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현도는 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 작곡가, 프로듀서이다. 1990년대 초 현진영 앨범에 곡을 수록하며 작곡가로 데뷔, 김성재와 힙합 그룹 듀스로 활동하며 뉴잭스윙 장르를 선보였다. 듀스 해체 후 솔로 활동을 시작, D.O라는 이름으로 앨범을 발매하며 힙합 음악 외에도 다양한 시도를 했다. 이후 작곡가와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쿵푸 팬더 주제곡 "Kung Fu Fighting"을 비와 협연하고, 미국 힙합 그룹 우 탱 클랜과 작업할 뻔했다. 2010년 한국 귀국 후 팀 다큐먼트, D & D Corporation을 설립했으며, 듀스 20주년 헌정 앨범 제작, 쇼미더머니2 출연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문고등학교 중퇴자 - 윤태영 (배우)
윤태영은 1996년에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여 《아름다운 그녀》로 정식 데뷔했으며, 《왕초》를 통해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을 수상하고 2023년에는 드라마 《7인의 탈출》과 《7인의 부활》에 출연했다. - 아르헨티나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승규 (가수)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규는 그룹 코리아나 멤버로 활동했으며,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음악학과 졸업 후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 아르헨티나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김귀현
김귀현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 아르헨티나, 대한민국, 오만, 이란, 카타르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15년 한국인 최초로 오만 리그에서 뛰었고, 알나스르에서 리그컵 우승을 경험했다. - 김성재 - 강원래
강원래는 1990년대 인기 듀오 클론의 멤버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방송인으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여러 연예인과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 김성재 - 듀스 (음악 그룹)
듀스는 이현도와 김성재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힙합, R&B 듀엣 음악 그룹이며, 1993년 데뷔하여 흑인 음악을 기반으로 한 음악 스타일과 랩 댄스 트렌드를 이끌었고, 1995년 해체 후 멤버 김성재는 솔로 데뷔 후 사망, 이현도는 솔로 활동을 이어갔다.
이현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예명 | D.O |
본명 | 이현도 |
출생일 | 1972년 9월 5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가족 관계 | 부모님 슬하 2남 중 차남(막내) 아내와 슬하 1녀 |
거주지 | 서울특별시 |
학력 | 안양예술고등학교 |
장르 | 일렉트로팝 힙합 댄스 |
직업 | 가수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 음악 프로듀서 |
활동 시기 | 1990년 ~ |
종교 | 개신교 |
레이블 | Warner/Chappell Music Korea |
소속사 | D & D Corporation |
관련 활동 | 현진영과 와와 듀스 |
웹사이트 | 이현도 인스타그램 이현도 페이스북 |
2. 소속
- D.O 기획 사장 (前)
- D.O Ent. CEO (前)
- 소비어스(Sobius) 대표 (前)
- 팀 다큐먼트(Team Document) 대표 (前)
- D & D Corporation 대표 (現)
3. 학력
- 안양예고 문예창작과 졸업
4. 경력
- 前 D.O 기획 사장
- 前 D.O Ent. CEO
- 前 소비어스(Sobius) 대표
- 前 팀 다큐먼트(Team Document) 대표
- 現 D & D Corporation 대표
1990년대 초, 현진영의 앨범에 〈너에게만〉을 수록하며 작곡가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93년에는 파트너인 김성재와 함께 힙합/뉴잭스윙 그룹 듀스로 데뷔하였다.[1] 듀스는 차별화된 음악, 춤, 패션으로 주목받았으며, 1990년대 후반 선정된 한국음반 100대 명반에 《DEUXISM》과 《FORCE DEUX》 앨범을 올렸다.
