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네시아의 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약 2억 7천만 명으로, 세계에서 인구가 많은 국가 중 하나이다. 인구의 56%가 자와섬에 거주하며, 자바인은 최대 민족 집단(40.1%)을 차지한다. 이슬람교가 87%로 주된 종교이며, 인도네시아어는 공용어이다. 2011년 기준 문해율은 92.81%이며, 공립학교에서 12학년까지 무상 교육을 제공한다.

2. 인구학적 동향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2010년 국가 인구 조사에서는 2억 3764만 명이었으나,[37] 10년 뒤인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2억 7020만 명으로 증가했다.[38] 인구의 56%가 자와섬에 살고 있는데, 이는 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이다.[39]

인도네시아는 서구권 국가들에 비해 젊은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출산율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2020년 추정 중위 연령은 31.1세이다.[34]

인구의 도시화 비율별 인도네시아 주


2020년 인구 밀도(제곱킬로미터당)별 인도네시아 주


2024년 인구 밀도(제곱킬로미터당)별 인도네시아 마을
]

2. 1. 인구 성장률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2010년 국가 인구 조사에서는 2억 3764만 명이었으나,[37] 10년 뒤인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2억 7020만 명으로 증가했다.[38] 1968년 국립가족계획조정기구를 발족시켜 강력한 산아제한 정책을 폈으며,[40], 인구 성장률은 유엔 통계 기준 1965-1970년 2.7%에서 1985-1990년 1.9%, 1995-2000년 1.4%로 낮아졌다.

인도네시아의 인구성장률은 2000-2010년 1.49%에서 2010-2020년 1.25%로 낮아졌는데, 인구조사 사상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1966-1998년 집권)부터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 가족계획 정책의 영향으로, 기본 교육,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된 것이다.[42] 이러한 정책은 계속 시행 중인데, 2019년 기준 해당 정책에 약 4.6억달러의 예산을 책정했다 ('17년 대비 80% 증가).[42] 또한 가족계획의 실행력 강화를 위해 국민건강보험제도(BPJS)와 통합하고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전방위적인 정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42]

주(Province)인구
(2010년 인구 조사)

출산율
인구
(2020년 인구 조사)
아체4,494,4102.795,274,900
북수마트라12,982,2043.0114,799,400
서수마트라4,846,9092.915,534,500
리아우5,538,3672.826,394,100
잠비3,092,2652.513,548,200
남수마트라7,450,3942.568,467,400
벵쿨루1,715,5182.512,010,700
람풍7,608,4052.459,007,800
방카-벨리퉁 제도1,223,2962.541,455,700
리아우 제도1,679,1632.382,064,600
반텐10,632,1662.3511,904,600
자카르타9,607,7871.8210,562,100
서자바43,053,7322.4348,274,200
중앙자바32,382,6572.2036,516,000
족자카르타3,457,4911.943,668,700
동자바37,476,7572.0040,665,700
발리3,890,7572.134,317,400
서누사떵가라4,500,2122.595,320,100
동누사떵가라4,683,8273.825,325,600
서칼리만탄4,395,9832.645,414,400
중부칼리만탄2,212,0892.562,670,000
남칼리만탄3,626,6162.354,073,600
동칼리만탄3,028,4872.613,766,000
북칼리만탄524,656701,800
북술라웨시2,270,5962.432,621,900
고론탈로1,040,1642.761,171,700
중술라웨시2,635,0092.942,985,700
남술라웨시8,034,7762.559,073,500
동남술라웨시2,232,5863.202,624,900
서술라웨시1,158,6513.331,419,200
말루쿠1,533,5063.561,848,900
북말루쿠1,038,0873.351,282,900
파푸아2,833,3812.874,303,700
서파푸아760,4223.181,134,100
인도네시아237,641,3262.41270,203,900



출처: 2010년 인구 조사,[2] 마지막 열은 2020년 인구 조사에서 가져옴.

참고: (a) 북칼리만탄주는 2012년에 (동칼리만탄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2010년 총 인구는 분리 이후의 주에 대한 수치이다.

2. 2. 성비

인도네시아 통계청의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남성 인구는 1억 3,666만 명(50.58%), 여성 인구는 1억 3,354만 명(49.42%)으로 나타났다.[42] 파푸아, 북칼리만탄, 서파푸아 지역은 남성 비율이 여성보다 훨씬 높았고, 족자카르타와 술라웨시 남부 지방에서는 여성 비율이 더 높게 조사되었다.[42]

2. 3. 세대별 인구

인도네시아는 서구권 국가들에 비해 젊은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출산율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17년 기준 중위 연령은 30.2세였다.[41] 1971년 이후 생산가능 연령(15-64세) 인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전체 인구의 70.72%를 차지했으며, 이는 2045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42]

