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그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그바리는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까지 활동한 루스 공국의 공작이다.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의 아들로, 1180년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와 함께 체르니히우의 스뱌토슬라프 3세에 맞서 싸웠다. 그는 여러 차례 루츠크 공작을 역임했으며, 1201년에는 잠시 키예프 대공 자리에 올랐으나 1203년 류리크에게 키예프를 빼앗겼다. 이후에도 키예프 대공위를 두고 여러 차례 다툼을 벌였으며, 1214년 류리크 2세의 사망 후 다시 키예프 대공이 되었지만, 므스티슬라프 3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루츠크로 돌아갔다. 인그바리는 1220년 사망했으며, 그의 동생 므스티슬라프가 루츠크 공작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히니아 이자슬라프가 - 이자슬라프 2세
이자슬라프 2세는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페레야슬라우 공작과 투라우 공작을 거쳐 1146년 키예프 대공에 즉위했으나 유리 돌고루키에게 대공위를 빼앗기기도 했으며,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고 올레크 가문과 대립하다가 1154년 사망했다. - 볼히니아 이자슬라프가 - 므스티슬라프 2세
므스티슬라프 2세는 이쟈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페레야슬라프 공작을 지냈으며, 1167년부터 116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임하며 혼란 속 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퇴위 후 망명했다. - 1152년 출생 - 한탁주
한탁주는 남송의 관료이자 정치가로, 효종의 신임을 바탕으로 영종 옹립에 기여하여 13년간 권력을 누렸으나, 측근 중용, 성리학 탄압, 개희북벌 실패 등으로 남송 쇠퇴의 원인이 된 인물이다. - 1152년 출생 - 이인로
무신정변 이후 등용된 고려의 문인 이인로는 임춘,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칠현으로 불리며 시와 술을 즐겼고, 한국 최초의 시화집 중 하나인 《파한집》을 저술하여 한국 시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20년 사망 - 프랑스의 아녜스
프랑스의 공주 아녜스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우스 2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권력 찬탈로 인해 안드로니코스 1세와 강제로 결혼한 후 테오도르 브라나스와 재혼하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220년 사망 - 볼프람 폰 에셴바흐
볼프람 폰 에셴바흐는 중세 독일의 기사이자 시인으로, 성배를 주제로 한 독일 문학 작품 중 현존하는 최초의 작품인 《파르치팔》을 비롯한 여러 작품을 통해 후대 문학, 예술,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그바리 | |
---|---|
기본 정보 | |
군주호 | 키예프 대공 |
다른 이름 | 루츠크 공 |
로마자 표기 | Ingvar I Yaroslavich |
통치 정보 | |
키예프 대공 재위 기간 | 1202년, 1214년 |
루츠크 공 재위 기간 | 1180년 - 1220년경 |
개인 정보 | |
출생 | 1152년경 |
사망 | 1220년? |
아버지 | 야로슬라프2세 |
어머니 | 리크사 프셰미슬로브나 |
자녀 | 이쟈슬라프 스뱌토슬라프 야로슬라프 블라디미르 글레미슬라바 |
2. 생애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 대공의 아들이다. 1202년과 1214년에 루츠크 공작을 역임했다. 1202년 스뱌토슬라프 3세 대공을 몰아내고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므스티슬라프 3세를 지지하던 세력들에 의해 대공위에서 물러났다. 얼마 지나지 않아 형인 브세볼로트 야로슬라비치를 대신하여 루츠크의 통치자가 되었다. 1220년에 사망했다.[4]
2. 1. 키예프 대공위 쟁탈전
1201년, 키예프 대공 로만에 의해 류리크가 키예프에서 추방되자, 인그바리가 키예프 대공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1203년 1월, 류리크는 체르니고프 공국과 포로베츠족과의 동맹을 맺고 키예프를 점령했다.[2] 이 당시 잉그바리의 행적을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는 없지만, 아마도 키예프가 포위되기 전에 도망친 것으로 보인다.1214년, 류리크가 죽자 키예프 대공이 된 브세볼로트는 키예프 공국 내 모노마흐 가문의 소유지를 모두 몰수하기로 결정하고 군대를 일으켰다. 잉그바리는 비슈고로드와 키예프로 향하는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의 군대에 합류했다. 그 후 잠시 동안 키예프 대공 자리에 있었지만[7], 나중에 강화가 맺어지자 자신의 영지 루츠크로 돌아갔다. 잉그바리가 죽은 후 루츠크 공작은 동생 므스티슬라프가 계승했다.