1996년부터 이현도는 D.O라는 이름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듀스와 흑인 음악을 넘어 새로운 시도를 담은 음악을 선보였으나,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2000년에는 힙합/뉴잭스윙으로 돌아와 솔로 음반 "완전힙합"과 한국산 뉴잭스윙 그룹 "디베이스"의 데뷔 음반을 출시했다. 미국의 RMC와 계약하는 등 가수보다는 작곡가와 프로듀서로 활동했다.[1]
이후 에스블러쉬(S-blush)의 "It's My Life"로 빌보드 Hot Dance Club Play Chart에서 2위에 올랐다.[2][3] 비와 쿵푸 팬더(''Kung Fu Panda'')의 주제곡 "Kung Fu Fighting"을 협연했고, 2009년에는 크라운제이와 "Young Dro"의 미국 데뷔 싱글 "I'm Good"을 프로듀싱했다.[4][5] 우 탱 클랜(Wu-Tang Clan)과의 작업도 진행했지만 무산되었다.[6]
2010년 한국으로 돌아온 이현도는 $tar TRACKEZ(범이와 낭이)와 함께 주석 5집 All or Nuthin', 소야앤썬의 데뷔 싱글 웃으며 안녕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SDN48, Chiyo+, 초신성 등의 곡을 프로듀싱하며 일본으로 활동 반경을 넓혔다. 2011년 Donnie J, Eniac과 프로듀싱 팀 Team Document를 결성하여 국내외에서 활동했다.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쇼미더머니2에 출연하여 D.O CREW의 수장으로 프로듀서 역량을 발휘하며 국내 연예 활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2013년 여름부터 2014년 봄까지 듀스 20주년을 기념하여 음원 및 콜라보 제품들을 출시했다. 2014년 여름에는 디오기획을 《D.O Ent.》로 확장하며 디베이스 이후 십수년 만에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다시 뛰어들었다. 힙합 아티스트뿐 아니라 K-Pop 아티스트들의 프로듀싱과 함께, 5번째 정규 앨범이자 새로운 프로듀싱 앨범 발매를 예고하며 현재 진행형 행보를 보이고 있다.
5. 듀스 활동
현진영의 앨범에 〈너에게만〉을 수록하며 작곡가로 활동을 시작한 이현도는 김성재와 함께 1993년 힙합/뉴잭스윙 그룹 듀스로 데뷔하였다.[1] 듀스는 차별화된 음악, 춤, 패션으로 주목받았으며, 《DEUXISM》과 《FORCE DEUX》 앨범은 1990년대 후반 선정된 한국음반 100대 명반에 포함되었다.[1]
듀스는 1993년 4월 데뷔 앨범 《DEUX》를 발매해 〈나를 돌아봐〉, 〈알고 있었어〉 등으로 활동했고, 같은 해 12월 2집 《DEUXISM》을 발매해 〈우리는〉, 〈약한 남자〉 등으로 활동했다. 1994년 리믹스 앨범 《RHYTHM LIGHT BEAT BLACK》을 발표해 〈여름 안에서〉, 〈떠나버려〉 등으로 활동했으며, 1995년 4월 3집 《FORCE DEUX》를 발표해 〈굴레를 벗어나〉, 〈상처〉 등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7월에는 라이브 앨범 《LIVE 199507151617》을 발매했으며, 1997년 3월 베스트 앨범 《DEUX FOREVER》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5. 1. 정규 앨범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정규 1집 | 《DEUX》 | align="left"| |
정규 2집 | 《DEUXISM》 | align="left"| |
정규 3집 | 《FORCE DEUX》 | align="left"| |
5. 2. 비정규 앨범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리믹스 | 《RHYTHM LIGHT BEAT BLACK》 | align="left" | |
라이브 | 《LIVE 199507151617》 | align="left" | |
베스트 | 《DEUX FOREVER》 | align="left" | |
5. 3. 참여 앨범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정규 1집 | 《DEUX》 | align="left"| |
정규 2집 | 《DEUXISM》 | align="left"| |
정규 3집 | 《FORCE DEUX》 | align="left"| |