인도네시아 통계청은 2020년 인구 조사 보고서에서 Z세대(1997년~2012년 출생, 8세~23세)가 전체 인구의 27.94%, 밀레니얼 세대(1981년~1996년 출생, 24세~39세)가 25.87%를 차지한다고 밝혔다.[42]

2020년 7월 1일 기준 연령대별 인구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14]

연령대남성여성총계%
0–1433,591,51832,474,47766,065,99524.50
15–6493,292,93892,046,853185,339,79168.75
65+8,452,5559,745,08918,197,6446.75


2. 4. 인구 밀집도

인도네시아의 인구 밀도는 2000년 1km²당 107명, 2010년 124명, 2020년 141명으로 조사되었다.[42] 2020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56.10%인 1억 1559만 명이 자와섬에 거주하고 있다.[42] 특히 서부 자바 (베카시, 카라왕, 반둥, 데폭, 보고르), 동부 자바 (수라바야 및 그 주변 지역), 중부 자바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42] 수마트라섬에는 인구의 21.68%인 5,856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42]

2020년 인도네시아 지역별 거주인구 비율 (총인구 대비)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러한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기타 지역의 '공공 서비스 접근성 향상 계획'을 준비하고 있으며, 신(新)행정수도 이전 계획도 그 중 하나이다.[42]

2. 5. 연령 구조

인도네시아는 서구권 국가들에 비해 인구가 젊은 편이지만,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출산율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41] 2017년 기준 중위 연령은 30.2세였다.[41]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연령 구조는 다음과 같다.[1]

  • 0-14세: 23.33%
  • 15-64세: 70.72%
  • 65세 이상: 5.95%[35][36]


2020년 7월 1일 기준 성별 및 연령대별 인구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14]

연령대남성여성총계%
총계135,337,011134,266,419269,603,430100
0–411,101,52810,850,46521,951,9938.14
5–911,205,65710,739,50321,945,1608.14
10–1411,284,33310,884,50922,168,8428.22
15–1911,189,86110,949,53122,139,3928.21
20–2411,070,77410,887,55521,958,3298.14
25–2910,963,60510,736,36121,699,9668.05
30–3410,777,33710,524,67321,302,0107.90
35–3910,477,47510,305,70420,783,1797.71
40–449,830,9299,693,10919,524,0387.24
45–499,140,3159,023,92418,164,2396.74
50–547,975,5517,947,47715,923,0285.91
55–596,632,3296,691,46713,323,7964.94
60–645,234,7625,287,05210,521,8143.90
65-693,758,9663,921,2637,680,2292.85
70-742,485,3082,757,0625,242,3701.94
75+2,208,2813,066,7645,275,0451.96
연령대남성여성총계백분율
0–1433,591,51832,474,47766,065,99524.50
15–6493,292,93892,046,853185,339,79168.75
65+8,452,5559,745,08918,197,6446.75



2010년 기준 지역별 합계 출산율 및 60세 이상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20]

합계 출산율60세 이상 인구 (2010년)
20102020
수마트라 북부3.012.485.9
수마트라 서부2.912.468.1
리아우주2.822.284.0
잠비주2.512.285.5
수마트라 남부2.562.236.2
벵쿨루주2.512.305.8
람풍주2.452.287.2
방카-벨리퉁 제도2.542.245.8
리아우 제도2.382.213.4
자카르타1.821.755.1
자바 서부2.432.117.0
자바 중부2.202.0910.3
족자카르타1.941.8912.9
자바 동부2.001.9810.4
반텐주2.352.014.6
발리2.132.049.7
누사 틍가라 동부3.822.797.4
칼리만탄 서부2.642.335.8
칼리만탄 중부2.562.314.6
칼리만탄 남부2.352.315.8
칼리만탄 동부2.612.184.0
술라웨시 북부2.432.108.4
술라웨시 중부2.942.326.6
술라웨시 남부2.552.228.2
술라웨시 동남부3.202.575.8
고론탈로2.762.305.9
술라웨시 서부3.332.586.2
말루쿠3.562.526.2
말루쿠 북부3.352.474.8
파푸아 서부3.182.663.2
파푸아2.872.762.4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2020년 추정 중위 연령은 다음과 같다.[34]


  • 전체: 31.1세
  • 남성: 30.5세
  • 여성: 31.8세

2. 6. 중위 연령

인도네시아는 서구권 국가들에 비해 인구가 젊은 편이지만,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17년 기준 중위 연령은 30.2세다.[41]

3. 인구 통계

인도네시아의 인구 성장률은 2000-2010년 1.49%에서 2010-2020년 1.25%로 낮아졌는데, 이는 인구 조사 사상 가장 낮은 수준이다.[42] 이는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1966-1998년 집권)부터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 가족계획 정책의 영향으로, 기본 교육,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었다.[42] 이러한 정책은 계속 진행 중이며, 2019년 기준 약 4.6억달러의 예산이 책정되었다 ('17년 대비 80% 증가).[42] 또한 가족계획의 실행력 강화를 위해 국민건강보험제도(BPJS)와 통합하고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전방위적인 정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42]

2016년 인구 피라미드


1927년 이후 인도네시아의 기대 수명


1960년 이후 성별에 따른 인도네시아의 기대 수명


다음은 CIA 월드 팩트북[34]에서 가져온 인구 통계이다.