2. 2. 그 외의 활동
1180년, 인그바리 야로슬라비치는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와 함께 체르니히우의 스뱌토슬라프 V세볼로도비치에 맞서 싸웠다.[2] ''이고르 원정기''에 따르면, 인그바리는 "여섯 날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쟁으로 자신의 영토를 얻지 않았다는 점으로 유명하다.[3] 1183년에 인그바리는 할리치에서 추방된 블라디미르 2세 야로슬라비치를 도로고부시에서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했는데, 이는 인그바리가 블라디미르 야로슬라비치의 아버지인 야로슬라프 오스모미슬을 경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1201년, 키예프 대공 로만에 의해 류리크가 키예프에서 추방되자, 잉그바리가 키예프 대공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1203년 1월, 류리크는 체르니고프 공국과 포로베츠족과의 동맹을 맺고 키예프를 점령했다. 이 당시 잉그바리의 행적을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는 없지만, 아마도 키예프가 포위되기 전에 도망친 것으로 보인다.
1202년, 갈리치의 로만 므스티슬라비치와 블라디미르의 대공 브세볼로트 3세 사이의 합의에 따라 쫓겨난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를 대신하여 인그바리가 키예프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2] 그러나 류리크는 그해에 올고비치와 ''폴로브치''의 도움으로 키예프를 되찾았다. 1204년, 인그바리는 벨즈의 알렉산더와 함께 볼로디미르-볼린스키를 점령하는 데 참여했다. 그는 그 자리에서 도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지만, 곧 보야르들의 불만으로 인해 알렉산더로 교체되었다.
1208년, 폴란드 대공레셰크 1세와 마조비아 공작콘라트 1세가 블라디미르-볼린스키에서 볼린 공작 스뱌토슬라프(ru)를 추방했다. 그리고 1209년에는 잉그바리가 조카 알렉산드르로부터 볼린 공작 자리를 물려받았다. 잉그바리는 잠시 볼린 공작 자리에 있었지만, 1210년, 레셰크와 잉그바리의 합의를 옳게 여기지 않은 보야르들이 공작 자리를 다시 알렉산드르에게 넘겨주었다.
1208~1211년, 인그바리는 아들을 노브호로드-세베르스키의 이고르 스뱌토슬라비치의 아들들에 맞서 싸우는 다니일 로마노비치를 돕도록 보냈다. 1212년, 인그바리와 므스티슬라프 로마노비치는 브세볼로트 스뱌토슬라비치를 공격하여 키예프를 점령했다. 벨고로드 키옙스키 근처의 전투 후, 인그바리는 자발적으로 키예프를 므스티슬라프 로마노비치에게 양도하고 루츠크로 떠났다.
1214년, 류리크가 죽자, 키예프 대공이 된 브세볼로트는 키예프 공국 내 모노마흐 가문의 소유지를 모두 몰수하기로 결정하고 군대를 일으켰다. 잉그바리는 비슈고로드와 키예프로 향하는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의 군대에 합류했다. 그 후 잠시 동안 키예프 대공 자리에 있었지만[7], 나중에 강화가 맺어지자 자신의 영지 루츠크로 돌아갔다. 잉그바리가 죽은 후 루츠크 공작은 동생 므스티슬라프가 계승했다. 그는 1220년에 사망했다.[4]
3. 가족
인그바리의 아내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슬하에 다음 자녀들이 있었다.
이름 | 비고 |
---|---|
이쟈슬라프 | 드루호부지 공작 |
스뱌토슬라프 | 슈무스크 공작 (여러 설이 있음) |
야로슬라프 | 루츠크 공작, 메지보주 공작 |
블라디미르(ru) | 루츠크 공작 |
그르지미스와바 | 1207년 크라쿠프 공작 레셰크 1세와 결혼. 15세기 폴란드의 역사가 얀 드우고시는 1220년으로 기록했다.[8] |
4.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를 기반으로 새로 작성해야 합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Корона Данила Галицького: Волинь і Галичина в державно-політичному розвитку Центрально-Сходної Європи раннього та класичного середньовіччя
https://books.google[...]
Стилос
2006
[2]
서적
Русский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 Алфавитный каталог — Электронная библиотека Руниверс
https://runivers.ru/[...]
И.Н. Скороходова
[3]
서적
The tale of the campaign of Igor : a Russian epic poem of the twelfth centu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1973
[4]
웹사이트
Розділ 3.15. Леонтій Войтович. Князівські династії Східної Європи.
http://litopys.org.u[...]
2024-02-01
[5]
서적
The Chronicle of Halych-Volhynia and Historical Collections in Medieval Rus'
https://books.google[...]
BRILL
2022-02-28
[6]
서적
러시아의 역사(上)古代から19世紀前半まで
明石書店
2011
[7]
웹사이트
Все монархии мира
http://www.allmonarc[...]
[8]
간행물
Annales seu Chronicae incliti Regni Poloniae. Lib. V, VI
Varsaviae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