김성재 1집 | 《KIMSUNGJAE》 | align="left"| |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리믹스 | 《RHYTHM LIGHT BEAT BLACK》 | align="left"| |
라이브 | 《LIVE 199507151617》 | align="left"| |
베스트 | 《DEUX FOREVER》 | align="left"| |
종류 | 앨범 정보 | 참여곡 |
---|---|---|
옴니버스 | 《93 내일은 늦으리》 | align="left"| |
정연준 | 《정연준》 | align="left"| |
D.BACE | 《D.BACE Vol.1》 | align="left"| |
김성재 | 《2009 말하자면 by 이현도》 | align="left"| |
하우스 룰즈(House Rulez) | 《듀스 헌정앨범 Part.5》 | align="left"| |
6. 솔로 활동
1990년대 초, 현진영의 앨범에 〈너에게만〉을 수록하며 작곡가로 음악 활동을 시작한 이현도는 김성재와 함께 1993년 힙합/뉴잭스윙 그룹 듀스로 데뷔하였다. 듀스는 차별화된 음악, 춤, 패션으로 주목받았으며, 1990년대 후반 선정된 한국음반 100대 명반에 《DEUXISM》, 《FORCE DEUX》 앨범을 올렸다.[1]
1996년부터 D.O라는 이름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한 이현도는 듀스와 흑인 음악을 넘어 새로운 시도를 담은 음악을 선보였다. 이러한 시도들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그는 음악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2000년에는 자신의 솔로 음반 《완전 HIPHOP》과 한국산 뉴잭스윙 그룹 "디베이스"의 데뷔 음반을 차례로 출시하며 힙합/뉴잭스윙으로 복귀했다.[1]
이후 이현도는 가수보다는 작곡가와 프로듀서로서의 활동에 집중했다. 미국의 RMC와 계약을 맺고,[1] 에스블러쉬(S-blush)의 "It's My Life"로 Billboard Hot Dance Club Play Chart에서 2위에 올랐다.[2][3] 쿵푸 팬더(''Kung Fu Panda'')의 주제곡 "Kung Fu Fighting"을 비와 협연하고, 2009년에는 크라운제이와 "Young Dro"의 미국 데뷔 싱글 "I'm Good"을 프로듀싱했다.[4][5] 우 탱 클랜(Wu-Tang Clan)과의 작업이 무산되기도 했지만,[6] 2010년 한국으로 귀국하여 $tar TRACKEZ(범이와 낭이)와 함께 주석 5집 All or Nuthin', 소야앤썬의 데뷔 싱글 웃으며 안녕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SDN48, Chiyo+, 초신성 등의 곡을 프로듀싱하며 일본으로 활동 반경을 넓혔고, Donnie J, Eniac과 함께 프로듀싱 팀 Team Document를 결성하여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방영된 쇼미더머니2에 출연하여 D.O CREW의 수장으로서 프로듀서 역량을 발휘하며 국내 연예 활동에 복귀했다.
2013년 여름부터 2014년 봄까지 듀스 20주년을 기념하여 음원 및 콜라보 제품들을 출시했으며, 2014년 여름 디오기획을 《D.O Ent.》로 확장하며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다시 뛰어들었다. 힙합 아티스트뿐 아니라 K-Pop 아티스트들의 프로듀싱과 함께, 그의 5번째 정규 앨범이자 새로운 프로듀싱 앨범 발매를 예고하며 현재진행형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6. 1. 정규 앨범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정규 1집 | 《Do It!》 | align="left" | |
정규 2집 | 《The Saga Continues...》 | align="left" | |
정규 3집 | 《完全힙합》 | align="left" | |
프로듀서 앨범 | 《''The New Classik...And You Dont Stop'''》 | align="left" | |
프로듀서 앨범 | 《D.O.P.E.》 | align="left" | |
《We Bad》 | align="left" | | |
《Blaze》 | align="left" | | |
《D.O.P.E.》 | align="left" | | |
