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천군 (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천군은 중국 역사상 여러 왕조에서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주로 현재의 장시성 푸저우시 일대에 위치했다. 257년 오나라에 의해 설치되어 양주에 속했으며, 서진 시기에는 강주의 속군이 되었다. 이후 남조 시대에는 송, 제나라를 거치며 9개의 현을 관할했다. 수나라 때 무주로 통합되었다가 수 양제 때 임천군으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때 다시 무주로 바뀌었다. 당나라 시기에는 임천, 남성, 숭인, 남풍 4개 현을 관할했다.

2. 역사

257년(태평 2년), 나라가 예장군의 동부를 분할하여 임천군을 설치하고 양주에 속하게 했다.[1] 군 치소는 남성현에 두었다. 291년(원강 원년), 양주와 형주의 10군을 합쳐 강주가 설치되자 임천군은 강주에 속했다.[2] 진은 임천군에 10개 현을 두었다.[3]

남조 송과 제 시대에 임천군은 9개 현을 관할했다.[4][5]

589년(개황 9년), 수나라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임천군은 폐지되어 무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무주는 임천군으로 개칭되었고 4개 현을 관할했다.[6]

622년(무덕 5년), 당나라임사홍을 평정하자 임천군은 무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무주는 임천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임천군은 다시 무주로 바뀌면서 임천군의 명칭은 사라졌다.[7]

2. 1. 오 (삼국시대)

257년(동오 폐제 태평 2년), 나라가 예장군 동부를 분할하여 임천군을 설치하고 양주에 속하게 했다. 군의 치소는 남성현에 두었다.[8]

오나라 시기 임천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96년(후한 화제 영원 8년) 설치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본래 257년 임려현에서 신설된 서평현(西平縣). 280년(진 무제 태강 원년) 개명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 홍문진(洪門鎭) 동쪽 홍문저수지(洪門水庫) 안 → 푸저우시 난청현280년 현 치소 이전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257년 남성현에서 분리 신설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257년 남성현에서 분리 신설
영성현永成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본래 257년 남성현에서 신설된 영성현(永城縣). 265년(오 말제 감로 원년) 개명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257년 임려현에서 분리 신설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257년 임려현에서 분리 신설
서녕현西寧縣푸저우시 충런현 남 산사향(山斜鄕) 일대서진대에 서성현(西城縣)에서 개명. 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폐지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257년 임려현에서 분리 신설


2. 2. 서진

서진 시대에 임천군은 10현 8,500호를 거느렸다.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 강주가 신설되면서 강주의 속군이 되었다.[9][10]

서진 시대 임천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96년 (후한 화제 영원 8년)에 설치되었다.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본래 257년 임려현에서 신설된 서평현(西平縣)이었다. 280년(진 무제 태강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 홍문진(洪門鎭) 동쪽 홍문저수지(洪門水庫) 안 → 푸저우시 난청현280년 현의 치소가 지금의 난청현 중심지로 옮겨졌다.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257년 남성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257년 남성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영성현永成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본래 257년 남성현에서 신설된 영성현(永城縣)이었다. 265년(오 말제 감로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257년 임려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257년 임려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서녕현西寧縣푸저우시 충런현 남 산사향(山斜鄕) 일대서진대에 서성현(西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폐지되었다.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257년 임려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2. 3. 남조

과 제 시기 임천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2. 3. 1. 송 (남조)

송나라 시기 임천군은 내사가 군의 민정을 맡았으며, 9개 현, 8,983호, 64,805명을 거느렸다. 속현은 남제 시기에도 변하지 않았다.[10][11]

송 (남조) 시기 임천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후상(候相)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 남후상(候相)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후상(候相)양나라 때 파산군으로 분리되었다.
영성현永城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남상(男相)420년 영성현(永成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후상(候相)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남상(男相)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현령(縣令)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후상(候相)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남상(男相)


2. 3. 2. 제 (남조)

남제 시기에도 속현은 변하지 않았다.[10][11] 남제 시기 임천군은 남성, 임여, 신건, 영성, 의황, 남풍, 동흥, 안포, 서풍의 9개 현을 관할했다.[5]

남제 시기 임천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후상(候相)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 남후상(候相)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후상(候相)양나라 때 파산군으로 분리되었다.
영성현永城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남상(男相)420년 영성현(永成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후상(候相)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남상(男相)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현령(縣令)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후상(候相)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남상(男相)


2. 4. 수

수나라진나라를 정복한 뒤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인접한 파산군과 함께 '''무주(撫州)'''에 통폐합되었다.[12] 수양제 시기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무주가 임천군으로 바뀌었다. 4현 10,900호를 거느렸다. 수당교체기엔 임사홍이 점령했다.[13]

수나라 시기 임천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천현臨川縣푸저우시 무북진(撫北鎭)일대?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임려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서풍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동산(銅山), 황산(黃山), 몽수(夢水)가 있었다.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 동남589년 남풍현, 동흥현, 영성현의 3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오장산(五章山)이 있었다.
숭인현崇仁縣푸저우시 충런현파산군이 무주에 통폐합된 이후 파산군의 속현과 의황현, 안포현, 신건현이 통폐합되었다.
소무현邵武縣난핑시 사오우시592년(수 문제 개황 12년) 신설되었다.


