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원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원식은 평안북도 의주 출신의 지휘자, 피아니스트, 교육자이다. 일본 도쿄 음악학교에서 수학하고 피아니스트로 데뷔했으며, 만주 하얼빈 교향악단 지휘자로 활동했다. 이후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지휘를 배우고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아시아인 최초의 지휘자가 되었다. 귀국 후 고려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국립교향악단 지휘자를 역임했고,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교장을 지냈다. 또한, 인천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으며, 말년에는 KBS 교향악단 명예 지휘자로 활동했다. 그는 다국어 사용자였으며, 윤이상 구명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 임씨 - 임영웅 (연극 연출가)
  • 전주 임씨 - 임상옥
    임상옥은 조선 후기 인삼 무역으로 거부가 된 상인으로, 이익보다 사람을 중시하는 상도 철학을 실천하며 사회에 공헌한 인물이며, 그의 삶은 드라마와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 대한민국의 음악 교육자 - 박영희 (작곡가)
    박영희는 1946년 청주 출생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며 한국 음악의 위상을 높인 작곡가로서, 윤이상의 지도를 받았고 독일에서 클라우스 후버 등에게 사사받았으며, 브레멘 예술대학교 교수 역임 및 아틀리에 노이에 무지크 창립을 통해 현대 음악 발전에 기여했고, 선법적 음 조직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으며,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회원 및 비오티 국제 음악 콩쿠르 심사위원 역임과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 베를린 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음악 교육자 - 이영자 (음악가)
    대한민국의 음악가 이영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졸업 후 프랑스, 벨기에, 미국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동아음악콩쿠르 심사위원, 한국여성작곡가협회 창설 및 이사장, 아시아작곡가연맹 한국위원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의주군 출신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의주군 출신 - 정비석
    정비석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대를 거치며 활동한 소설가로, 《자유부인》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친일 논란과 필화 사건을 겪었고, 4·19 혁명 이후 역사 소설을 주로 집필했다.
임원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8년 임원식 홍보 사진
본명임원식
출생일1919년 6월 24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북도 의주
사망일2002년 8월 26일
사망지서울, 대한민국
직업지휘자, 작곡가, 교육자
활동 시기1940년–2002년
개인 정보
국적대한민국
로마자 표기Im Won-sik
관련 정보
다른 이름임원식 (한자: 林元植)

2. 생애

임원식은 평안북도 의주에서 태어나 일본만주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활동했다. 해방 후 귀국하여 고려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인천 시립 교향악단 등 한국 주요 교향악단의 창단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고 경희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등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등 교육자로도 활발히 활동했다.

1969년 KBS 교향악단 운영권이 국립극장으로 이관되어 국립교향악단이 된 후에도 1971년까지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 사임 후에는 독일, 일본, 중화민국, 홍콩, 필리핀 등 해외 악단을 객원 지휘하기도 했다.

1966년 한국 음악 협회 이사장을 역임했고, 예총 부회장과 대종상 음악 부문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작곡가로서 '아무도 모르라고', '현충일 노래' 등을 남겼다. KBS 방송문화상, 문교부 5월 문예상, 서울시 문화상, 한국 예술원상, 은관문화훈장, 금호음악상 등을 수상했으며, 독일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기도 했다.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등 여러 외국어에 능통했다.[1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45년 11월 하얼빈 교향악단과 함께 지휘 데뷔를 하는 임원식(지휘대에 서 있는 사람)


평안북도 의주에서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2] 네 살 때 가족과 함께 만주 하얼빈으로 이주했다.[4] 어린 시절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를 배우며 음악에 처음 접했다. 사춘기에는 영화관에서 피아노를 치고 교회에서 찬송가를 연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1939년 백파 러시아인들이 설립한 음악학교를 졸업했다.[2] 이듬해에는 동경음악학교에 입학하여 모로이 사부로에게 사사했다.[5] 1940년 일본 도쿄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 무대를 가졌다.[6] 도쿄에서 거주하는 동안 영화 음악 편곡으로 생계를 유지했다.[6] 1942년 졸업 후 만주국으로 이주하여 하얼빈 교향악단에서 활동했다. 그곳에서 지휘자 아사히나 다카시를 만나 그의 지휘에 감명을 받았고, 이후 아사히나의 유일한 제자이자 평생 친구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집에서 아사히나를 소련군으로부터 보호하고 일본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왔다.[7]

2. 2. 해방과 한국전쟁 시기 활동

1945년 8·15 광복 이후, 임원식은 고국으로 돌아와 1946년 고려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다. 그러나 고려교향악단은 재정난과 내부 갈등으로 인해 해산되었고, 이에 임원식은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지휘를 공부하고 1948년에 귀국했다.[2] 귀국 후 1948년 1월, 한국 최초의 완전한 오페라 공연인 《라 트라비아타》를 서울에서 지휘했다.[2]

한국전쟁 중에는 피난지인 부산에서 육군 교향악단을 조직하여 활동했다.[7] 1950년 9월 23일, 그 해 초 서울 점령 기간 중 북한과 협력했다는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어 구금되기도 했다.[8] 1956년에는 KBS 교향악단을 창단해 초대 상임 지휘자가 되었다.[9]