《D.O.P.E.》 | align="left" | |
6. 2. 비정규 앨범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라이브 | 《D.O Still Alive》 | align="left"| |
싱글앨범 | 《사랑해》 | align="left"| |
프로젝트 앨범 | 《D.O Funk》 | align="left"| |
싱글앨범 | 《Show Me The Money 3》 | align="left"| |
믹스시디 | 《withMNW 15 Summer Collection: Good Food Market Mix CD》 | align="left"| |
프로젝트 앨범 | 《Dry Season》 | align="left"| |
6. 3. 참여 앨범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정규 1집 | 《Do It!》 | align="left"| |
정규 2집 | 《The Saga Continues...》 | align="left"| |
정규 3집 | 《完全힙합》 | align="left"| |
프로듀서 앨범 | 《''The New Classik...And You Dont Stop'''》 | align="left"| |
프로듀서 앨범 | 《D.O.P.E.》 | align="left"| |
《We Bad》 | align="left" | | |
《Blaze》 | align="left" | | |
《D.O.P.E.》 | align="left" | | |
《D.O.P.E.》 | align="left" | |
종류 | 앨범 정보 | 트랙 리스트 |
---|---|---|
라이브 | 《D.O Still Alive》 | align="left"| |
싱글 앨범 | 《사랑해》 | align="left"| |
프로젝트 앨범 | 《D.O Funk》 | align="left"| |
싱글 앨범 | 《Show Me The Money 3》 | align="left"| |
믹스시디 | 《withMNW 15 Summer Collection: Good Food Market Mix CD》 | align="left"| |
프로젝트 앨범 | 《Dry Season》 | align="left"| |
앨범명 | 곡명 | 피쳐링 | 발매일 | 비고 | |
---|---|---|---|---|---|
2000 대한민국(천리안) | Do Da Right One | Masta Wu | 2000년 1월 4일 | ||
Hiphop Karisma | Fish | Jed | 2002년 2월 14일 | ||
MP Hiphop 2002 風流(풍류) Part.2 | What Da Fuck U Want?! | SQUARE | 2002년 12월 10일 | ||
The Friends Vol.1 | My Luv | SQUARE / C-LUV | 2005년 12월 8일 | ||
I Wanna B | I Wanna B | JOOSUC | 2012년 5월 11일 | ||
Just kick off green shouting | 전북 승리의 찬가 (Rock Version) | 2012년 8월 5일 | 2012년 4월 11일 온라인으로 공개 | ||
전북 승리의 찬가 (Dance Version) | |||||
SBS 슈퍼매치 | 여행을 떠나요 | Din Din / 2Tak & 2H (of 6 IS) | 2013년 8월 24일 | ||
Han Dae Soo 40th Anniversary 'Rebirth' | 물 좀 주소 | MC Meta | 2015년 4월 21일 | 2015년 4월 17일 온라인으로 공개 | |
7. TEAM DOCUMENT 활동
TEAM DOCUMENT는 이현도가 결성한 프로듀싱 팀이다. 2011년 일본에서 발매된 초신성의 앨범 "4U"에 수록된 "For You"를 프로듀싱하며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2012년 XTM의 야구 하이라이트 프로그램 "베이스볼쇼 Wanna B"의 OST 작업을 시작으로 Eniac이 합류했고, 2015년 OCN 드라마 "처용2" OST 작업과 딘딘의 첫 미니앨범 "들이부어" 작업을 통해 윤명이 합류했다. 2016년 기준으로 주로 이현도와 Eniac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7. 1. 구성원
- 이현도
- Donnie J
- Eniac
- 윤명
8. 듀스 20주년 헌정 앨범
