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제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제 단층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일대에 위치한 단층으로, 용두리, 홍천, 자은리 등 여러 지역에서 보고된 단층들을 포함한다. 이 단층은 경기 육괴의 남향 운동 과정에서 형성된 역단층으로 해석되며, 국도 제44호선 선형과 일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한계리, 부평리, 어론리, 자은리 등에서 단층 노두가 보고되었으며, 지질도폭 연구를 통해 단층의 방향, 경사, 성향 등이 분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천군의 지리 - 금왕 단층
    금왕 단층은 진천군에서 설악산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걸쳐 있으며 제4기 동안 여러 차례 재활동한 대규모 단층으로, 음성 분지와 풍암 분지 형성과 관련이 있고, 현재 활동성은 미약한 것으로 평가되나 지진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홍천군의 지리 - 홍천군의 지질
    홍천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을 기반으로 장락층군, 용두리편마암복합체, 의암층군 등이 분포하며,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이 넓게 분포하고, 인제 단층과 금왕 단층 등 여러 단층과 철-희토류 광상이 발달되어 있다.
  • 인제군의 지리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인제군의 지리 - 금왕 단층
    금왕 단층은 진천군에서 설악산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걸쳐 있으며 제4기 동안 여러 차례 재활동한 대규모 단층으로, 음성 분지와 풍암 분지 형성과 관련이 있고, 현재 활동성은 미약한 것으로 평가되나 지진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양평군의 지리 - 중미산
  • 양평군의 지리 - 유명산
    유명산은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하며 명성황후와 관련된 설화가 있는 경치 좋은 산으로, 한국전쟁 격전지였으나 현재는 등산 코스와 자연휴양림으로 인기가 많고 생태적 가치가 높다.
인제 단층
지도 정보
강원도 지역의 인제 단층과 [[금왕 단층]]
강원도 지역의 인제 단층과 금왕 단층
기본 정보
이름인제 단층
다른 이름麟蹄 斷層, Inje Fault
명명 유래인제군
위치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도시고성군
인제군
홍천군
양평군
용인시
좌표37°52′59.32″N 128°01′23.07″E
길이100 km 이상
방향북동-남서
경사거의 수직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상태비활성 단층
유형주향 이동 단층
이동우수향, 좌수향
암석선캄브리아기 편마암
대보 화강암
생성 시기중생대 백악기 이후
조산 운동불국사 조산운동
추가 정보
참고 자료http://www.ndmi.go.kr/common/download.jsp?PAGE_ID=P0000002178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509057413659

2. 지질 및 지형학적 특징

인제 단층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가진리에서 인제군을 거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까지 이어지는 선상구조를 가지고 있다.[1] 양평군 단월면부터 인제군까지는 국도 제44호선과 그 선형이 일치한다.

홍천군 홍천 지점에서 채취된 4개의 단층 시료를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한 결과, 8700만 년 전 이후 3차례의 단층 재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불국사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해석된다.[1]

2. 1. 지질도폭에서의 보고

용두리 지질도폭(1974)에 의하면 용두리편마암복합체 내의 '''용두리단층'''은 본역의 석영장석질편마암(PCEqf)과 같은 방향으로 동북쪽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수직 단층이다.[3] 홍천 지질도폭(1975)에서는 홍천읍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홍천 단층'''의 존재를 보고하였다. 이 단층은 홍천강 유역의 충적층에 의해 거의 대부분의 단층 경계가 피복되어 있고 단층에 의해 절단된 기준층(key bed; 열쇠층)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단층의 낙차와 수평 이동 거리는 측정할 수 없다. 단층선을 따라 암석 내에 매우 넓은 파쇄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층경면(Slickenside), 단층점토, 단층각력암 등이 관찰된다. 홍천단층의 방향은 흑운모화강암과 용두리편마암복합체와의 경계와 평행하며 홍천 단층은 화강암체의 관입과도 유관한 것으로 보여진다. 더욱이 화강암체 내의 포획암 배열이 단층선과 평행하다는 사실은 이 단층선에 따라 화강암체 관입 및 전에 약선이 존재해 있었음을 말해 준다.[4] 자은 지질도폭(1975)에서는 홍천강을 따라 북상하여 자은리에 이르는 북동 20~40 주향의 사교 수직단층을 보고하였다.[5] 창암장 지질도폭(2012)에 의하면 인제 단층의 선형은 원통리까지 국도 제44호선의 선형과 일치한다. 인제 단층은 경기 육괴가 남향 운동을 하는 과정 중에 형성된 역단층으로 해석된다.

2. 2. 단층 노두

위치지질주향[6]경사성향ESR 연대측정값비고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선캄브리아기 편마암북동서측으로 급경사역단층성 좌수향 주향이동-국도 제44호선 한계교 아래 하상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부평리선캄브리아기 편마암북북동거의 수직좌수향 주향이동부평리 저수지 북동단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어론리선캄브리아기 편마암북북동거의 수직하촌 계곡 하상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 북부석영맥 절단남-북 내지 북북동거의 수직우수향 주향이동-하상 노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 동부선캄브리아기 편마암남-북 내지 북북동서측으로 급경사정단층성 좌수향 주향이동-경수길 경수교 인근

[1]

3. 형성 시기 및 지진 활동

(인제 단층 문서의 '형성 시기 및 지진 활동' 섹션은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01-01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2] 웹인용 인제단층의 중생대 이후 재활동 연대 (Reactivated Timings of Inje Fault since the Mesozoic Era) https://scienceon.ki[...] 2015-01-01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3] 웹인용 龍頭里 地質圖幅說明書 (용두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4-01-01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4] 웹인용 洪川 地質圖幅說明書 (홍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01-01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5] 웹인용 自隱 地質圖幅說明書 (자은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01-01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6] 문서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