당하여 반 왕당파 운동에 가담하면서도, 사회주의 정당과도 격렬하게 대립했다.
1921년 발보는 파시스트당 페라라 지부 서기에 취임했다. 발보는 사병 부대를 조직하고, 지역에서 파업을 벌이던 사회주의 그룹과 시가전을 벌였다. 발보의 사병 부대는 지주나 자산가들의 후원을 받아 에스텐세 성을 점령하기도 했다.
1922년 10월 28일 로마 진군으로 무솔리니가 파시스트 정권을 수립하자, 발보는 당 간부로서 "라스" 직책에 지명되었다. 발보는 미켈레 비안키, 에밀리오 데 보노, 체사레 마리아 데 베키 등과 함께 파시스트 4인방으로 불렸다.
1923년, 발보는 파시스트 평의회 창립 멤버가 되었다. 같은 해 반정부 운동을 지도했던 주세페 미우조니 사제를 암살한 혐의로 고발되었다. 1924년, 발보는 흑셔츠대 총감에 취임하여 군무에 복귀했다.
4. 공군 장관 및 항공 업적
발보는 여러 차례의 대서양 횡단 비행을 이끌었다. 1930년 12월 17일부터 1931년 1월 15일까지는 이탈리아 오르베텔로 수상기 기지에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까지 12대의 사보이아-마르체티 S.55 비행정을 동원한 비행이었다.[10]
1933년 7월 1일부터 8월 12일까지는 ''십 년 비행''으로 불리는 비행을 이끌었는데, 24대의 수상기가 로마에서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세기의 진보 박람회까지 왕복 비행한 것이다. 이 비행은 8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졌다.[10][11][12] 이 업적을 기리기 위해 시카고는 구 7번가를 "발보 드라이브"로 개명하고 그를 기리는 대규모 퍼레이드를 열었다.[10] 솔저 필드 남쪽의 호반 산책로에는 무솔리니가 시카고시에 기증한 발보 기념비가 여전히 남아있다.[10]
발보는 1933년 6월 26일 ''타임'' 잡지 표지에 실렸다.[16] 미국에 머무는 동안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그를 점심 식사에 초대했고, 수훈 비행 십자장을 수여했다.[17] 수족은 발보를 "비행하는 독수리 추장"으로 명예롭게 입양했다.[18]
뉴욕에서 돌아오는 비행은 7월 26일 클라렌빌의 쇼얼 하버에서 정차했다. 비행정이 사용했던 만을 내려다보는 도로의 이름은 발보 드라이브로 개명되었고, 현재까지 이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1933년 8월 12일, 발보의 편대는 아조레스 제도, 리스본, 로마로 가기 위해 클라렌빌을 출발했다.[20] 이탈리아로 돌아온 후 그는 새로 창설된 공군 원수 (''Maresciallo dell'Aria'') 계급으로 승진했다.[10]
5. 리비아 총독
1934년 1월 1일,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페잔이 합쳐져 새로운 식민지가 형성되었고, 발보는 리비아로 이주했다. 당시 발보는 질투심과 개인주의적 행동으로 당내 불화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 총독 임명은 무솔리니가 그의 명성과 반파시스트 성향이 있을 수 있는 이탈리아의 움베르토 2세 왕세자와의 친밀한 관계 때문에 위협으로 여겨 로마 정치에서 사실상 추방한 것이라는 의혹이 있었다. 이탈리아 신문은 발보의 이름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언급할 수 없었다고 한다. 1937년 3월 22일자 ''타임'' 지의 "발보랜드의 베니토"라는 기사는 무솔리니와 발보 사이의 갈등을 다루었다. 총독 재임 기간 동안 발보는 안식일에 사업을 닫은 유대인들에게 채찍질을 가하도록 명령하기도 했다. 발보는 트리폴리타니아와 키레나이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대리석 개선문을 의뢰했고, 이 개선문은 1937년 3월 16일에 공개되었다.
1935년, "아비시니아 위기"가 악화되면서 발보는 이집트와 수단을 공격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무솔리니가 에티오피아 침공 의도를 분명히 하자, 이탈리아와 영국의 관계는 더욱 긴장되었다. 발보는 영국이 수에즈 운하를 폐쇄하면 이탈리아군 수송선이 에리트레아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 리비아에 증원을 요청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자신을 국민적 영웅으로 만들고 정치 무대로 복귀시킬 것이라고 계산했다. 제7 흑셔츠 사단(치레네)과 항공기 700대가 즉시 이탈리아에서 리비아로 파견되었다. 발보는 사막 연구가 라슬로 알마시로부터 이집트와 수단 진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을 수도 있다.[27]
1935년 9월 1일까지 발보는 영국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이집트 국경을 따라 이탈리아군을 비밀리에 배치했다. 그러나 무솔리니는 이집트와 수단 공격이라는 발보의 계획을 거부했고, 런던은 로마로부터 그의 리비아 배치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다.[28] 이후 이탈리아와 영국은 이탈리아-영국 협정을 체결하여 위기를 일시적으로 해소했다.
