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할 양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용할 양식은 1936년 개봉한 미국 영화로, 대공황 시기 실직한 부부가 농장에서 자급자족을 시도하며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농장 공동체를 이룬 사람들은 농장 저당, 식량 부족, 가뭄 등 위기를 겪지만, 서로 협력하여 어려움을 극복해 나간다. 이 영화는 사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미국 국립 영화 보존 등기부에 등재될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을 소재로 한 영화 - 나라야마 부시코
《나라야마 부시코》는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의 1983년 영화로, 19세기 일본 산골 마을에서 70세 노인을 산에 버리는 풍습을 배경으로 가족의 삶과 죽음을 그린 작품이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 농업을 소재로 한 영화 - 마농의 샘
마농의 샘은 마르셀 파뇰의 소설 《언덕의 물》을 원작으로 하는 클로드 베리 감독의 1986년 프랑스 영화로, 프로방스를 배경으로 탐욕스러운 마을 사람들의 음모와 그로 인한 가족의 파멸 및 복수를 다룬 영화이다. - 사회적 사실주의 영화 - 마티 (영화)
1955년 델버트 맨 감독의 영화 《마티》는 브롱크스에 사는 34세 이탈리아계 미국인 정육점 주인 마티가 댄스홀에서 만난 평범한 여교사 클라라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과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 사회적 사실주의 영화 - 꼭대기 방
《꼭대기 방》은 잭 클레이턴 감독의 1959년 영국 드라마 영화로, 로렌스 하비, 시몬 시뇨레, 헤더 시어스 등이 출연하며, 전후 요크셔를 배경으로 성공을 위해 상류층 여성과 결혼하려는 젊은 남자의 욕망과 비극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으며,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아 다수의 영화상을 수상했다. - 1934년 영화 - 미스 페인스 베이비
미스 페인스 베이비는 어린 아들이 사라진 여배우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로, 실종 사건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사건 해결에 참여하며, 린드버그 유괴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 1934년 영화 - 라탈랑트
장 비고 감독의 1934년 프랑스 영화 라탈랑트는 바지선 '라탈랑트'를 배경으로 신혼부부와 선원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사후 재평가를 통해 프랑스 누벨바그에 큰 영향을 미친 영화사상 걸작으로 인정받는다.
일용할 양식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Our Daily Bread |
감독 | 킹 비더 |
제작 | 킹 비더 |
각본 | 엘리자베스 힐 조지프 L. 맨키위츠 (대화) |
출연 | 톰 킨 카렌 몰리 바버라 페퍼 |
음악 | 앨프레드 뉴먼 |
촬영 | 로버트 H. 플랭크 |
편집 | 로이드 노슬러 |
제작사 | 바이킹 프로덕션 |
배급사 |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
개봉일 | 1934년 8월 1일 (미국 초연) 1934년 10월 2일 (미국 일반) 1935년 3월 (일본) |
상영 시간 | 80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25,000 미국 달러 (추정) |
이전 작품 | 군중 |
2. 줄거리
대공황 시기, 실직한 존과 메리 심스 부부는 존의 삼촌에게 물려받은 농장에서 자급자족하며 살기로 결심한다. 도시 생활에 익숙했던 부부는 농업 경험이 전무했기에,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한다.
그러던 중, 미네소타 출신의 스웨덴 이민자 크리스를 만난다. 크리스 역시 실업자로, 일자리를 찾아 캘리포니아로 향하던 중이었지만, 차에 휘발유가 거의 떨어진 상태였다. 존은 크리스에게 농장에서 함께 일할 것을 제안하고, 크리스는 이를 수락한다. 크리스 가족의 도움으로 농장 개척은 진전을 보인다.
존은 크리스처럼 일자리는 없지만 의욕과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더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길가에 입간판을 세워 다양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을 초대한다. 농부, 목수, 이발사, 심지어 장의사까지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들어, 밭을 갈고 집을 지으며 유토피아적인 공동체를 이루어 나간다. 공동체의 리더로는 존이 선출된다.
하지만 농장은 곧 위기에 직면한다. 농장 저당이 실행되어 경매가 열리게 된 것이다. 농장 사람들은 침묵으로 입찰을 방해하여 헐값에 농장을 낙찰받는 데 성공한다.
작물이 자라기 시작했지만, 수확까지는 현금 수입이 없어 식량 등의 물자가 부족해진다. 이때, 동료 중 한 명인 루이가 현상 수배범임을 밝히며 자신을 신고해 현상금을 받으라고 제안하지만, 크리스는 거절한다. 루이는 샐리에게 같은 제안을 하고, 샐리는 이를 통해 500달러를 가져와 농장의 위기를 일시적으로 해결한다.
그러나 가뭄이 닥쳐 작물이 말라 죽을 위기에 처한다. 존은 리더로서 자신감을 잃고 샐리의 유혹에 넘어가 농장을 떠나려 하지만, 강 상류의 수력 발전소 소리를 듣고 깨달음을 얻는다. 존은 돌아와 수로 건설을 제안하고, 공동체는 힘을 합쳐 밤낮으로 작업하여 수로를 완성, 밭에 물을 대는 데 성공한다. 수확기에 밭 가득 열린 작물을 보며 기뻐하는 농장 사람들의 모습은 깊은 감동을 준다.