'''연령 구조'''(2020년 인구 조사)[35][36]

  • 0-14세: 23.33%
  • 15-64세: 70.72%
  • 65세 이상: 5.95%


'''중위 연령'''(2020년 추정)

  • 전체: 31.1세
  • 남성: 30.5세
  • 여성: 31.8세


'''출생률'''(2022년 추정)

  • 인구 1,000명당 15.32명


'''사망률'''(2022년 추정)

  • 인구 1,000명당 6.75명


'''인구 성장률'''(2022년 추정)

  • 0.79%


'''도시화'''(2022년)

  • 도시 인구: 총 인구의 57.9%
  • 도시화율: 연간 1.99%의 변화율 (2020-25년 추정)


'''성비'''(2022년 추정)

  • 출생 시: 여성 1명당 남성 1.05명
  • 0-14세: 여성 1명당 남성 1.05명
  • 15-24세: 여성 1명당 남성 1.05명
  • 25-54세: 여성 1명당 남성 0.99명
  • 55-64세: 여성 1명당 남성 0.98명
  • 65세 이상: 여성 1명당 남성 0.66명
  • 전체 인구: 여성 1명당 남성 1명


'''영아 사망률'''(2022년 추정)

  • 전체: 출생 1,000명당 19.73명
  • 남성: 출생 1,000명당 22.15명
  • 여성: 출생 1,000명당 17.18명


'''출생 시 기대 수명'''(2022년 추정)

  • 전체 인구: 73.08년
  • 남성: 70.86년
  • 여성: 75.4년


'''총 출산율'''(2022년 추정)

  • 여성 1명당 2.01명 출생


'''HIV/AIDS'''(2017년 추정)

  • 성인 유병률: 0.4%
  • HIV/AIDS 감염자: 630,000명
  • HIV/AIDS 사망자: 39,000명


'''비만 – 성인 유병률'''(2016년)

  • 6.9%


'''5세 미만 저체중 아동'''(2013년)

  • 19.9%


'''국적'''

  • 명사: 인도네시아인
  • 형용사: 인도네시아의


'''민족'''(2010년 추정)

자바인40.1%
순다인15.5%
말레이인3.7%
바탁인3.6%
마두라인3%
브타위인2.9%
미낭카바우인2.7%
부기스인2.7%
반텐인2%
반자르인1.7%
발리인1.7%
아체인1.4%
다약인1.4%
사삭인1.3%
화교1.2%
기타15%



'''종교'''(2018년 추정)

이슬람교86.7%
기독교10.72%
개신교7.6%
로마 가톨릭3.12%
힌두교1.74%
기타 (불교 및 유교 포함)0.8%
불특정0.04%



'''언어'''

:인도네시아어 (공용어, 인도네시아의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은 말레이어의 형태), 지방 언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자바어)

'''학교 예상 수명'''(초등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2005년)


  • 전체: 11년
  • 남성: 12년
  • 여성: 11년


'''교육 지출'''(2014년)

  • GDP의 2.8%

3. 1. 출생 및 사망 통계 (1950년-현재)

인도네시아의 출생 및 사망 통계는 다음과 같다.[43] 1968년 국립가족계획조정기구가 발족되어 강력한 산아제한 정책을 폈으며[40],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1966-1998년 집권)부터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 가족계획 정책의 영향으로 기본 교육,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러한 정책은 계속 진행 중인데, 2019년 기준 해당 정책에 약 4.6억달러의 예산을 책정했다 (2017년 대비 80% 증가). 또한 가족계획의 실행력 강화를 위해 국민건강보험제도(BPJS)와 통합하고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전방위적인 정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42]

연도인구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 (1000명당)조사망률 (1000명당)자연 증감률 (1000명당)합계출산율
2003213,6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42.3
2004216,4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32.3
2005219,8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22.2
2006222,7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02.2
2007225,6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2.82.18
2008228,5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2.52.17
2009231,4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2.22.16
2010238,500,0006,028,9211,236,1544,792,76725.35.213.12.39
2011241,0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22.37
2012244,20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12.35
2015255,587,9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2016258,496,5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2017261,355,5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2018264,161,6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2019266,911,9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2020269,603,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



기간기대수명기간기대수명
1950–195541.81985–199061.3
1955–196047.01990–199564.2
1960–196550.21995–200065.2
1965–197051.12000–200566.4
1970–197555.92005–201068.3
1975–198058.52010–201570.0
1980–198560.72015-202071.4



UN DESA(UN DESA)에 따르면, 2022년 세계 인구 전망에서[16] 인도네시아의 출생 및 사망 통계는 다음과 같다.

