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브리카테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브리카테아는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에 따른 하위 분류를 설명한다. 사족충류, 유공충류, 방사극충강, 규질사상근류로 나뉘며, 사족충류는 필로사와 엔도믹사로, 필로사는 레티쿨로필로사와 모나도필로사로 세분된다. 유공충류는 유공충아문과 다공낭충류로, 규질사상근류는 페르라티아와 플라코필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임브리카테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Imbricatea |
명명자 | Cavalier-Smith, 2003 |
이명 | Silicofilosea Adl et al. 2005 emend. Adl et al. 2012 |
하위 분류 | |
목 | 페를로필리아목 스폰고모나스목 로토스파에라목 타우마토모나스목 디스코셀리아목 디스코모나스목 조엘루카스목 바리그리스목 마리모나스목 붕어벌레목 |
2. 계통 분류
리자리아 내에서의 계통 분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
2019년 제안된 분류에 따르면, 리자리아는 크게 사족충류와 유공충류 등으로 나뉜다. 이 분류에서 방사극충강은 유공충류 분기군에 포함된다.[8]
한편, 2012년 Cavalier-Smith와 Chao가 제안한 분류 체계에서는 규질사상근류를 플라코페르라와 플라코누다 등으로 나누었다.[4]
2. 1. 사족충류 (Sarcomonadea)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사족충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8]2. 2. 유공충류 (Foraminifera)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유공충류는 유공충아문과 다공낭충류로 나뉜다.[8]2. 3. 방사극충강 (Acantharea)
2019년 발표된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방사극충강은 유공충류에 속하는 분류군이다.[8] 유공충류 내에서 방사극충강은 유공충아문 및 다공낭충류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8] 유공충류는 사족충류의 일부이며, 사족충류는 리자리아의 주요 하위 그룹 중 하나이다.[8]2. 4. 규질사상근류 (Silicofilosea)
규질사상근류(lat)는 리자리아에 속하는 원생생물 분류군이다. 2012년 Cavalier-Smith와 Chao의 연구에 따른 계통 분류에 의하면, 규질사상근류는 크게 플라코페르라(lat)와 플라코누다(lat)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4]2. 4. 1. 플라코페르라 (Placoferra)
플라코페르라(lat)는 규질사상근류의 하위 분류군으로, Cavalier-Smith & Chao가 2012년에 제안한 분류 체계에 따라 페르라티아(lat)와 플라코필라(lat)로 나뉜다. 페르라티아는 페를로필리다(lat) (Cavalier-Smith 2012)와 해면단편모충(lat) (Hibberd 1983 emend. Karpov 1990)을 포함하며, 플라코필라는 로토스파에리다(lat) (Rainer 1968)와 타우마토모나디다(lat) (Shirkina 1987)를 포함한다.[4]2. 4. 2. 플라코누다 (Placonuda)
Cavalier-Smith & Chao 2012에 따른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원반세포류 Cavalier-Smith 1997
- * 원반단편모충 Cavalier-Smith 2014
- ** 유글리피아
유글리피다 Copeland 1956 emend. Cavalier-Smith 1997
- ** 누디사르카
바리그리시다 Cavalier-Smith 2014
마리모나디다 Cavalier-Smith & Bass 2011
참조
[1]
논문
Distribu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reshwater thaumatomonads with a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Thaumatomonas coloniensis'' n. sp.
[2]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phylum Cercozoa (Protozoa)
http://pdfs.semantic[...]
2003-10
[3]
웹사이트
Cercozoa
http://tolweb.org/Ce[...]
2009-05-21
[4]
간행물
Oxnerella micra sp. n. (Oxnerellidae fam. n.), a Tiny Naked Centrohelid, and the Diversity and Evolution of Heliozoa
2012
[5]
논문
Distribu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reshwater thaumatomonads with a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Thaumatomonas coloniensis'' n. sp.
[6]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phylum Cercozoa (Protozoa)
[7]
웹인용
Cercozoa
http://tolweb.org/Ce[...]
2009-05-21
[8]
논문
Phylogenomics supports the monophyly of the Cercozoa
201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