2013년 듀스의 데뷔 20주년을 맞이하여 뮤지, 버벌진트, 신사동 호랑이, 용감한형제, 유건형, 이단옆차기 등 2013년 한국음악씬에서 가장 핫한 프로듀서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 흑인음악의 산역사인 듀스를 헌정하는 앨범이 기획되었다. 2013년 8월 걸스데이의 소진과 투게더 브라더스의 지조, 팀다큐먼트의 에니악이 협연한 <여름안에서>를 시작으로 2014년 4월 16일 언타이틀 출신 프로듀서 유건형의 지휘 아래 주석, 스윙스, 도끼, 딘딘이 협연한 <약한 남자>까지 총 9트랙을 발표하여 헌정앨범을 마무리하였다.[1]
본 앨범은 오프라인 발매없이 온라인음원으로만 발매되었고, 또한 국내 최고의 프로듀서들이 참여했음에도 원곡에 미치지 못하는 완성도, <굴레를 벗어나>를 프로듀싱하기로 했던 이현도(D.O)와 발매초기부터 꾸준히 이름이 거론되었던 신사동 호랑이, 스컬앤하하의 참여는 무산되어 많은 팬들이 더욱 아쉬워하고 있다.[1]
아티스트 | 곡명 | 피쳐링 | 작사 | 작곡 | 편곡 | 발매일 | |
---|---|---|---|---|---|---|---|
소진 (of Girl's Day) | 여름안에서 | 지조(Zizo) | 이현도(D.O)/지조(Zizo) | 이현도(D.O) | Eniac | 2013년 8월 9일 | |
에일리 | 떠나버려 | 마부스(Maboos)/차쿤(ChaKun)/필독 | 이현도(D.O)/마부스(Maboos)/차쿤(ChaKun) | 용감한 형제/코끼리 왕국 | 2013년 9월 9일 | ||
긱스 | 우리는 | Crybaby/DJ Dopsh | 이현도(D.O)/릴보이/루이 | 김도훈 | 2013년 10월 2일 | ||
유브이 | Go! Go! Go! (Muzie Remix) | 이현도(D.O) | 뮤지 | 2013년 10월 22일 | |||
울랄라세션 | 사랑하는 이에게 | 이현도(D.O)/군조 | Eniac | 2013년 11월 5일 | |||
하우스 룰즈 | 상처 (Legendary DEUX) | 듀스 | 이현도(D.O)/Stevie K | 이현도(D.O)/서로 | 서로 | ||
버벌진트 | 너에게만 | 범키 | 이현도(D.O)/버벌진트 | 이현도(D.O)/버벌진트 | 버벌진트 | 2013년 12월 16일 | |
빅스 | 나를 돌아봐 | 이현도(D.O)/라비 | 이현도(D.O)/이단옆차기 | 이단옆차기 | 2014년 2월 14일 | ||
스윙스/딘딘/주석/도끼 | 약한 남자 | 이현도(D.O)/스윙스/딘딘/주석/도끼 | 이현도(D.O) | 유건형 | 2014년 4월 16일 | ||
9. 외부 활동
1990년대 초, 현진영의 앨범에 곡 〈너에게만〉을 수록하면서 작곡가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김성재와 함께 1993년 힙합/뉴잭스윙 그룹 듀스로 데뷔하였다.[1] 듀스는 차별화된 음악, 춤, 패션으로 주목받았으며, 1990년대 후반 선정된 한국음반 100대 명반에 《DEUXISM》과 《FORCE DEUX》가 포함되기도 했다.
1996년부터 D.O로서 솔로 활동을 시작, 듀스와 흑인 음악을 넘어 새로운 시도를 한 음악들을 선보였다.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음악 활동은 계속되었다. 2000년 힙합/뉴잭스윙으로 돌아온 이현도는 솔로 음반 "완전힙합"과 "디베이스"의 데뷔 음반을 출시했으며, 미국 RMC와 계약하는 등 가수보다는 작곡가와 프로듀서로서 활동했다.[1]
이후 에스블러쉬(S-blush)의 "It's My Life"로 Billboard Hot Dance Club Play Chart에서 2위에 랭크되었으며,[2][3] 《쿵푸 팬더》(''Kung Fu Panda'')의 주제곡 "Kung Fu Fighting"을 비와 협연했다. 2009년 크라운제이의 미국 데뷔 싱글 "I'm Good"을 프로듀싱했고,[4][5] 우 탱 클랜(Wu-Tang Clan)과의 작업도 진행했지만 무산되었다.[6]
2010년 한국으로 귀국, $tar TRACKEZ(범이와 낭이)와 함께 주석 5집, 소야앤썬의 데뷔 싱글을 발표했다. 2011년 SDN48, Chiyo+, 초신성 등의 곡을 프로듀싱하며 일본에서 활동했고, Donnie J, Eniac과 Team Document를 결성하여 국내외에서 활동했다. 2013년 쇼미더머니2에 출연하여 프로듀서 역량을 발휘하며 활동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듀스 20주년 기념 음원 및 콜라보 제품들을 출시했다. 2014년 디오기획을 《D.O Ent.》로 확장하며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다시 뛰어들었다. 힙합 아티스트뿐 아니라 K-Pop 아티스트들의 프로듀싱과 함께, 5번째 정규 앨범 발매도 예고하고 있다.
