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차이나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차이나원숭이(Trachypithecus germaini)는 잎원숭이아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손과 발은 검은색, 몸 윗부분은 검은색이며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옅은 회색을 띤다.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잎, 어린 싹, 열매를 먹는 엽식성 식단을 가지고 있다. 표범, 호랑이, 승냥이 등이 포식자이며, 사냥, 애완동물 거래,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뚱원숭이속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 루뚱원숭이속 - 프랑수아랑구르
    프랑수아랑구르는 검은색 털과 흰색 구레나룻을 가진 영장류로, 중국 남서부와 베트남 북부의 카르스트 지형에 서식하며, 잎을 먹고 4~27마리 무리 생활을 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앙리 밀네두아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판다속
    판다속은 곰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자이언트판다와 멸종된 근연종을 포함하며, 크고 넓은 어금니와 발달된 턱 근육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곰과 내에서 판다아과 또는 곰아과 내의 자이언트판다족으로 분류된다.
  • 앙리 밀네두아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아시아두더지류
    아시아두더지류는 땃쥐와 비슷한 외형의 두더지과 포유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과거 분류 체계와 현재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876년 기재된 포유류 - 서부긴코가시두더지
    서부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섬 서부 고원 지대에 사는 단공류 포유류로, 지렁이를 주식으로 하며 길고 굽은 주둥이와 억센 털을 가진 멸종위급종이다.
  • 1876년 기재된 포유류 - 사향쥐캥거루
    사향쥐캥거루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 열대 우림에 서식하는 캥거루목 사향쥐캥거루과의 가장 작은 종으로, 다섯 개의 발가락을 가진 유일한 캥거루과 동물이며 주행성 잡식성 동물로서 씨앗 확산에 기여한다.
인도차이나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르망랑구르
제르망랑구르
상태멸종위기 (EN)
학명Trachypithecus germaini
명명자A. 밀른에드워즈, 1876
루뚱원숭이속 Trachypithecus
종 그룹Trachypithecus cristatus 그룹
이명해당 사항 없음
분포
제르망랑구르와 안남랑구르의 공동 서식지
제르망랑구르와 안남랑구르의 공동 서식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상과긴꼬리원숭이상과
긴꼬리원숭이과
아과콜로부스아과

2. 분류 및 진화

제르맹잎원숭이는 잎원숭이아과 콜로부스아과에 속한다.[4] 이 종의 분류는 논쟁의 대상이었으며, ''T. germaini''는 아과 내 다른 종들과 함께 묶이기도 했다.[4][7] ''T. germaini''와 ''T. margarita''는 단일 종인 ''T. villosus''로 여겨졌으나, 형태 및 유전적 증거를 통해 서로 다른 종임이 밝혀졌다.[4][7][8][9] 또한, ''T. germaini''는 최근 재분류 전까지 ''T. cristatus''와 함께 묶이기도 했다.[4]

인도차이나 루퉁, 제르맹잎원숭이, 제르맹은색잎원숭이, 인도차이나 잎원숭이, 인도차이나 은색잎원숭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10]

2. 1. 아종

다음과 같이 두 아종이 인정된다: ''Trachypithecus germaini germaini''와 ''Trachypithecus germaini caudalis.''[4][5][6]

3. 형태

제르맹원숭이는 손과 발에 검은색을 띠며, 몸 윗부분도 검은색을 띠지만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옅은 회색으로 변한다.[4] 길고 회색 꼬리와 둥근 얼굴에는 흰 털이 있다.[4] 새끼는 밝은 주황색 털을 가지고 있다.[4]

4. 분포 및 서식지

제르맹원숭이의 분포 경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재 아시아, 특히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에서 발견된다.[1] 베트남의 개체수는 심각하게 감소하여 지난 50년간 목격된 사례가 거의 없다.[1][11] 라오스에서는 이 종이 연속적인 분포를 보이지 않고, 상대적으로 개체수가 많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1][11] 캄보디아에서의 분포는 광범위하지만, 흔한 곳부터 드문 곳까지 개체수 변동이 크다.[1] 개체수 추정치가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는 케오 세이마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1,487마리의 안정적인 개체수가 보고되었다.[12][13] 태국에서는 이 종이 흔하며, 많은 보호 구역에서 대규모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다.[1] 제르맹원숭이는 육상 수목형 종으로, 종종 저지대에서 발견된다.[1] 그들은 상록수, 반상록수, 하천림, 혼합 활엽수림, 갤러리 숲을 선호한다.[1] 높은 고도나 언덕이 많은 지역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는다.[1]