2. 5. 당

622년(당 고조 무덕 5년) 임사홍을 정벌하면서 당에 편입되었다.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폐지된 임천군에 '''무주(撫州)'''가 설치되었고 임천, 남성, 소무, 의황, 숭인, 영성, 동흥, 장락의 8개 현을 통치했다.[13]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동흥, 영성, 장락 현이 통폐합되었고 소무 현이 건주로 이관되었다. 625년(당 고조 무덕 8년) 의황 현이 폐지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임천군으로 바뀌었으나 758년(당 현종 건원 원년) 주현제로 복귀하면서 다시 무주로 돌아왔다. 본래 3현 7,354호 40,685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 4현 30,605호 176,394명을 거느렸다.[13] 주에서는 10필을 공납으로 바쳤다.[14]

당나라 시기 임천군의 현
현명한자현급[14]대략적 위치비고
임천현臨川縣푸저우 시 무북진(撫北鎭) 일대?
남성현南城縣푸저우 시 난청 현 동남
숭인현崇仁縣푸저우 시 충런 현
남풍현南豐縣푸저우 시 난펑 현720년(당 현종 개원 8년), 남성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3. 속현

남조 시대에 임천군은 과 제 두 왕조를 거쳤다. 송나라와 제나라 모두 9개 현을 관할했다.[4][5]

남조 시대 임천군의 속현 변천
현명한자비고
임려현臨汝縣OO
서풍현西豐縣OO
신건현新建縣OO양나라 때 파산군으로 분리
영성현永城縣OO420년 영성현(永成縣)에서 개칭
의황현宜黃縣OO
남성현南城縣OO
남풍현南豐縣OO
동흥현東興縣OO
안포현安浦縣OO


3. 1. 오 (삼국시대) ~ 서진

257년(동오 폐제 태평 2년), 나라가 예장군 동부도위에 속했던 지역을 분리하여 임천군을 설치하였다.[8] 임천군은 양주에 속했으며, 군 치소는 남성현에 있었다. 서진 시대에 임천군은 10개 현, 8,500호를 거느렸다.[9]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 강주가 신설되면서 강주의 속군이 되었다.[10]

오나라, 서진 시기 임천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96년(후한 화제 영원 8년)에 설치되었다.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본래 257년 임려현에서 신설된 서평현(西平縣)이었다. 280년(진 무제 태강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 홍문진(洪門鎭) 동쪽 홍문저수지(洪門水庫) 안 → 푸저우시 난청현280년 현의 치소가 지금의 난청현 중심지로 옮겨졌다.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257년 남성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257년 남성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영성현永成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본래 257년 남성현에서 신설된 영성현(永城縣)이었다. 265년(오 말제 감로 원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257년 임려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257년 임려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서녕현西寧縣푸저우시 충런현 남 산사향(山斜鄕) 일대서진대에 서성현(西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폐지되었다.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257년 임려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3. 2. 남조

南朝중국어 시대에 임천군은 과 제 두 왕조를 거쳤다. 송나라 때는 9개 현[4], 제나라 때도 9개 현을 관할했다.[5] 각 현의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2. 1. 송 (남조)

송나라 때 임천군은 내사가 군의 민정을 맡았고 9개 현, 8,983호 64,805명을 거느렸다. 속현은 남제 시기에도 변하지 않았다.[10][11]

송나라 시기 임천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후상(候相)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 남후상(候相)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후상(候相)양나라 때 파산군으로 분리되었다.
영성현永城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남상(男相)420년 영성현(永成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후상(候相)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남상(男相)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현령(縣令)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후상(候相)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남상(男相)


3. 2. 2. 제 (남조)

시대 임천군은 남성, 임여, 신건, 영성, 의황, 남풍, 동흥, 안포, 서풍의 9개 현을 관할했다.[5][10][11]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임려현臨汝縣푸저우시 린촨구후상(候相)
서풍현西豐縣푸저우시 린촨구후상(候相)
신건현新建縣푸저우시 러안현 북 공계진(公溪鎭)후상(候相)양나라 때 파산군으로 분리되었다.
영성현永城縣푸저우시 리촨현 전동만(田東灣)남상(男相)420년 영성현(永成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의황현宜黃縣푸저우시 이황현후상(候相)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남상(男相)
남풍현南豐縣푸저우시 광창현 동 15리 만가산(萬家山) 일대현령(縣令)
동흥현東興縣푸저우시 리촨현 동북 30리 여상촌(畲上村) 일대후상(候相)
안포현安浦縣푸저우시 러안현 서남 60리 만숭진(萬崇鎭) 서북남상(男相)