아티스트 | 앨범명 | 곡명 | 피쳐링 | 참여 목록 | 비고 |
---|---|---|---|---|---|
현진영 | New Dance 2 | 너에게만 | 작사 / 작곡 / 편곡 | D.O의 처녀작 | |
현진영 | 캐롤송 | 크리스마스에 너에게만 | 작사 / 작곡 / 편곡 | 현진영 "너에게만" 리메이크 |
9. 1. 프로듀싱 및 콜라보레이션
1990년대 초, 현진영의 앨범에 곡 〈너에게만〉을 수록하면서 작곡가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1] 이후 파트너인 김성재와 함께 1993년 힙합/뉴잭스윙 그룹 듀스로 데뷔, 차별화된 음악, 춤, 패션으로 주목받았다. 1990년대 후반 선정된 한국음반 100대 명반에 듀스의 음반 《DEUXISM》과 《FORCE DEUX》가 포함되기도 했다. 1996년부터는 D.O로서 솔로 활동을 시작, 듀스와 흑인 음악을 넘어 새로운 시도를 한 음악들을 선보였다. 이러한 시도들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음악 활동은 계속되었다. 2000년 힙합/뉴잭스윙으로 돌아온 이현도는 자신의 솔로 음반 "완전힙합"과 한국산 뉴잭스윙 그룹 "디베이스"의 데뷔 음반을 차례로 출시했다. 미국 RMC와 계약하는 등 가수보다는 작곡가와 프로듀서로서 활동했다.[1]이후 에스블러쉬(S-blush)의 "It's My Life"로 Billboard Hot Dance Club Play Chart에서 2위에 랭크되었으며,[2][3] 《쿵푸 팬더》(''Kung Fu Panda'')의 주제곡 "Kung Fu Fighting"을 비와 협연했다. 2009년에는 크라운제이가 "Young Dro"와 함께한 미국 데뷔 싱글 "I'm Good"을 프로듀싱했다.[4][5] 당시 미국 힙합 그룹 우 탱 클랜(Wu-Tang Clan)과의 작업도 진행했지만 무산되었다.[6]
2010년 한국으로 귀국, $tar TRACKEZ(범이와 낭이)와 함께 주석 5집 All or Nuthin', 소야앤썬의 데뷔 싱글 웃으며 안녕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SDN48, Chiyo+, 초신성 등의 곡을 프로듀싱하며 일본으로 활동 반경을 넓혔다. 또한 2011년 Donnie J, Eniac과 새로운 프로듀싱 팀 Team Document를 결성하여 국내외에서 활동했다.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방영된 쇼미더머니2에 출연, D.O CREW의 수장으로서 프로듀서 역량을 발휘하며 작품 활동과 국내 연예 활동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2013년 여름부터 2014년 봄까지 듀스 20주년을 기념하여 음원 및 콜라보 제품들을 출시했다. 2014년 여름 디오기획을 《D.O Ent.》로 확장하며 디베이스 이후 십수 년 만에 본격적인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다시 뛰어들었다. 힙합 아티스트뿐 아니라 K-Pop 아티스트들의 프로듀싱과 함께, 그의 5번째 정규 앨범이자 새로운 프로듀싱 앨범 발매도 예고하고 있다.