5. 생태 및 행동

인도차이나원숭이(제르맹랑구르)는 잎, 어린 싹, 열매를 먹는 엽식성 동물이다.[4][14] 버섯과 흙을 섭취하는 모습도 관찰된다.[14] 이들은 먹이를 소화하기 위해 반추위 과정을 거치며, 이를 위해 휴식 시간이 필요하다.[14][15]

인도차이나원숭이를 포함한 아시아 콜로부스원숭이는 과일을 주로 먹는 마카크보다 사회적 상호 작용이 적은 편이다.[14][16] 먹이 섭취와 휴식이 하루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회적 행동에 쏟는 시간이 적다.[14] 그러나 인도차이나원숭이는 보통 10~50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 내에서는 가까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한다.[4][14]

5. 1. 포식자

표범, 호랑이, 승냥이 그리고 큰 등이 인도차이나원숭이를 잡아먹는다.[17] 다양한 종류의 작은 육식동물들은 새끼들을 잡아먹는다.[17]

6. 위협 요인 및 보존

인도차이나원숭이는 IUCN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되며, 지난 3세대 동안 50% 이상 감소했다.[1] 이 종은 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있어, 멸종을 피하기 위해 이 종의 거래를 통제해야 함을 의미한다.[1][18]

6. 1. 보존 노력

IUCN은 인도차이나원숭이(T. germaini)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했으며, 지난 3세대 동안 50% 이상 감소했다.[1] 이 종은 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있어 멸종을 막기 위해 거래를 통제해야 한다.[1][18]

종 지정에도 불구하고 보존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7][14] 이 종의 서식지 전반에 걸쳐 여러 보호 구역이 설정되어 종 보존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인도차이나원숭이는 베트남태국의 여러 보호 구역에서 기록되었다.[1] 베트남에서는 푸꾸옥 국립공원과 끼엔르엉 카르스트 지역의 두 보호 구역에서 개체수가 증가하여 보존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9]

참조

[1] 간행물 Trachypithecus germaini 2021
[2] 학술지 An updated taxonomy and conservation status review of Asian primates http://static1.1.sqs[...] 2018-08-30
[3] 서적
[4] 학술지 The First Report on Standardized Karyotype and Idiogram of Indochinese Silvered Langur, Trachypithecus germaini germaini (Primates, Colobinae) in Thailand https://www.jstage.j[...] 2015
[5] 서적 A Guide to the Large Mammals of Thailand Sarakadee Press
[6]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mammals of Thailand & South-East Asia Asia Books 2001
[7] 학술지 The Indochinese Silvered Leaf Monkey Trachypithecus germaini ( Sensu lato ) in Lao PDR 2013
[8] 학술지 Mitochondrial phylogeny, taxonomy and biogeography of the silvered langur species group (Trachypithecus cristatus)
[9] 서적 All the World's Primates Pogonias Press
[10] 웹사이트 Checklist of CITES species http://checklist.cit[...] 2020-04-07
[11] 서적 Wildlife in Lao PDR: 1999 status report World Conservation Union 1999
[12] 학술지 Long-term monitoring of wildlife populations for protected area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13] 보고서 Status of Key Species in Keo Seima Wildlife Sanctuary 2010-2020 https://library.wcs.[...] 2020-12-04
[14] 학술지 Ecology of the Germain's Langur Trachypithecus germaini in a Pre-release Environ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its conservation http://www.primate-s[...] 2023-12-30
[15] 학술지 Resting time as an ecological constraint on primate biogeography 2010
[16] 문서 Kirkpatrick, R.C. 2011. The Asian colobines: diversity among leaf-eating monkeys. In: Primates in Perspective, C.J. Campbell, A. Fuentes, K.C. MacKinnon and M. Panger (eds.), pp. 189–202.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7] 학술지 Trachypithecus cristatus (Primates: Cercopithecidae) 2010-01-25
[18] 웹사이트 How CITES works {{!}} CITES https://www.cites.or[...] 2020-04-07
[19] 학술지 Current conservation status of Germain's langur (Trachypithecus germaini) in Vietnam 2017
[20] 서적
[21]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