3. 3. 수

수나라진나라를 정복한 뒤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인접한 파산군과 함께 '''무주(撫州)'''에 통폐합되었다. 수양제 시기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무주가 임천군으로 바뀌었다. 4현 10,900호를 거느렸다. 수당교체기엔 임사홍이 점령했다.[12][13]

수나라 시기 임천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천현臨川縣푸저우시 무북진(撫北鎭) 일대?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임려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서풍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동산(銅山), 황산(黃山), 몽수(夢水)가 있었다.
남성현南城縣푸저우시 난청현 동남589년 남풍현, 동흥현, 영성현의 3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오장산(五章山)이 있었다.
숭인현崇仁縣푸저우시 충런현파산군이 무주에 통폐합된 이후 파산군의 속현과 의황현, 안포현, 신건현이 통폐합되었다.
소무현邵武縣난핑시 사오우시592년(수 문제 개황 12년) 신설되었다.


3. 4. 당

622년(당 고조) 무덕 5년에 임사홍을 정벌하면서 당에 편입되었다.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폐지된 임천군에 '''무주(撫州)'''가 설치되었고 임천, 남성, 소무, 의황, 숭인, 영성, 동흥, 장락의 8개 현을 통치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동흥, 영성, 장락 현이 통폐합되었고 소무 현이 건주로 이관되었다. 625년(당 고조 무덕 8년) 의황 현이 폐지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임천군으로 바뀌었으나 758년(당 현종 건원 원년) 주현제로 복귀하면서 다시 무주로 돌아왔다. 본래 3현 7,354호 40,685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 4현 30,605호 176,394명을 거느렸다.[13] 주에서는 10필을 공납으로 바쳤다.[14]

당나라 시기 임천군의 현
현명한자현급[14]대략적 위치비고
임천현臨川縣푸저우 시 무북진(撫北鎭) 일대
남성현南城縣푸저우 시 난청 현 동남
숭인현崇仁縣푸저우 시 충런 현
남풍현南豐縣푸저우 시 난펑 현720년(당 현종 개원 8년), 남성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4. 행정 구역 변화

시기속주관할 현
257년 (태평 2년)양주남성현 (군 치소), 상세 현 정보 불명
291년 (원강 원년)강주임여, 서풍, 남성, 동흥, 남풍, 영성, 의황, 안포, 서녕, 신건 (10현)
남조 송(불명)임여, 서풍, 신건, 영성, 의황, 남성, 남풍, 동흥, 안포 (9현)
남조 제(불명)남성, 임여, 신건, 영성, 의황, 남풍, 동흥, 안포, 서풍 (9현)
589년 (개황 9년)무주 (임천군 폐지)(해당 없음)
607년 (대업 3년)(해당 없음, 군제 실시)임천, 남성, 숭인, 소무 (4현)
622년 (무덕 5년) ~ 742년 (천보 원년)무주 (임천군 복구)(상세 정보 불명)
742년 (천보 원년) ~ 758년 (건원 원년)(해당 없음, 군제 실시)(상세 정보 불명)


  • 257년 (태평 2년), 나라가 예장군의 동부를 분할하여 임천군을 설치했으며, 군 치소는 남성현에 두었다[1].
  • 291년 (원강 원년), 양주와 형주의 10군을 합쳐 강주가 설치되면서 임천군은 강주에 속하게 되었다[2].
  • 진 시대 임천군은 10개 현을 관할했다[3].
  • 남조 송 시대에는 9개 현을[4], 남조 제 시대에도 역시 9개 현을 관할했다[5].
  • 589년 (개황 9년), 수나라남조 진을 멸망시키면서 임천군은 폐지되어 무주에 편입되었다.
  •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무주는 다시 임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4개 현을 관할했다[6].
  • 622년 (무덕 5년), 당나라임사홍을 평정하면서 임천군은 무주로 바뀌었다.
  • 742년 (천보 원년), 무주가 다시 임천군으로 바뀌었다가, 758년 (건원 원년)에 다시 무주로 바뀌면서 임천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7].

참조

[1] 서적 삼국지
[2] 서적 진서
[3] 서적 진서
[4] 서적 송서
[5] 서적 남제서
[6] 서적 수서
[7] 서적 구당서
[8] 웹사이트 삼국지 48권 오서 제3 삼사주전 손량조 https://zh.wikisourc[...]
[9] 웹사이트 진서 14권 지 제5 지리지 하 양주 임천군 https://zh.wikisourc[...]
[10]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강주 임천군 https://zh.wikisourc[...]
[11] 웹사이트 남제서 14권 지 제6 주군지 상 강주 임천군 https://zh.wikisourc[...]
[12] 웹사이트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하 양주 임천군 https://zh.wikisourc[...]
[13] 웹사이트 구당서 40권 지 제20 지리지 3 강남서도 무주 https://zh.wikisourc[...]
[14] 웹사이트 원화군현도지 28권 강남도 4 무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