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연은 고려 시대의 승려로, 《삼국유사》의 저자이다. 1206년 경상도에서 태어나 1219년 승려가 되었으며, 1227년 승과에 합격했다. 원종의 부름을 받아 강화도에서 젠월당을 열고 목우화상의 법통을 이었으며, 대선사를 거쳐 국존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84세에 사망했으며, 인각사에 사리탑과 비석이 남아있다. 일연은 《삼국유사》 외에도 여러 불교 관련 서적을 저술했다. 《삼국유사》는 신라, 고구려, 백제의 유사를 모아 지은 책으로, 단군신화를 비롯하여 향가 14수가 수록되어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역사가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 한국의 역사가 - 최충
최충은 고려 시대 문신이자 교육자로,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구재학당을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해동공자로 불리며 고려 사학 발전에 기여하여 사후 문헌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206년 출생 - 귀위크 칸
귀위크 칸은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쿠릴타이를 통해 즉위하여 유럽 원정에 참여하고 교황에게 서신을 보냈지만, 과음으로 급사하여 몽골 제국의 유럽 진출을 늦추었다. - 1206년 출생 - 기혼
기모토는 1206년에 슌마쥰키의 아들로 태어나 1249년에 류큐국 중산왕으로 즉위하여 통치했으나 기근과 역병으로 국정 혼란을 겪고, 1259년에 에이소에게 왕위를 양위하고 퇴위한 인물로, 그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관련된 전설이 오키나와 본섬과 아마미 제도에 널리 퍼져 있다. - 고려의 선승 - 무학
무학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이자 태조 이성계의 왕사로, 속성은 박(朴)이고 본명은 자초(自超)이며, 법명인 무학은 '배움이 없는 자'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풍수지리에 능통하여 이성계의 한양 천도에 영향을 미치고 조선 건국 후 왕사로서 태조의 불교 신앙을 보좌하며 회암사에 머물렀다. - 고려의 선승 - 야운
야운은 여러 주제와 하위 주제로 구성될 예정인 미완성 문서이다.
일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보각국사 일연 전견명 |
원어 이름 | 普覺國師 一然 全見明 |
출생일 | 1206년 7월 18일 |
출생지 | 고려 경상도 장산 |
입적일 | 1289년 7월 26일 |
종파 | 선종 가지산문 |
부모 | 아버지 전언필(全彦弼, 1189 ~ 1211) 어머니 경주 김씨 부인(慶州 金氏 夫人, 1194 ~ 1287) |
입적지 | 고려 경상도 군위 |
본관 | 천안 ★백제 토성 |
별명 | 자(字)는 회연(晦然)·일연(一然) 호(號)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諡號)는 보각(普覺) 탑호(塔號)는 정조(靜照) 일명(一名)은 전견명(全見明) |
학력 | 1227년 승과 급제 |
거주지 | 고려 경상도 옥산 고려 경상도 경산 고려 양광도 공주 고려 양광도 천안 고려 서해도 해주 고려 개경 고려 경상도 남해 고려 경상도 진주 고려 경상도 군위 |
종교 | 불교 |
생애 및 활동 | |
주요 저서 | 삼국유사 |
작가 활동 | 삼국유사 중편조동오위 조원기 역대제강 |
기타 정보 | |
추가 이름 | 전견명 晦然 (회연) |
2. 연보
- 1206년 - 경상도 장산군 (오늘날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태어났다.
- 1208년 - 옥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1년 후 직계 일가족과 함께 장산으로 돌아갔다.
- 1209년 - 장산에서 성장하였다.
- 1219년 - 승려가 되었다.
- 1227년 - 승과 시험에 합격하였다.
- 1249년 - 남해 정림사에서 수행하면서 남해의 분사 대장도감에서 조판 사업에 참여하였다. 진주목부사병마금할시상서공부시랑 전광재(팔만대장경 행정총책임자)의 혈족이다.
- 1259년 - 대선사에 임명되었다.
- 1281년경 -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 1283년 - 충렬왕에 의해 국존(국사)으로 추대되었다.
- 1289년 - 인각사에서 장례를 치렀다. 장례-관후서사는 전척(全倜)이다.
3. 저서
일연은 삼국유사 외에도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인각사 일연비문에 따르면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을 썼다고 한다. 비문에는 《어록》 2권, 《게송잡저》 3권, 《조동오위》 2권, 《조도》 2권, 《대장수지록》 3권, 《제승법수》 7권, 《조정사원》 30권, 《선문염송사원》 30권 등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1] 그러나 이 비문에는 《삼국유사》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1]
3. 1. 삼국유사(三國遺事)
일연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을 썼다고 임종에 든 군위군 인각사 일연비문에 적혀 있다. 그러나 비문에는 《삼국유사》가 적혀있지 않다.정사인 『삼국사기』에 빠진 여러 사실들을 의도적으로 모아 엮은 『삼국유사』는 일연의 만년에 이루어진 저술이다. 하지만 내용 분석 결과, 왕력 연표 끝에 기록된 중국 왕조가 남송까지이며 “대송”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원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점으로 보아, 아직 송이 존속하던 시기에 대략적인 저술을 마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부분은 그가 운문사에 머물기 직전인 70세 무렵부터 국존의 칭호를 받은 78세까지(즉, 1275년 - 1283년)의 저술로 여겨진다.
3. 2. 기타 저서
일연의 저서로는 《어록》 2권, 《게송잡저》 3권, 《조동오위》 2권, 《조도》 2권, 《대장수지록》 3권, 《제승법수》 7권, 《조정사원》 30권, 《선문염송사원》 30권 등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전해진다.[1] 그러나 이 비문에는 《삼국유사》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1]4. 관련 문화재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 보물 제428호
참조
[1]
웹사이트
Il Yeon, the Author of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ttp://world.kbs.co.[...]
2023-09-04
[2]
웹사이트
Samguk Yusa
https://www.worldhis[...]
2023-09-04
[3]
문서
왕희지(王羲之)의 집자성교서(集字聖敎序)에 따르면 全과 金은 人 밑에 있는 王의 모양이 다르므로 全이 맞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