기간인구
(천 명)
출생아 수
(천 명)
사망자 수
(천 명)
자연 증가
(천 명)
조출생률조사망률자연 증가율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기대 수명
(년)
195069,5682,8261,5051,32140.621.619.05.19189.139.40
195577,7423,3591,5421,81743.219.823.45.37168.442.92
196088,3833,9291,5932,33744.518.026.45.55148.346.45
1965101,1584,3802,1212,25943.321.022.35.62142.742.60
1970115,2284,5961,5763,02139.913.726.25.45114.652.99
1975131,2134,7831,5443,23936.511.824.75.0499.455.97
1980148,1774,9811,5213,46033.610.323.44.4986.958.75
1985165,7924,8361,4813,35529.28.920.23.7175.261.31
1990182,1604,6471,4773,17025.58.117.43.1063.163.18
1995198,1404,7141,4873,22723.87.516.32.8051.065.24
2000214,0724,6801,5813,09921.97.414.52.5441.166.43
2005228,8054,7461,6793,06720.77.313.42.4333.567.65
2010244,0164,9201,8073,11220.27.412.82.4527.668.68
2015259,0924,7801,9332,84718.47.511.02.3522.869.70
2020271,8584,5262,4372,08916.69.07.72.1919.268.81


3. 2. 출산율과 출생률 (DHS)

인도네시아의 인구성장률은 2000-2010년 1.49%에서 2010-2020년 1.25%로 낮아졌는데, 이는 인구조사 사상 가장 낮은 수준이다.[42] 이는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1966-1998년 집권)부터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 가족계획 정책의 영향으로, 기본 교육, 식량 안보, 보건 서비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되었다.[42] 이러한 정책은 계속 진행 중이며, 2019년 기준 약 4.6억달러의 예산이 책정되었다 ('17년 대비 80% 증가).[42]

다음은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의 출생률과 출산율 자료이다.[44]

연도조출생률 (종합)합계출산율 (종합)조출생률 (도시)합계출산율 (도시)조출생률 (시골)합계출산율 (시골)
199125.13.02 (2.50)24.02.60 (2.03)25.63.24 (2.73)
2002-200321.92.6 (2.2)22.12.4 (2.1)21.72.7 (2.3)
200720.92.6 (2.2)20.22.3 (2.0)21.52.8 (2.4)
201220.42.6 (2.0)20.12.4 (1.9)20.72.8 (2.2)
201718.12.4 (2.1)17.72.3 (1.9)18.52.6 (2.2)



2010년 인구 조사와[2] 2020년 인구 조사에[13] 따른 주별 총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

주(Province)인구
(2010년 인구 조사)
2010년
도시화 %

출산율
인구
(2020년 인구 조사)
2022년 도시화 %
아체4,494,41023.6%2.795,274,90033.9%
북수마트라12,982,20442.4%3.0114,799,40055.5%
서수마트라4,846,90929.0%2.915,534,50048.5%
리아우5,538,36743.7%2.826,394,10040.0%
잠비3,092,26528.3%2.513,548,20033.8%
남수마트라7,450,39434.4%2.568,467,40037.7%
벵쿨루1,715,51829.4%2.512,010,70033.3%
람풍7,608,40521.0%2.459,007,80032.9%
방카-벨리퉁 제도1,223,29643.0%2.541,455,70057.6%
리아우 제도1,679,16367.4%2.382,064,60087.1%
반텐10,632,16652.2%2.3511,904,60072.4%
자카르타9,607,787100.0%1.8210,562,100100.0%
서자바43,053,73250.3%2.4348,274,20077.5%
중앙자바32,382,65740.4%2.2036,516,00051.7%
족자카르타3,457,49157.7%1.943,668,70073.1%
동자바37,476,75740.9%2.0040,665,70054.9%
발리3,890,75749.8%2.134,317,40066.9%
서누사떵가라4,500,21234.8%2.595,320,10049.6%
동누사떵가라4,683,82715.9%3.825,325,60025.9%
서칼리만탄4,395,98325.1%2.645,414,40036.4%
중부칼리만탄2,212,08927.5%2.562,670,00042.2%
남칼리만탄3,626,61636.3%2.354,073,60048.5%
동칼리만탄3,028,48757.6%2.613,766,00068.6%
북칼리만탄524,656701,80063.4%
북술라웨시2,270,59637.0%2.432,621,90053.7%
고론탈로1,040,16425.5%2.761,171,70043.5%
중술라웨시2,635,00919.7%2.942,985,70031.5%
남술라웨시8,034,77629.4%2.559,073,50044.6%
동남술라웨시2,232,58620.8%3.202,624,90037.6%
서술라웨시1,158,651--3.331,419,20021.4%
말루쿠1,533,50625.9%3.561,848,90037.0%
북말루쿠1,038,08729.5%3.351,282,90027.3%
파푸아2,833,38122.2%2.874,303,70030.2%
서파푸아760,422--3.181,134,10042.8%
인도네시아237,641,3262.41270,203,90056.4%



UN DESA(UN DESA)의 2022년 세계 인구 전망에[16] 따르면 1950년부터 2021년까지의 출생, 사망, 자연 증가, 출산율 등은 다음과 같다.

