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주의자 선언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본주의자 선언문'은 인본주의의 가치와 신념을 담은 일련의 선언문들을 의미한다. 주요 선언문으로는 1933년에 발표된 '인본주의자 선언 I'이 있으며, 이는 초자연적 계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종교를 대체하는 새로운 종교로서 인본주의를 제시했다. 이후 1973년 '인본주의자 선언 II'가 발표되었으며, 나치즘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반영하여 보다 현실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2003년에는 '인본주의 선언 III'이 발표되었고, 이 외에도 '세속적 인본주의 선언 (1980)', '인본주의 선언 2000 (2000)', '암스테르담 선언 (2002)' 등 다양한 인본주의 관련 선언문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언문 - 샤론 선언문
샤론 선언문은 1960년 미국 보수주의 운동의 핵심 원칙인 개인의 자유, 경제적 자유, 제한된 정부 등을 담아 발표된 문서이다. - 인본주의 - 휴머니즘에 대해서
휴머니즘은 하이데거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비판하며 존재론적 관점에서 자유 개념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제시한 철학적 입장이다. - 인본주의 -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가 1570년부터 집필한 《수상록》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식민 정책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하며 몽테뉴 자신의 내면 탐구와 인간 본성에 대한 성찰, 철학적 회의주의, 르네상스 시대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
인본주의자 선언문 |
---|
2. 인본주의 선언의 역사
인본주의 선언은 1933년 첫 번째 선언(인본주의 선언 I) 발표 이후 여러 차례 새로운 선언이 발표되며 발전해 왔다. 주요 조직 종교의 신조와는 달리, 인본주의적 이상을 제시하는 것은 진행 중인 과정으로 여겨진다. 일부 인본주의자 공동체에서는 개인 선언문 작성을 권장하기도 하며, 인본주의 운동 전반에 걸쳐 인본주의자 선언문은 영구적이거나 권위 있는 교리가 아니라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받아들여진다.
로이 우드 셀러스와 레이먼드 브래그가 주로 작성하고 존 듀이를 포함한 34명이 서명한 최초의 ''인본주의자 선언 I''은 1933년에 출판되었다. 1973년에는 폴 커츠와 에드윈 H. 윌슨이 ''인본주의자 선언 II''를 작성하여 이전 선언문을 갱신하고 대체하였다. 2003년에는 미국 인본주의 협회 위원회가 ''인본주의와 그 열망'' (''인본주의 선언 III'')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22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서명자로 포함되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인본주의 선언문들이 발표되었다.
- 1952년 암스테르담 선언
- 세속 인본주의 선언(1980)
- 상호 의존 선언(1988)
- IEHU 인본주의에 관한 최소 성명(1996)
- 인본주의: 왜, 무엇, 무엇을 위해, 882단어(1996)
- 인본주의자 선언 2000: 새로운 행성 인본주의를 위한 외침
- 선언 2000의 약속
- 2002년 암스테르담 선언
- 현대 인본주의 선언(2012)
2. 1. 인본주의 선언 I (1933)
''인본주의자 선언 I''은 1933년 주로 로이 우드 셀러스와 레이먼드 브래그가 작성했으며, 존 듀이를 포함한 34명이 서명하였다. 이후의 선언문들과는 달리, 첫 번째 선언문은 초자연적 계시에 기반한 이전 종교를 초월하고 대체하는 종교 운동으로서 인본주의를 새로운 "종교"로 언급했다. 이 문서는 "탐욕적이고 이윤을 추구하는 사회"에 반대하며, 자발적인 상호 협력에 기반한 전 세계 평등 사회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15가지 신념 체계를 제시했다. 이는 20년 후 인본주의자 선언문의 소유주인 이사회가 상당히 완화시킨 표현이다."인본주의자 선언"이라는 제목은 이후의 선언문을 예견한 의도적인 것이었다. 주요 조직 종교의 신조와는 달리, 이러한 선언문에서 인본주의적 이상을 제시하는 것은 진행 중인 과정이다. 실제로 일부 인본주의자 공동체에서는 개인 선언문의 작성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며, 인본주의 운동 전반에 걸쳐 인본주의자 선언문은 영구적이거나 권위 있는 교리가 아니라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받아들여진다.
