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천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천면은 백제 시대 가림군으로 시작하여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이 여러 번 바뀌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으로 부여군에 통합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현재 군사리에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하며, 조, 임, 방, 백, 적씨 등이 임천의 본관 성씨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의 행정 구역 - 규암면
    규암면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하며 백마강변의 교통 요지로서, 조선 후기에는 천을면으로 불렸고 현재는 19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 백제문화단지, 자온대, 수북정 등의 주요 시설과 문화유산이 있다.
  • 부여군의 행정 구역 - 규암면의 역사
    규암면은 신석기 시대부터 백제, 통일신라, 조선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 경제적 착취와 3.1 운동, 그리고 해방 이후 한국전쟁의 격동기를 겪었으며, 규암나루 쇠퇴 후 현재는 부여군의 관광 명소가 되었다.
  • 부여군 - 정림사지박물관
    정림사지박물관은 2006년 9월 29일에 개관했으며, 국보 제9호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보물 제108호인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등을 소장하고, 중앙홀, 백제 불교 문화관, 정림사지관,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실 등으로 전시를 구성한다.
  • 부여군 - 규암면
    규암면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하며 백마강변의 교통 요지로서, 조선 후기에는 천을면으로 불렸고 현재는 19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 백제문화단지, 자온대, 수북정 등의 주요 시설과 문화유산이 있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임천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임천면
한자 표기林川面
영문 표기Imcheon-myeon
광역시도충청남도
시군구부여군
면적43.15
세대1,664
세대 조사2011년 1월 1일
인구2,844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리11
행정리33
124
면사무소임천면 성흥로 97번길 23
홈페이지임천면 행정복지센터

2. 연혁

통일신라 757년(경덕왕 16) 가림(嘉林)으로 고쳐 웅주(熊州)에 예속하였다.

2. 1. 백제 시대

임천은 본래 백제의 가림군(加林郡)이었다.

2.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가림군(嘉林郡)이었다가 후에 가림현(嘉林縣)이 되어 감무가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 임주자사(林州刺史)를 두었다가, 다시 가림현(嘉林縣)이 되었고, 1315년(충숙왕 2) 지임주사(知林州事)로 승격하였다.

2. 3. 조선 시대

1394년(태조 3) 가림부(嘉林府)로 승격되었다가 1401년(태종 1) 환원되었다. 1403년 다시 부(府)로 승격되었고, 1413년 임천(林川)으로 고쳐서 군(郡)이 되었다. 1895년 홍주부(洪州府) 관내로, 1896년 충청남도 관내로 되었다.

2. 4. 일제강점기

1914년 부군폐합(府郡廢合) 때 부여, 홍산(鴻山)과 함께 부여군에 통합되었다.

3. 행정 구역

임천면은 군사리, 가신리, 구교리, 두곡리, 만사리, 발산리, 비정리, 옥곡리, 점리, 칠산리, 탑산리의 11개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복지센터는 군사리에 있다.

리(里) 이름한자 표기비고
군사리郡司里행정복지센터 소재지
가신리加神里
구교리舊校里
두곡리豆谷里
만사리萬社里
발산리鉢算里
비정리飛亭里
옥곡리玉谷里
점리店里
칠산리七山里
탑산리塔山里


4. 본관 성씨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충청도 공주목 임천군의 토성(土姓)으로 조(趙), 임(林), 방(方), 백(白), 적(翟)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임천 조씨(林川趙氏)'''는 고려 때 조천혁(趙天赫)을 시조로 한다. 조선 시대에는 조지서(趙之瑞) 등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 참조)

  • '''임천 임씨(林川林氏)'''는 시조, 본관의 유래, 세계 등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 참조)

  • '''임천 방씨(林川方氏)'''는 세종실록지리지에 임천 토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 '''임천 백씨(林川白氏)'''는 고려 때 백간미(白簡美)의 다섯째 아들 백경신(白景臣)을 시조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 참조)

  • '''임천 적씨(林川翟氏)'''는 세종실록지리지에 임천 토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4. 1. 임천 조씨(林川趙氏)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임천 지역의 토성(土姓)으로 조(趙), 임(林), 방(方), 백(白), 적(翟)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임천 조씨의 시조는 고려 시대 인물인 조천혁이다. 조선시대에는 시조의 10대손인 조지서가 있었다. 조원, 조희일, 조석형 3대는 모두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떨쳤다. 조원은 선조 때 정언(正言)으로서 당쟁의 폐해를 상소하였고, 승지에 이르렀으며, 《독서강의(讀書講疑)》 등의 저서를 남겼다. 조희일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고, 서화와 시문에 능하여 《죽음집(竹陰集)》 등을 남겼다. 조석형은 인조 때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하였으나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당시(唐詩)에 정통하였다. 조성기는 한문소설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을 남겼다. 조경호는 흥선대원군의 사위로 공조와 예조의 판서를 역임하였고, 일본이 준 남작(男爵) 작위를 거절하였다.

1985년 조사에 따르면 임천 조씨는 2,511가구 10,448명이었으며, 2000년에는 3,476가구 11,040명으로 나타났다.

4. 2. 임천 임씨(林川林氏)

《평택임씨대동보(平澤林氏大同譜)》 갑자보(甲子譜)에는 참판(參判) 임성(林惺)의 아들 임사순(林士栒)이 성균진사(成均進士)를 지냈고, 묘가 임천에 있었으나 실전(失傳)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임천 임씨(林川林氏)를 평택 임씨 진사공파(進士公派)라고도 하지만, 정확한 자료는 없다. 임천 임씨의 시조, 본관의 유래, 세계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2000년 인구 조사 결과, 416가구 총 1,336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3. 임천 방씨(林川方氏)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임천 지역의 토성(土姓) 중 하나로 방(方)씨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4. 4. 임천 백씨(林川白氏)

고려 선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 겸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백간미(白簡美)의 다섯째 아들 백경신(白景臣)이 임천 백씨의 시조이다. 백경신은 간신들이 국정을 좌지우지하자 임천으로 내려와 살기 시작했다.

그의 아들 백진식(白眞植)은 의종 때 중서성(中書省) 상장군(上將軍)에 올랐고, 임천부원군(林川府院君)에 봉해졌다.

백수정(白守貞)은 1216년(고종 3)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로 재직 중, 대요수국의 유민인 거란 유종(契丹遺種)이 침입하자 고려군 삼군(三軍) 중 중군(中軍)의 지병마사(知兵馬事)로 출전하였다. 이후 대장군(大將軍)으로 승진하였으나, 1217년(고종 4) 3월 평안북도 박천군에 있는 태조탄(太祖灘)에서 전사하였다.

후손들은 임천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임천 백씨는 151가구, 총 473명이다.

4. 5. 임천 적씨(林川翟氏)

세종실록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임천군 조에는 임천 토성으로 조(趙)·임(林)·방(方)·백(白)·적(翟)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