이 시기 리비아 방면군의 이탈리아 공군기는 이집트나 수단 상공을 비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발보 본인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리비아로 비행을 했다. 독일 공군의 에른스트 우데트도 발보에 의한 항공 부대 훈련에 참가한 적이 있으며, 각국 공군과의 공동 훈련도 추진하여 공군 부대 강화에 힘썼다.
내정 면에서는 인프라 정비를 추진하고 이민을 유치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했으며, 이슬람계 주민에게 파시즘을 침투시키기 위한 선전을 했다. 그러나 인종주의적인 정책에는 반대하여, 유대인을 박해하는 인종법에 공적으로 반대한 유일한 파시스트당 간부였다.
6. 제2차 세계 대전과 죽음
이 시기 이탈리아 항공기는 이집트와 수단을 자주 비행했고, 발보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로 여러 차례 비행하며 영국령 동아프리카 (현대 케냐)와의 국경을 비행하기도 했다. 1939년 1월에는 독일 대장 에른스트 우데트와 함께 비행했다.[29]
독일과의 군사 및 외교적 협력 징후가 뚜렷해졌고, 독일 군사 임무단이 벵가지에 주둔했으며, 독일 조종사들은 항법 훈련 비행에 참여했다.[29]
발보는 ''발비아 가도'' 건설 사업을 시작하고, 무슬림을 파시스트 대의에 끌어들이려 노력했다. 1938년 유대인 차별 법률에 강력히 반대한 유일한 파시스트 정권 인물이었다.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발보는 무솔리니의 아돌프 히틀러 지지에 불만을 표하며 이탈리아가 영국 편에 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지지자는 거의 없었다. 이탈리아가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자 "여러분 모두 독일인의 구두를 닦게 될 것입니다!"라고 외쳤다.[4]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의 대독 선전포고 당시, 발보는 리비아 총독이자 이탈리아령 북아프리카(ASI)의 최고사령관이었다. 이집트 침공을 계획하는 책임을 맡았고, 프랑스 항복 후 튀니지 국경의 병력과 물자를 이집트 국경으로 이동시켰다. 무솔리니와 피에트로 바돌리오 원수에게 우려를 표명했지만, 1940년 7월 17일 이른 시일 내에 이집트 침공을 계획했다.
1940년 7월 4일 트리폴리 외곽에 묻혔던 발보의 유해는 1970년 무아마르 카다피의 위협으로 이탈리아 오르베텔로에 안장되었다.
6. 1. 사망 원인 논란
1940년 6월 28일, 이탈로 발보는 사보이아-마르케티 SM.79에 탑승하여 리비아의 토브루크 비행장으로 향하던 중, 영국 항공기의 공격을 받은 직후에 도착했다. 비행장을 방어하던 이탈리아 대공포대가 이 항공기를 영국기로 오인하여 착륙을 시도하는 발보의 항공기에 사격을 가했다. 이로 인해 항공기는 격추되었고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30]
목격자인 펠리체 포로 장군은 대공포대 역할을 하던 순양함 산 조르조가 발보의 항공기에 사격을 시작했고, 뒤이어 비행장의 대공포가 발포했다고 보고했다. 어느 쪽이 최종적으로 항공기 격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30]
발보가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시로 암살되었다는 소문은 결정적으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31][32][33][34] 발보의 항공기가 저고도로 태양을 향해 비행했고, 영국 브리스톨 블레넘기의 공습 직후에 도착했기 때문에 적기로 오인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35]
발보의 사망 소식을 들은 RAF 중동 사령부 사령관은 조문을 담은 쪽지와 함께 화환을 떨어뜨리도록 항공기를 파견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아군 오인 사격으로 인한 사고사로 발표했지만, 발보 유족 및 일부는 무솔리니 암살설을 주장했다. 무솔리니의 암살 동기로는 발보의 반독일 행보와 프랑스군과의 접촉 등이 거론된다. 1997년 인터뷰에서, 발보의 탑승기를 격추한 인물은, 영국군의 브리스톨 블레넘의 공격 후에 발보의 탑승기가 태양을 등지고 저공으로 진입했기 때문에 적기로 판단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7. 유산 및 평가
이탈로 발보는 파시스트 정권과의 관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항공인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이름을 딴 거리와 기념물이 여전히 존재한다. 1933년, 베니토 무솔리니는 시카고시에 발보를 기리는 기념물을 증정했다. 시카고 시내 중심부에는 발보 드라이브라는 유명한 거리가 있다. 2017년, 이 거리의 이름을 변경하려는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나,[37][38] 반대에 직면한 시 당국은 대신 시카고의 주요 언론인이자 흑인 린칭 반대 운동가, 여성 참정권 운동가였던 이다 B. 웰스를 기리기 위해 콩그레스 파크웨이의 이름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39]
사후 이탈리아에서는 파시스트 잔재 청산 과정에서 그의 이름을 딴 시설들이 개명되었다.[40] 예를 들어, 1943년 7월 연합군에 의해 해방된 팔레르모에서는 피아차 이탈로 발보가 이전 이름인 피아차 볼로냐로 되돌아갔고, 산레모에서는 "비아 이탈로 발보"가 파르티잔 루이지 누볼로니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Jews in Fascist Italy: A History