2013년 듀스의 데뷔 20주년을 기념하여 뮤지, 버벌진트, 신사동 호랑이, 용감한형제, 유건형, 이단옆차기 등 2013년 한국 음악 씬에서 가장 핫한 프로듀서들이 주축이 되어 듀스 헌정 앨범이 기획되었다. 2013년 8월 걸스데이의 소진과 투게더 브라더스의 지조, 팀다큐먼트의 에니악이 협연한 <여름안에서>를 시작으로 2014년 4월 16일 언타이틀 출신 프로듀서 유건형의 지휘 아래 주석, 스윙스, 도끼, 딘딘이 협연한 <약한 남자>까지 총 9트랙을 발표하여 헌정 앨범을 마무리하였다.
본 앨범은 오프라인 발매 없이 온라인 음원으로만 발매되었고, 국내 최고의 프로듀서들이 참여했음에도 원곡에 미치지 못하는 완성도, <굴레를 벗어나>를 프로듀싱하기로 했던 D.O(이현도)와 발매 초기부터 꾸준히 이름이 거론되었던 신사동 호랑이, 스컬앤하하의 참여는 무산되어 많은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아티스트 | 곡명 | 피쳐링 | 작사 | 작곡 | 편곡 | 발매일 |
---|---|---|---|---|---|---|
소진 (of Girl's Day) | 여름안에서 | 지조(Zizo) | 이현도(D.O)/지조(Zizo) | 이현도(D.O) | Eniac | 2013년 8월 9일 |
에일리(Aliee) | 떠나버려 | 마부스(Maboos)/차쿤(ChaKun)/필독 | 이현도(D.O)/마부스(Maboos)/차쿤(ChaKun) | 용감한 형제/코끼리 왕국 | 2013년 9월 9일 | |
긱스(Geeks) | 우리는 | Crybaby/DJ Dopsh | 이현도(D.O)/릴보이(Lil Boi)/루이(Louie) | 김도훈 | 2013년 10월 2일 | |
유브이(UV) | Go! Go! Go! (Muzie Remix) | 이현도(D.O) | Muzie (of UV) | 2013년 10월 22일 | ||
울랄라세션(Ulala Session) | 사랑하는 이에게 | 이현도(D.O)/군조(Koonzo) | Eniac | 2013년 11월 5일 | ||
하우스 룰즈(House Rulez) | 상처 (Legendary DEUX) | 듀스(DEUX) | 이현도(D.O)/Stevie K | 이현도(D.O)/서로(Soro) | 서로(Soro) | |
버벌진트(Verbal Jint) | 너에게만 | 범키(Bumkey) | 이현도(D.O)/버벌진트(Verbal Jint) | 이현도(D.O)/버벌진트(Verbal Jint) | 버벌진트(Verbal Jint) | 2013년 12월 16일 |
빅스(VIXX) | 나를 돌아봐 | 이현도(D.O)/라비(Ravi) | 이현도(D.O)/이단옆차기 | 이단옆차기 | 2014년 2월 14일 | |
스윙스(Swings)/딘딘(Din Din)/주석(Joosuc)/도끼(Dok2) | 약한 남자 | 이현도(D.O)/스윙스(Swings)/딘딘(Din Din)/주석(Joosuc)/도끼(Dok2) | 이현도(D.O) | 유건형 | 2014년 4월 16일 | |
아티스트 | 앨범명 | 곡명 | 피쳐링 | 참여 목록 | 비고 |
---|---|---|---|---|---|
현진영 | New Dance 2 | 너에게만 | 작사 / 작곡 / 편곡 | D.O의 처녀작 | |
현진영 | 캐롤송 | 크리스마스에 너에게만 | 작사 / 작곡 / 편곡 | 현진영 "너에게만" 리메이크 | |
9. 2. TV Show 음악
프로그램명 | 방송사 | 곡명 | 참여 아티스트 | 참여 목록 | 방송 날짜 | 비고 |
---|---|---|---|---|---|---|
현장 토크쇼 TAXI | TVN | TVN 택시 타이틀곡 | Ulala Session | 작사 / 작곡 / 편곡 | 2012년 4월 5일 첫 공개 | Eniac과 공동작업 |
베이스볼쇼 WannaB | XTM | I Wanna B | JOOSUC | 작사 / 작곡 / 편곡 / 보컬 | 2012년 4월 7일 첫 방송 | |