기간인구
(천 명)
출생아 수
(천 명)
사망자 수
(천 명)
자연 증가
(천 명)
조출생률조사망률자연 증가율합계 출산율영아 사망률기대 수명
(년)
195069,5682,8261,5051,32140.621.619.05.19189.139.40
196088,3833,9291,5932,33744.518.026.45.55148.346.45
1970115,2284,5961,5763,02139.913.726.25.45114.652.99
1980148,1774,9811,5213,46033.610.323.44.4986.958.75
1990182,1604,6471,4773,17025.58.117.43.1063.163.18
2000214,0724,6801,5813,09921.97.414.52.5441.166.43
2010244,0164,9201,8073,11220.27.412.82.4527.668.68
2021273,7534,4962,7551,74116.410.16.42.1818.667.57



인도네시아 통계청 자료에[17] 따르면 2003년부터 2021년까지의 출생, 사망, 자연 증가 등은 다음과 같다.

연평균 인구출생사망자연 증가조출생률(인구 1,000명당)조사망률(인구 1,000명당)자연 증가율(인구 1,000명당)출산율
2010237,641,326약 4,418,8711,236,154align="right" |18.65.2align="right" |align="right" |
2017261,355,500약 4,414,499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2.4
2021271,350,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2.18



총 출산율(TFR) 및 조출생률(CBR):[18]

연도전체도시농촌
조출생률TFR조출생률TFR조출생률TFR
199125.13.02 (2.50)24.02.60 (2.03)25.63.24 (2.73)
2002-200321.92.6 (2.2)22.12.4 (2.1)21.72.7 (2.3)
200720.92.6 (2.2)20.22.3 (2.0)21.52.8 (2.4)
201220.42.6 (2.0)20.12.4 (1.9)20.72.8 (2.2)
201718.12.4 (2.1)17.72.3 (1.9)18.52.6 (2.2)



중앙정보국(CIA) 팩트북에 따르면, 2020년 인도네시아의 평균 총 출산율은 여성 1인당 2.04명이었다.[19]

2010년과 2020년 합계 출산율:[20]

합계 출산율60세 이상 인구 (2010년)
20102020
수마트라 북부3.012.485.9
수마트라 서부2.912.468.1
리아우주2.822.284.0
잠비주2.512.285.5
수마트라 남부2.562.236.2
벵쿨루주2.512.305.8
람풍주2.452.287.2
방카-벨리퉁 제도2.542.245.8
리아우 제도2.382.213.4
자카르타1.821.755.1
자바 서부2.432.117.0
자바 중부2.202.0910.3
족자카르타1.941.8912.9
자바 동부2.001.9810.4
반텐주2.352.014.6
발리2.132.049.7
누사 틍가라 동부3.822.797.4
칼리만탄 서부2.642.335.8
칼리만탄 중부2.562.314.6
칼리만탄 남부2.352.315.8
칼리만탄 동부2.612.184.0
술라웨시 북부2.432.108.4
술라웨시 중부2.942.326.6
술라웨시 남부2.552.228.2
술라웨시 동남부3.202.575.8
고론탈로2.762.305.9
술라웨시 서부3.332.586.2
말루쿠3.562.526.2
말루쿠 북부3.352.474.8
파푸아 서부3.182.663.2
파푸아2.872.762.4


4. 지역 및 행정구역별 인구 통계

(2010년 인구 조사)2010년
도시화 %총
출산율인구
(2020년 인구 조사)2022년 [13] 도시화 %아체4,494,4102.795,274,900북수마트라12,982,2043.0114,799,400서수마트라4,846,9092.915,534,500리아우5,538,3672.826,394,100잠비3,092,2652.513,548,200남수마트라7,450,3942.568,467,400벵쿨루1,715,5182.512,010,700람풍7,608,4052.459,007,800방카-벨리퉁 제도1,223,2962.541,455,700리아우 제도1,679,1632.382,064,600반텐10,632,1662.3511,904,600자카르타9,607,7871.8210,562,100서자바43,053,7322.4348,274,200중앙자바32,382,6572.2036,516,000족자카르타3,457,4911.943,668,700동자바37,476,7572.0040,665,700발리3,890,7572.134,317,400서누사떵가라4,500,2122.595,320,100동누사떵가라4,683,8273.825,325,600서칼리만탄4,395,9832.645,414,400중부칼리만탄2,212,0892.562,670,000남칼리만탄3,626,6162.354,073,600동칼리만탄3,028,4872.613,766,000북칼리만탄524,656701,800북술라웨시2,270,5962.432,621,900고론탈로1,040,1642.761,171,700중술라웨시2,635,0092.942,985,700남술라웨시8,034,7762.559,073,500동남술라웨시2,232,5863.202,624,900서술라웨시1,158,651--3.331,419,200말루쿠1,533,5063.561,848,900북말루쿠1,038,0873.351,282,900파푸아2,833,3812.874,303,700서파푸아760,422--3.181,134,100인도네시아237,641,3262.41270,203,900



출처: 2010년 인구 조사,[2] 마지막 열은 2020년 인구 조사에서 가져옴.