2. 3. KBS 교향악단과 국립교향악단 시절

1946년 고려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으나, 악단이 재정난과 내분 등으로 해산되자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지휘를 배우고 1948년에 귀국했다.[2] 1948년 1월, 서울에서 한국 최초의 완전한 오페라 공연인 《라 트라비아타》를 지휘했다.[2] 한국전쟁 중에는 피난지인 부산에서 육군 교향악단을 조직해 활동했고, 1956년에는 KBS 교향악단을 창단해 초대 상임 지휘자가 되었다.[9]

1969년에 악단 운영권이 국립극장으로 이관되어 국립교향악단이 된 후에도 1971년까지 계속 상임 지휘자 직책을 맡았다.[9]

2. 4. 교육 활동

1953년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공동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경희대학교추계예술대학교에서 음악대학 학장 및 교수직을 역임했다.[9]

2. 5. 인천시립교향악단과 생애 말기

1984년 인천시립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부임해 1990년까지 재임하면서 악단의 기량과 음악성 향상에 기여했고, 1992년에는 악단으로부터 명예 상임 지휘자 직책을 수여받기도 했다.[4]

생애 말기에는 KBS 교향악단의 명예 지휘자와 한국 지휘자 협회의 명예 회장으로 활동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기념으로 열린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회에 출연해 노익장을 과시하기도 했으나,[4] 연주회 직후 위암 선고를 받고, 서울 아산병원에서 투병 중 타계했다.[4]

3. 주요 활동 및 업적

임원식은 1919년 의주에서 태어나 네 살 때 가족과 함께 만주 하얼빈으로 이주했다.[2][4] 어린 시절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를 배우며 음악에 처음 접했고, 사춘기에는 영화관에서 피아노를 치고 교회에서 찬송가를 연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1939년 백파 러시아인들이 설립한 음악학교를 졸업하고,[2] 이듬해 동경음악학교에 입학하여 모로이 사부로에게 배웠다.[5] 1940년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6]

1942년 졸업 후 만주국으로 이주하여 하얼빈 교향악단에서 활동하며 아사히나 다카시를 만나 그의 지휘에 감명을 받았다.[7]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아사히나를 소련군으로부터 보호하고 일본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왔다.[7]

1948년 1월, 서울에서 한국 최초의 완전한 오페라 공연인 《라 트라비아타》를 지휘했다.[2]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유학하며 아널드 쇤베르크에게 배우고 세르게이 쿠세비츠키에게 지휘를 배웠다.[2] 1949년 아시아인 최초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4][7]

1967년 작곡가 윤이상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자, 윤이상을 위해 증언하고 석방을 탄원했으며 그의 음악을 계속 연주했다.[10]

3. 1. 지휘 활동

1942년 만주로 건너가 만주국 국책 악단이었던 하얼빈 교향악단의 지휘자로 활동했다. 1946년 고려교향악단의 초대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으나, 악단이 재정난과 내분 등으로 해산되자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지휘를 배우고 1948년에 귀국했다.[2] 귀국 후, 1948년 1월, 서울에서 한국 최초의 완전한 오페라 공연인 《라 트라비아타》를 지휘했다.[2] 한국전쟁 중에는 피난지인 부산에서 육군 교향악단을 조직해 활동했고, 1956년에는 KBS 교향악단을 창단해 초대 상임 지휘자가 되었다.[9]

1969년에 악단 운영권이 국립극장으로 이관되어 국립교향악단이 된 후에도 1971년까지 계속 상임 지휘자 직책을 맡았고, 사임 후에는 구 서독일본, 중화민국, 홍콩, 필리핀 등지의 해외 악단을 객원 지휘하기도 했다.

1984년 인천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부임해 1990년까지 재임하면서 악단의 기량과 음악성 향상에 기여했고, 1992년에는 악단으로부터 명예 상임 지휘자 직책을 수여받기도 했다. 생애 말기에는 KBS 교향악단의 명예 지휘자와 한국 지휘자 협회의 명예 회장으로 활동했고, 2002년 6월 1일 한일 월드컵 기념으로 열린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회에 출연해 노익장을 과시하기도 했다.[4]

3. 2. 교육 활동

1961년 국내 최초의 예술 전문 고등교육 기관인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해 초대 교장을 역임했고,[9] 1953년에도 서울예술고등학교의 공동 설립자이자 교장을 역임했다. 1966년에는 한국 음악 협회 이사장으로 부임했다. 이후 경희대학교추계예술대학교 등에서 음악대학 학장과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예총 부회장과 대종상 음악 부문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3. 3. 작곡 활동

임원식은 지휘와 교육 활동 외에도 작곡가로서 '아무도 모르라고', '현충일 노래'와 같은 가곡을 작곡했다.[1]

3. 4. 사회 활동

1948년 1월, 서울에서 한국 최초의 완전한 오페라 공연인 《라 트라비아타》를 지휘했다.[2]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유학했다. 미국에서 아널드 쇤베르크에게 배우고 세르게이 쿠세비츠키에게 지휘를 배웠다.[2] 1949년 아시아인 최초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4][7]