2. 2. 인본주의 선언 II (1973)
폴 커츠와 에드윈 H. 윌슨이 1973년에 작성한 두 번째 선언문은 이전 선언문을 갱신하고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선언문은 나치즘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경험으로 인해 첫 번째 선언문이 "너무 낙관적"이었다고 지적하며, 이전보다 훨씬 길고 정교한 17개 조항을 통해 더 현실적이고 냉철한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사라지고 빈곤이 없어지기를 바라는 희망을 담는 등 첫 번째 선언문의 낙관적인 면모도 일부 남아있었다.인종차별과 대량 살상 무기에 대한 반대, 강력한 인권 옹호와 같은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적은 편이다. 이혼과 피임의 합법화, 기술을 통한 삶의 개선과 같은 내용은 오늘날 서방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초자연주의를 거부하는 것 외에도, 낙태 권리와 같은 논쟁적인 입장을 강력하게 지지한다.
처음에는 적은 수의 서명만으로 출판되었지만, 이후 널리 퍼져나가 수천 명의 추가 서명을 받았다. 미국 인본주의 협회 웹사이트에서는 방문객들에게 서명을 권장하고 있다. 문서 마지막 부분에는 서명자들이 문서의 "모든 세부 사항에 반드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
1973년 선언문에서 자주 인용되는 구절로는 "어떤 신도 우리를 구원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구원해야 한다"와 "우리는 우리의 현재 모습과 미래의 모습에 대해 책임이 있다"가 있다. 이 구절들은 특정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종파 또는 전능한 신의 뜻에 복종하는 교리를 믿는 신자들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
2. 3. 인본주의 선언 III (2003)
''인본주의와 그 열망: 인본주의 선언 III, 1933년 인본주의 선언의 후속''이라는 전체 제목으로, 이 작품은 2003년 미국 인본주의 협회에서 위원회에 의해 출판되었다. 노벨상 수상자 22명을 포함한 여러 인사가 서명했다.[1] 이 새로운 문서는 이전 문서의 후속작이다.최신 선언문은 의도적으로 훨씬 짧으며, 이전 문서의 내용과 일치하는 6가지 주요 주제를 나열하고 있다.[1]
- 세계에 대한 지식은 관찰, 실험 및 합리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다.
- 인간은 자연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진화적 변화의 결과이고, 안내되지 않은 과정이다.
- 윤리적 가치는 경험에 의해 시험된 인간의 필요와 관심에서 파생된다.
- 삶의 충족은 인간적인 이상을 위한 개인의 참여에서 비롯된다.
-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이며 관계에서 의미를 찾는다.
- 사회에 이익을 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개인의 행복을 극대화한다.
3. 기타 인본주의 선언
미국 인본주의 협회(AHA) 외에도 여러 단체에서 인본주의 선언을 발표해 왔다. "인본주의자 선언문"이라는 명칭은 AHA가 상표권을 주장하지만, 세속 인본주의 협의회 등 다른 단체들도 이 용어를 사용해 왔다. AHA는 최초의 세 가지 ''인본주의자 선언문''을 모방한 새로운 성명서 발표를 장려했다.