참고: (a) 북칼리만탄주는 2012년에 (동칼리만탄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2010년 총 인구는 분리 이후의 주에 대한 수치이다 (도시화 % 및 총 출산율 열은 조정되지 않음).

4. 1. 지역별 인구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2010년 국가 인구 조사에서는 2억 3764만 명이었으나,[37] 10년 뒤인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2억 7020만 명으로 증가했다.[38] 인구의 56%가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인 자와섬에 살고 있다.[39]

인구밀도는 2000년 1km²당 107명, 2010년 124명, 2020년에는 141명으로 조사되었다. 자와섬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전체 인구의 56.10%인 1억 1559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주로 서부 자바 (베카시, 카라왕, 반둥, 데폭, 보고르), 동부 자바 (수라바야 및 그 주변 지역), 중부 자바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수마트라섬에는 인구의 21.68%인 5,856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기타 지역의 '공공 서비스 접근성 향상 계획'을 준비하고 있으며, 신(新)행정수도 이전 계획도 그 중 하나이다.[42]

지역별 인구
인구 비율 (2010년 조사)인구 비율 (2020년 조사)
수마트라섬21.3121.68
자와섬57.4956.10
칼리만탄5.806.15
술라웨시섬7.317.36
발리섬, 소순다 열도5.505.54
말루쿠 제도, 파푸아주2.603.17



행정구역별 인구
2010년 조사2020년 조사증감
아체주4,494,4105,274,871
증가
780,461
북수마트라주12,982,20414,799,361 1,817,157
서수마트라주4,846,9095,534,472 687,563
리아우주5,538,3676,394,087 855,720
잠비주3,092,2653,548,228 455,963
남수마트라주7,450,3948,467,432 1,017,038
븡클루주1,715,5182,010,670 295,152
람풍주7,608,4059,007,848 1,399,443
방카블리퉁주1,223,2961,455,678 232,382
리아우 제도주1,679,1632,064,564 385,401
자카르타9,607,78710,562,088 954,301
서자와주43,053,73248,274,162 5,220,430
중앙자와주32,382,65736,516,035 4,133,378
욕야카르타 특별주3,457,4913,668,719 211,228
동자와주37,476,75740,665,696 3,188,939
반텐주10,632,16611,904,562 1,272,396
발리주3,890,7574,317,404 426,647
서누사틍가라주4,500,2125,320,092 819,880
동누사틍가라주4,683,8275,325,566 641,739
서칼리만탄주4,395,9835,414,390 1,018,407
중앙칼리만탄주2,212,0892,669,969 457,880
남칼리만탄주3,626,6164,073,584 446,968
동칼리만탄주3,553,1433,766,039 212,896
북칼리만탄주동칼리만탄주 소속이었음 (2012년 분리)701,814-
북술라웨시주2,270,5962,621,923 351,327
중앙술라웨시주2,635,0092,985,734 350,725
남술라웨시주8,034,7769,073,509 1,038,733
동남술라웨시주2,232,5862,624,875 392,289
고론탈로주1,040,1641,171,681 131,517
서술라웨시주1,158,6511,419,229 260,578
말루쿠주1,533,5061,848,923 315,417
북말루쿠주1,038,0871,282,937 244,850
서파푸아주760,4221,134,068 373,646
파푸아주2,833,3814,303,707 1,470,326
인도네시아237,641,326270,203,917 32,562,561


4. 2. 행정구역별 인구

인도네시아의 인구 밀도는 2000년 1km²당 107명에서 2010년 124명, 2020년에는 141명으로 증가했다.[42] 자와섬에 전체 인구의 56.10%인 1억 1559만 명이 거주하여 인구 집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42] 이는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이라는 특징과도 관련이 있다.[39] 특히 서자와주, 동자와주, 중앙자와주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42] 수마트라섬에는 전체 인구의 21.68%인 5,856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42] 정부는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기타 지역의 '공공 서비스 접근성 향상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新)행정수도 이전 계획도 그 일환이다.[42]

지역별 인구
인구 비율 (2010년 조사)인구 비율 (2020년 조사)
수마트라섬21.3121.68
자와섬57.4956.10
칼리만탄5.806.15
술라웨시섬7.317.36
발리섬, 소순다 열도5.505.54
말루쿠 제도, 파푸아주2.603.17