1949년 귀국했다. 1950년 9월 23일, 서울 점령 기간 중 북한과 협력했다는 혐의로 대한민국 경찰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8] 1953년 서울예술고등학교 공동 설립자 겸 교장을 역임했다. 이후 경희대학교추계예술대학교에서 학장 및 교수를 역임했다. 1956년 KBS교향악단 초대 음악감독으로 임명되어 1970년까지 재직했다.[9]

1967년 작곡가 윤이상이 동백림 사건|東伯林事件한국어에 연루되어 체포되자, 윤이상을 위해 증언하고 석방을 탄원했으며 그의 음악을 계속 연주했다.[10]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과 바이올린 협주곡 한국 초연을 지휘했다.[9]

1984년 인천시립교향악단|仁川市立交響樂團한국어 음악감독으로 임명되었다. 1990년 물러났고, 2년 후 명예 상임 지휘자가 되었다. KBS교향악단 명예 상임 지휘자로도 임명되었다. 데뷔 50주년을 기념하여 베토벤 교향곡 전곡을 지휘했다.[6]

1971년 오사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일본 이외 지역에서 최초로 서울에서 공연할 때, 음악감독이었던 아사히나 다카시가 임원식에게 함께 지휘할 것을 제안했다. 수십 년 후, 두 사람은 2002년 FIFA 월드컵 기념 합동 공연을 계획했지만, 2001년 12월 아사히나의 사망으로 무산되었다. 2002년 2월 7일 아사히나 추모 공연에서 와카스기 히로시, 토야마 유조, 이와키 히로유키와 함께 지휘했다. 아사히나와 함께 할 계획이었던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월드컵 공연은 2002년 6월 1일 임원식 단독으로 진행되었다. 이 공연이 그의 마지막 공연이었다. 직후 말기 위암 진단을 받았고, 몇 주 후인 8월 26일 서울에서 사망했다.[4]

임원식은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는 물론 모국어인 한국어에 능통했다.[11]

4. 임원식과 아사히나 다카시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망한 직후, 하얼빈 교향악단은 해체되었고 악단에서 활동하던 일본인 음악가들도 자동적으로 적성국인으로 분류되었다. 상임 지휘자였던 아사히나 다카시도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때 임원식이 아사히나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 귀국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주선해 주었다.[7] 이 일화는 훗날 일본경제신문(니혼게이자이)에 게재되어 화제가 되었다.

임원식은 이후 오사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서울에서 첫 외국 공연을 가졌을 때 아사히나와 공동으로 지휘를 맡기도 했으며,[4] 서울 시립 교향악단의 연주회에 객원으로 출연할 수 있도록 주선하기도 했다. 2001년 아사히나 타계 후에는 오사카 필의 추모 음악회에 초대받아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제3번 2악장 아리아를 지휘하기도 했다.[4]

5. 임원식과 윤이상

작곡가 윤이상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서울에 압송되어 재판을 받게 되자, 임원식은 윤이상을 구명하기 위해 서명 운동을 벌였고 재판정에서도 증인으로 출석해 무고함을 호소했다.[10] 윤이상이 독일로 돌아간 뒤에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윤이상 작품을 지휘하고자 했으며, 베를린 교향악단 연주회에 객원 지휘자로 초청받았을 때에도 '무악'을 첫 곡으로 지휘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윤이상 구명 활동으로 인해 이흥렬, 구두회, 이유선, 정윤주 등 보수적인 성향의 국내 음악인들로부터 질타를 받기도 했으며, 국립교향악단 지휘자 사임 후에 일정한 직책 없이 객원 지휘자로 활동한 것도 이러한 비난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林元植氏が逝去 https://music.5ch.ne[...] 2021-07-18
[2] 웹사이트 작곡가ㆍ지휘자 임원식(林元植) https://m.blog.naver[...] 2021-07-18
[3] 뉴스 Musician Says Korea Will Go Communist https://www.newspape[...] 1948-05-11
[4] 웹사이트 朝比奈隆と林元植 http://junichichiba.[...] 2021-07-18
[5] 웹사이트 大阪音楽大学について 1966年~1975年 https://www.daion.ac[...] 2021-07-19
[6] 웹사이트 KBS교향악단, 운파 임원식 탄생 100주년 기념 음악회 https://www.asiae.co[...] 2019-07-08
[7] 웹사이트 임원식 탄생 100주년, 교향악단과 후학의 텃밭을 일군 거장 http://auditorium.kr[...] 2021-07-18
[8] 뉴스 Musician Held as Red Collaborator https://www.newspape[...] 1950-11-03
[9] 웹사이트 [사람들] 발자취/ 한국음악 발전에 헌신한 林元植 https://www.chosun.c[...] 2020-08-13
[10] 웹사이트 Yun Isang, Media, and the State: Forgetting and Remembering a Dissident Composer in Cold-War South Korea https://apjjf.org/20[...] 2020-10
[11] 웹사이트 林元植先生 https://blog.goo.ne.[...] 2021-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