발표 연도 | 제목 | 추가 설명 |
---|---|---|
1933 | [https://americanhumanist.org/what-is-humanism/manifesto1/ 인본주의자 선언 (I)] | |
1952 | [https://web.archive.org/web/20130628200009/http://iheu.org/content/amsterdam-declaration-1952 1952년 암스테르담 선언] | |
1973 | [https://americanhumanist.org/what-is-humanism/manifesto2/ 인본주의자 선언 II] | |
1980 | [https://web.archive.org/web/20080817084107/http://www.secularhumanism.org/index.php?section=main&page=declaration 세속 인본주의 선언] | 세속 인본주의 협의회 발표. 민주주의적 세속 인본주의 지지. |
1988 | [https://web.archive.org/web/20120926052944/http://www.iheu.org/node/2140 상호 의존 선언] | |
1996 | [https://web.archive.org/web/20081026003615/http://www.iheu.org/node/178 "IEHU 인본주의에 관한 최소 성명"] | |
1996 | [https://web.archive.org/web/20170704203641/http://mhec.humanists.net/HUMNISM.HTM "인본주의: 왜, 무엇, 무엇을 위해, 882단어"] | |
2000 | [http://www.secularhumanism.org/index.php?section=main&page=manifesto 인본주의자 선언 2000: 새로운 행성 인본주의를 위한 외침] | 폴 커츠 저서. 세속 인본주의 평의회 출판. |
2000 | [https://cdn.centerforinquiry.org/wp-content/uploads/sites/26/2000/01/22160019/p05.pdf "선언 2000의 약속"] | |
2002 | [https://web.archive.org/web/20071020200357/http://iheu.org/adamdecl.htm 2002년 암스테르담 선언] |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맹 총회 통과. 현대 인본주의 기본 원칙 천명. |
2003 | [https://americanhumanist.org/what-is-humanism/manifesto3/ 인본주의와 그 열망: 인본주의자 선언 III] | [http://aha-files.s3.amazonaws.com/63/238/HumanismandItsAspirations.pdf PDF 인쇄 가능 버전] |
2012 | [https://web.archive.org/web/20120629040523/http://www.humanisme-contemporain.com/ 현대 인본주의 선언]프랑스어 |
3. 1. 세속적 인본주의 선언 (1980)
폴 커츠가 설립한 세속 인본주의 협의회는 1980년 ''세속 인본주의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민주주의적 세속 인본주의에 대한 주장과 지지를 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었다.''세속 인본주의 선언''은 민주 세속 인본주의 협의회(CODESH)에 의해 발행되었으며, 이후 세속 인본주의 협의회(CSH)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폴 커츠가 편집한 이 선언문은 주로 미국 인본주의 협회의 1973년 ''인본주의 선언 II''의 내용을 재진술한 것이다. 커츠는 에드윈 H. 윌슨과 함께 ''인본주의 선언 II''의 공동 저자였으며, 둘 다 1979년 커츠가 떠나 자신의 운동과 정기 간행물을 설립하기 전까지 ''인본주의자''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세속 인본주의 선언''은 이러한 사업의 출발점이었다.
3. 2. 인본주의 선언 2000 (2000)
''인본주의 선언 2000: 새로운 행성적 인본주의를 위한 외침''(Humanist Manifesto 2000: A Call for a New Planetary Humanism영어)은 폴 커츠가 2000년에 출판한 책이다. 에세이 형식이 아닌 완결된 책 형태이며, 미국 인본주의 협회가 아닌 세속 인본주의 평의회에서 출판되었다. 커츠는 이 책에서 1973년에 공동 저술했던 ''인본주의자 선언 II''에서 이미 정립된 많은 사항들을 옹호하고 있다.[1]3. 3. 암스테르담 선언 (2002)
''암스테르담 선언 2002''는 2002년 제50주년 세계 인본주의자 대회를 맞아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맹(IHEU)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현대 인본주의의 기본 원칙에 대한 성명이다. IHEU에 따르면, 이 선언은 "세계 인본주의의 공식 성명"이다.IHEU의 모든 회원 단체가 공식적으로 이를 지지하며, 주요 단체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인본주의 협회
- 영국 인본주의 협회
- 캐나다 인본주의자
- 호주 인본주의 협회 협의회
- 세속 인본주의 협의회
- 게이 레즈비언 인본주의 협회
- 인본주의 윤리 연맹(Human-Etisk Forbund) (노르웨이 인본주의 협회)
- 아일랜드 인본주의 협회
- 인도 인본주의 연합
- 필리핀 무신론자 및 불가지론자 협회
이 선언은 대문자로 표기된 ''인본주의자''와 ''인본주의''만을 사용하는데, 이는 IHEU의 일반적인 관행이자 통일된 인본주의 정체성을 촉진하기 위한 권고와 일치한다. IHEU의 저명한 회원들은 인본주의 정체성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이러한 단어에 형용사를 붙이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사용법이 IHEU 회원 단체 사이에서 보편적인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은 이러한 관례를 준수한다.
4. 인본주의 선언과 한국 사회
인본주의 선언은 서구 사회의 산물이지만, 그 보편적 가치는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권위주의적 유교 문화와 급격한 민주화 과정을 겪은 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 사회 정의, 평등과 같은 인본주의적 가치는 더욱 중요하게 부각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