XTM WannaB BG 1~19 | Team Document | 작곡 / 편곡 | ||||
Show Me The Money II | M.NET | 역시 배치기 / 나를 돌아봐 (Inst.) / Let Me Dance | D.O(이현도) / 배치기 / 렉시(Lexy) | D.O Crew 공연 프로듀서 | 2013년 6월 21일 | 3화 크루선정공연 |
Fresh Boy | Din Din / 양지원 (of Spica) | 작곡 / 편곡 | 2013년 7월 4일 | 5화 1차경연 / Eniac과 공동작업 | ||
Intro / 하늘 위로 | 렉시(Lexy) / JC지은 | 편곡 | ||||
강남여자 / 신데렐라 | 칸토(Kanto) / 서인영 | 작곡 / 편곡 | ||||
너는 왜 | Din Din / 렉시(Lexy) / 가인 | 편곡 | 2013년 7월 12일 | 6화 2차경연 / Eniac과 공동작업 | ||
걸어서 하늘까지 / 마지막 승부 | 우탄(Wutan) / Mr. 킹콩 | |||||
그것만이 내 세상 | Din Din / 김신의 (of Monnie) | 2013년 7월 19일 | 7화 3차경연 / Eniac과 공동작업 | |||
Scratch / Buffalo 2012 | 제이켠(J'Kyun) / Mr. 킹콩 / 스컬(Skul1) | 작곡 / 편곡 | ||||
Super Match | SBS | 여행을 떠나요 | goDO(김태우 & 이현도(D.O)) / Din Din / 2Tak & 2H (of 6 Is) | 랩작사 / 랩 / 키보드 / 보코더 / 코러스 | 2013년 8월 23일 |
9. 3. CF 음악
브랜드명 | 곡명 | 참여 목록 | 발매일 | 비고 |
---|---|---|---|---|
Coffee Smith | Smith 1.0 | 작곡 / 편곡 | 2011년 6월 | Donnie J와 공동 작업 |
Smith 2.0 |
9. 4. 라디오 로고송
프로그램 | 방송사 | 날짜 |
---|---|---|
이휘재의 별이 빛나는 밤에 | MBC 표준FM | 1998년 6월 |
엄정화의 가요광장 | KBS 2FM | 1999년 3월 |
박소현의 러브게임 | SBS 파워FM | 2000년 6월 |
허수경의 해피투게더 | ||
두시탈출 컬투쇼 | 2013년 11월 |
10. 미발표곡
아티스트 | 앨범명 | 곡명 | 피쳐링 | 참여 목록 | 비고 |
---|---|---|---|---|---|
김태형 | 나의 의미 | 하고픈 얘기 | 편곡 | ||
정연준 | 정연준 | 이젠 일어나 보자 | DEUX | 랩작사 / 피쳐링 | |
넌 사랑을 너무 쉽게 생각해 | |||||
To DJ | |||||
I Want Your Love(English Version) |
참조
[1]
뉴스
"<연합인터뷰>컴백한 힙합 대부 이현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2-16
[2]
뉴스
손담비-가희, '에스블러쉬' 활동...美 빌보드 핫댄스클럽 '2위'
http://www.kwnews.co[...]
충청일보
2010-07-22
[3]
뉴스
손담비-박가희 과거 에스블러쉬 같은 팀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10-07-22
[4]
뉴스
이현도,할리우드 도전장…'쿵후 팬더' OST 참여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8-03-11
[5]
뉴스
크라운제이, 이현도와 손잡고 美진출 박차
http://nownews.seoul[...]
서울신문
2009-06-25
[6]
뉴스
이현도 '마이티마우스' 음반 프로듀서
https://news.naver.c[...]
NEWSis
2009-05-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듀스, 고 김성재 목소리 복원해 4집 발매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