2. 1. 등장인물
- 캐런 모리 - 메리 심스 역
- 톰 킨 - 존 심스 역
- 바바라 페퍼 - 샐리 역
- 애디슨 리처즈 - 루이 푸엔테 역
- 존 퀄런 - 크리스 라르센 역
- 로이드 잉그라함 - 앤서니 삼촌 역
- 시드니 브레이시 - 집세 징수원 역
- 헨리 홀 - 프랭크 역
- 넬리 V. 니콜스 - 코헨 부인 역
- 프랭크 마이너 - 배관공 역
- 버드 레이 - 석공 역
- 해리 브라운 - 작은 남자 역
2. 1. 1. 주연
- 카렌 몰리 - 메리 심스 역
- 톰 킨 - 존 심스 역
- 바바라 페퍼 - 샐리 역
- 애디슨 리처즈 - 루이 푸엔테 역
- 존 퀄런 - 크리스 라르센 역
- 로이드 잉그라함 - 앤서니 삼촌 역
- 시드니 브레이시 - 집세 징수원 역
- 헨리 홀 - 프랭크 역
- 넬리 V. 니콜스 - 코헨 부인 역
- 프랭크 마이너 - 배관공 역
- 버드 레이 - 석공 역
- 해리 브라운 - 작은 남자 역
- 존: 톰 킨
- 메리: 카렌 몰리
- 크리스: 존 퀘일런
- 루이: 애디슨 리차즈
- 샐리: 바바라 페퍼
2. 1. 2. 조연
- 톰 킨 - 존 심스 역
- 캐런 모리 - 메리 심스 역
- 바바라 페퍼 - 샐리 역
- 애디슨 리처즈 - 루이 푸엔테 역
- 존 퀄런 - 크리스 라르센 역
- 로이드 잉그라함 - 앤서니 삼촌 역
- 시드니 브레이시 - 집세 징수원 역
- 헨리 홀 - 프랭크 역
- 넬리 V. 니콜스 - 코헨 부인 역
- 프랭크 마이너 - 배관공 역
- 버드 레이 - 석공 역
- 해리 브라운 - 작은 남자 역
3. 제작
킹 비더는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GM)의 프로듀서인 어빙 탈버그에게 영화 제작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비더는 직접 영화를 제작하여 유나이티드 아티스츠를 통해 배급했다. 비더는 자택을 저당 잡히는 등 사재를 털어 제작에 나섰다. 비더는 신문 기사를 스크랩하는 소녀를 1년간 고용하고, 로스앤젤레스 거리에서 실업자들을 엑스트라로 섭외하는 등, 현실적인 묘사를 위해 노력했다. 당초 ''군중''의 주연 배우 제임스 머레이를 재기용하려 했으나, 알코올 의존증으로 배우를 은퇴한 머레이는 비더의 제안을 거절했다. 자금난으로 유명 배우를 기용하기 어려웠지만, 비더의 친구인 찰리 채플린이 유나이티드 아티스츠를 통한 배급을 지원하며 도움을 주었다.
엘리자베스 힐이 각본을 썼고, 로버트 플랭크가 촬영을, 알프레드 뉴먼이 음악을, 로이드 노슬러가 편집을 담당했다.
4. 평가 및 유산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를 "놀라운 생명력과 정서적 영향력을 지닌 사회적 기록물"이라고 평가했다.[2][3]
UFA의 제작 책임자였던 에른스트 휴고 코렐은 이 영화가 마치 독일 선전부의 지시를 받아 만들어진 것처럼 완벽한 파시즘 선전 영화라고 언급했다.
2015년, 미국 의회도서관은 이 영화를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중요한" 작품으로 선정하여 국립 영화 보존 등기부에 보존하기로 했다.[4] 2020년 2월, 비더의 경력을 기리는 회고전의 일환으로 이 영화는 제7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5]
4. 1. 사회적 논란
''일용할 양식''은 공동체 농업이라는 주제 때문에, 개봉 당시 사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9] 캘리포니아주에서는 개봉이 늦어지거나,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는 광고 게재를 거부당하는 등의 불이익을 겪었다.[9]5. 사운드트랙
시드니 브레이시가 부른 "Just Because You're You"가 삽입되었다. 농부들은 "You're in the Army Now"를 불렀다. 농장의 음악가들은 스티븐 포스터의 곡인 "캠프타운 경마"를 연주했다. 톰 킨은 스티븐 포스터가 작사 및 작곡한 "오! 수재나"를 개사하여 불렀다.
6. 기타
참조
[1]
뉴스
The Year in Hollywood: 1934 May Be Remembered as the Beginning of the Sweetness-and-Light Era
https://select.nytim[...]
The New York Times
1934-12-30
[2]
웹사이트
Our Daily Bread (1934)
http://www.tcm.turne[...]
[3]
뉴스
The Screen King Vidor Dramatizes a Cooperative Farm in Our Dail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4-10-03
[4]
웹사이트
'Ghostbusters,' 'Top Gun,' 'Shawshank' Enter National Film Registry
http://www.hollywood[...]
2015-12-16
[5]
웹사이트
Berlinale 2020: Retrospective "King Vidor"
https://www.berlinal[...]
2020-02-28
[6]
웹사이트
Box office / business for Our Daily Bread (1934)
http://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8-11-03
[7]
웹사이트
The New Pictures - TIME
http://www.time.com/[...]
TIME
2008-11-03
[8]
서적
The Big Screen: The Story of the Movies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9]
웹사이트
アテネ・フランセ文化センター/データベース
http://www.athenee.n[...]
アテネ・フランセ
2008-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