행정구역별 인구
2010년 조사2020년 조사증감
아체주4,494,4105,274,871 780,461
북수마트라주12,982,20414,799,361 1,817,157
서수마트라주4,846,9095,534,472 687,563
리아우주5,538,3676,394,087 855,720
잠비주3,092,2653,548,228 455,963
남수마트라주7,450,3948,467,432 1,017,038
븡클루주1,715,5182,010,670 295,152
람풍주7,608,4059,007,848 1,399,443
방카블리퉁주1,223,2961,455,678 232,382
리아우 제도주1,679,1632,064,564 385,401
자카르타9,607,78710,562,088 954,301
서자와주43,053,73248,274,162 5,220,430
중앙자와주32,382,65736,516,035 4,133,378
욕야카르타 특별주3,457,4913,668,719 211,228
동자와주37,476,75740,665,696 3,188,939
반텐주10,632,16611,904,562 1,272,396
발리주3,890,7574,317,404 426,647
서누사틍가라주4,500,2125,320,092 819,880
동누사틍가라주4,683,8275,325,566 641,739
서칼리만탄주4,395,9835,414,390 1,018,407
중앙칼리만탄주2,212,0892,669,969 457,880
남칼리만탄주3,626,6164,073,584 446,968
동칼리만탄주3,553,1433,766,039 212,896
북칼리만탄주동칼리만탄주 소속이었음 (2012년 분리)701,814-
북술라웨시주2,270,5962,621,923 351,327
중앙술라웨시주2,635,0092,985,734 350,725
남술라웨시주8,034,7769,073,509 1,038,733
동남술라웨시주2,232,5862,624,875 392,289
고론탈로주1,040,1641,171,681 131,517
서술라웨시주1,158,6511,419,229 260,578
말루쿠주1,533,5061,848,923 315,417
북말루쿠주1,038,0871,282,937 244,850
서파푸아주760,4221,134,068 373,646
파푸아주2,833,3814,303,707 1,470,326
인도네시아237,641,326270,203,917 32,562,561



]

5. 민족

인도네시아는 약 600개의 다양한 토착 민족 집단이 17,000개 이상의 섬에서 공존하는 민족적 다양성이 풍부한 국가이다.[21] 인도네시아 인구 대다수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후손으로 서부 인도네시아와 중앙 인도네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아시아 대륙의 일부이다. 또 다른 대규모 집단은 멜라네시아인으로, 오세아니아의 동부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 서파푸아, 동누사틍가라)에 거주한다.[22][23]

자바인은 인구의 40.2%를 차지하는 최대 민족 집단으로, 문화, 경제, 정치적으로 지배적이다. 자바인은 자바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장 인구가 많은 섬인 특히 중부 및 동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군도 전역의 광범위한 이주로 인해 대부분의 주에서도 상당한 수를 차지한다. 순다인이 다음으로 큰 집단(15.4%)이며, 그 뒤를 말레이인, 바탁족, 마두라인, 브타위, 미낭카바우 및 부기스족이 따른다. 강력한 민족 및 지역 정체성과 함께 인도네시아 민족주의가 존재한다.[24]

민족 집단비율
자바인40.06%
순다인15.51%
말레이인3.70%
바탁3.58%
마두라인3.03%
브타위2.88%
미낭카바우2.73%
부기스2.71%
반텐족1.96%
반자르족1.74%
발리인1.66%
아체인1.44%
다약1.36%
사삭1.34%


6. 종교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무슬림 다수 국가이다. 민사 등록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내무부 자료 기준 인도네시아인의 87.06%가 무슬림이며, 10.47%가 기독교인(7.41%는 개신교, 3.06%는 로마 가톨릭)이고, 1.68%가 힌두교, 0.71%가 불교, 0.03%가 유교, 0.05%가 기타 종교이다.[26] 대부분의 인도네시아 힌두교인은 발리인이며,[27] 현대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불교인은 화교이다.[28]

7. 언어

인도네시아어인도네시아공용어이자 국어이며,[29] 인구의 97% 이상이 사용한다.[30] 인도네시아는 매우 다언어 사용 국가이다. Ethnologue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군도 전역에서 737개의 지역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31][32] 이는 전 세계 언어의 약 10%를 차지하며, 인도네시아를 세계에서 두 번째로 언어적으로 다양한 국가로 만든다.[31][32] 이 언어들의 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아체어, 바탁어, 순다어, 발리어, 반자르어, 부기어 등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 서부 및 중부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반면 동부 지역, 특히 파푸아말루쿠 제도는 270개 이상의 파푸아 제어의 고향이며, 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언어 유산을 나타낸다.[33] 모국어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8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는 자바어이며, 주로 자바섬의 중부 자바와 동부 자바에서 사용되지만, 이주로 인해 다른 많은 섬에서도 사용된다.