Enigma Books
2001
[2]
서적
Fascist Eagle: Italy's Air Marshal Italo Balbo
[3]
서적
Italy: A Modern History
[4]
서적
Italy: From Revolution to Republic, 1700 to the Present
[5]
서적
La massoneria e l'Italia. Dal 1800 ai nostri giorni
Edizioni Paoline
1979
[6]
서적
L'Italia dei Liberi Muratori. Brevi biografie di Massoni famosi
Erasmo Edizioni-Mimesis
2005
[7]
서적
La massoneria e l'Italia. Dal 1800 ai nostri giorni
Edizioni Paoline
1979
[8]
서적
Italy: From Revolution to Republic, 1700 to the Present
[9]
서적
Italy: From Revolution to Republic, 1700 to the Present
[10]
웹사이트
Italian Air Armada Hops 800 Miles (July 14, 1933)
http://archives.chic[...]
2017-05-23
[11]
웹사이트
Balbo Pillar Recalls Flight (July 22, 1965)
http://archives.chic[...]
2017-05-23
[12]
웹사이트
Balbo Here This Afternoon (July 15, 1933)
http://archives.chic[...]
2017-05-23
[13]
서적
Newfoundland Air Mails
American Air Mail Society
1984
[14]
웹사이트
Canadian Postal Archives Database
http://data4.collect[...]
2017-05-23
[15]
학술지
Great Italian armada is acclaimed by millions as it wings over the city
1933-07-20
[16]
웹사이트
TIME Magazine – U.S. Edition – June 26, 1933 Vol. XXI No. 26
https://content.time[...]
2017-05-23
[17]
웹사이트
Italo Balbo
http://www.comandosu[...]
[18]
서적
Fascist Eagle: Italy's Air Marshal Italo Balbo
[19]
서적
World War II: Italy at War
Time Life Books
[20]
웹사이트
General Italo Balbo, Unofficial Clarenville Webpage – Clarenville, Newfoundland
http://clarenville.n[...]
[21]
서적
Italo Balbo: a fascist life
Univ of California Press
1990
[22]
서적
The Lost Oasis
[23]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4]
웹사이트
Benito in Balboland
https://web.archive.[...]
[25]
서적
The Jews in Mussolini's Italy: From Equality to Persecuti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26]
서적
Italo Balbo: a Fascist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27]
서적
The Lost Oasis
[28]
서적
The Lost Oasis
[29]
서적
The Lost Oasis
[30]
학술지
Come fu abbattuto l'aereo di Balbo
1948-05-00
[31]
잡지
La morte di Balbo
1965-06-00
[32]
서적
Italo Balbo
Edizioni Utet
1986
[33]
서적
Italo Balbo
Mondadori
1998
[34]
서적
Tobruk 1940. Dubbi e verità sulla fine di Italo Balbo
Mondadori
2006
[35]
서적
Fascist Eagle: Italy's Air Marshal Italo Balbo
[36]
서적
Flying to Victory: Raymond Collishaw and the Western Desert Campaign, 1940–1941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7
[37]
뉴스
Far From Dixie, Outcry Grows Over a Wider Array of Monuments
https://www.nytimes.[...]
2017-12-05
[38]
뉴스
Monument to fascist Balbo likely to remain, but aldermen could still rename street
https://www.chicagor[...]
2018-06-22
[39]
웹사이트
Ida B. Wells Campaign
https://my.lwv.org/i[...]
2019-01-22
[40]
간행물
The meaning of monuments: remembering Italo Balbo in Italy and the United States
https://www.cambridg[...]
2019-05
[41]
웹사이트
Medaglia d'oro al valor militare BALBO Italo
http://www.quirinale[...]
Quirinale
2013-05-17
[42]
서적
Fascist Eagle: Italy's Air Marshal Italo Bal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