8. 문해율

definisiid: 만 15세 이상은 읽고 쓸 수 있음

총 인구문해율
전체92.81%
남성95.5%
여성90.4%



(2011년 추정)

공립학교에서는 교육이 무상으로 제공되며, 12학년까지 의무 교육이다. 초등 교육 적령 아동의 약 92%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지만, 이보다 훨씬 적은 비율이 전일제로 학교에 다닌다. 중학교 연령의 아동 중 약 44%가 중학교에 다니며, 이 연령대의 일부는 직업 학교에 다닌다.

9. 교육

인도네시아의 공립학교에서는 무상 교육이 제공되며, 12학년까지 의무 교육이다. 초등 교육 적령 아동의 약 92%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지만, 이보다 훨씬 적은 비율이 전일제로 학교에 다닌다. 중학교 연령 아동 중 약 44%가 중학교에 다니며, 이 연령대의 일부는 직업 학교에 다닌다.

2011년 추정치에 따르면, 만 15세 이상 인구의 문해율(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은 다음과 같다.

구분문해율
전체 인구92.81%
남성95.5%
여성90.4%


참조

[1] 웹사이트 Hasil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1-01-21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Indonesia by Province 1971, 1980, 1990, 1995, 2000 and 2010 https://web.archive.[...] Statistics Indonesia 2015-05-18
[3] 간행물 Indonesia's full-year population in 2023 https://web.archive.[...] 2024-06-23
[4] 간행물 Statistical Yearbook of Indonesia 2023 https://webapi.bps.g[...]
[5] 서적 Indonesia Lonely Planet
[6] 뉴스 Indonesia Population Approaching U.S. Revives Birth Control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4-01-28
[7] 웹사이트 Indonesia Demographics Profile https://www.indexmun[...] 2018-06-14
[8] 웹사이트 Indonesia Population – Our World in Data https://ourworldinda[...] 2022-02-15
[9] 웹사이트 Population of Indonesia by Province 1971, 1980, 1990, 1995, 2000 and 2010 https://web.archive.[...]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5-07-20
[10] 서적 Indonesian Society in Transition Uitgeverij W. van Hoeve 1959
[11] 서적 Geografi dan Kependudukan untuk SMP kelas 2 FA. Hasmar 1976
[12] 서적 Population trends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Equinox 2006
[13] 웹사이트 Long Form Sensus Penduduk 2020 - Badan Pusat Statistik https://sensus.bps.g[...] 2024-02-21
[14]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2022-06-28
[15] 문서 CBR = crude birth rate (per 1000); CDR = crude death rate (per 1000); NC = natural change (per 1000); TFR = total fertility rate (number of children per woman); IMR = infant mortality rate per 1000 births
[16] UN UN WPP
[17]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of Indonesia https://www.bps.go.i[...] 2021-05-03
[18] 웹사이트 MEASURE DHS: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http://microdata.wor[...] 2014-07-05
[19] 웹사이트 Indonesia People 2020, CIA World Factbook https://theodora.com[...] 2021-09-04
[20] 문서 http://www.ifa-fiv.o[...]
[21] 웹사이트 Mengulik Data Suku di Indonesia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15-11-18
[22] 서적 Indonesi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Ltd.
[24] 서적 Demography of Indonesia's Ethnicity https://books.google[...] Flipside Digital Content Company Inc. 2016-04-29
[25] 웹사이트 Religion in Indonesia https://e-database.k[...]
[26] 웹사이트 Religion in Indonesia https://e-database.k[...]
[27] 서적 Bali Periplus Editions
[28] 웹사이트 Indonesia – Buddhism http://countrystudie[...] U.S. Library of Congress 2006-10-15
[29] Wikisource Article 36 of The 1945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30] 간행물 Long Form Census 2020 https://www.bps.go.i[...]
[31] 간행물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9-11-17
[32] 웹사이트 What Countries Have the Most Languages? https://www.ethnolog[...] 2020-08-20
[33]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Twenty-first edition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18-09-20
[34] 웹사이트 Indones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04-06
[35] 웹사이트 The Indonesian Population Census 2020 Highlights https://unstats.un.o[...]
[36] 웹사이트 Cabinet Secretaria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Statistics Indonesia Releases 2020 Census Results https://setkab.go.id[...] 2021-01-23
[37] 웹인용 Population of Indonesia by Province 1971, 1980, 1990, 1995, 2000 and 2010 http://www.bps.go.id[...] Statistics Indonesia 2015-05-18
[38] 웹인용 Hasil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1-01-21
[39] 웹인용 Hasil Sensus Penduduk 2020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1-01-21
[40] 웹인용 "적게낳아 잘살아보자" 싱가포르·인니·인도-가족계획 성패 현장 https://www.joongang[...] 1983-08-03
[41] 웹사이트 https://www.indexmun[...]
[42] 웹인용 인도네시아 인구조사 결과와 시사점 https://news.kotra.o[...] 2021-03-29
[43] 웹인용 Department of Statistics of Indonesia https://www.bps.go.i[...]
[44] 웹사이트 http://microdata.w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