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니 총을 얻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니, 총을 얻다》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포탄에 맞아 사지를 잃고 의식을 유지한 채 갇힌 군인 조 본햄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조는 모스 부호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려 하고, 안락사를 간청하지만 거부당한다. 소설은 1939년에 발표되었지만, 반전적인 내용으로 인해 여러 차례 절판과 복간을 반복했다. 달톤 트럼보가 직접 감독하고 각본을 맡아 1971년에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영화는 소설의 내용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시각적인 묘사를 강화했고, 흑백과 컬러를 사용하여 현실과 환상을 구분했다. 영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지만, 구로사와 아키라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꼽았고, 메탈리카의 노래 "One"의 뮤직 비디오에도 영화의 클립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락사를 소재로 한 영화 - 밀리언 달러 베이비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감독, 제작, 주연을 맡은 영화 《밀리언 달러 베이비》는 왕년의 권투 트레이너가 여성 복서를 훈련시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며, 아카데미상 수상과 함께 안락사 및 장애인 묘사 논란을 일으켰다.
  • 안락사를 소재로 한 영화 - 잠자는 미녀 (영화)
    2012년 개봉한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이탈리아 영화 잠자는 미녀는 엘루아나 엥글라로 사건을 배경으로 안락사 합법화에 대한 정치적 갈등과 이념 대립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 혼수상태 딸을 간호하는 여배우의 절망, 삶의 희망을 되찾는 여성의 이야기를 교차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영화이다.
  • 절단 장애인을 소재로 한 영화 - 로보캅 3
    《로보캅 3》는 파산한 디트로이트를 인수한 OCP의 도시 재건 계획에 저항하는 시민들과 OCP의 횡포에 맞서 싸우며 인간성을 회복하는 로보캅의 이야기를 그린 SF 액션 영화이다.
  • 절단 장애인을 소재로 한 영화 - 킹스 로우
    《킹스 로우》는 1890년대 중서부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다섯 아이들의 성장, 사랑, 삶의 고난을 그린 1942년 미국 영화로, 가족의 비밀, 사랑과 배신, 사회적 불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로널드 레이건 출연과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의 음악으로 유명하다.
  • 서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영화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1930년 영화)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루이스 마일스톤 감독의 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병사들이 전쟁의 잔혹한 현실과 허무함을 겪으며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지만 나치 독일의 반대로 상영 금지되기도 했다.
  • 서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영화 - 빅 퍼레이드
    빅 퍼레이드는 1925년 킹 비더가 감독한 미국 무성 전쟁 로맨스 영화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의 사랑과 이별, 재회를 다루며 무성 영화 시대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자니 총을 얻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Johnny Got His Gun 포스터
원래 극장 포스터
감독달톤 트럼보
제작자브루스 캠벨
각본달톤 트럼보, 루이스 부뉴엘 (미등재)
원작자니 총을 얻다 by 달톤 트럼보
출연티모시 바톰즈
캐시 필즈
마샤 헌트
제이슨 로버즈
도널드 서덜랜드
다이앤 바시
음악제리 필딩
촬영줄스 브레너
편집밀리 무어
스튜디오월드 엔터테인먼트
배급사시네메이션 인더스트리스
개봉일}}
상영 시간111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예산1백만 달러 이상
흥행 수익767,794 달러 (미국/캐나다 극장 임대) 또는 1백만 달러
관련 정보

2. 줄거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젊은 군인 조 본햄은 포탄을 맞고 병원 침대에서 깨어난다. 눈, 귀, 입, 코, 사지를 잃었지만 의식은 또렷하여 갇힌 신세가 된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며 가족, 여자친구 카린과 함께 했던 과거를 회상한다.

어느 크리스마스 밤, 새로 부임한 간호사가 조의 가슴에 MERRY CHRISTMAS를 한 글자씩 손으로 쓴다. 그는 그것을 이해하고 반응하려 머리를 움직이지만, 간호사에게 그 의도는 전달되지 않았다.

조는 머리를 베개에 부딪혀 모스 부호로 "도와줘"를 반복하며 소통을 시도한다.[1] 군의관들은 조가 모스 부호로 SOS 신호를 보내고 있음을 알아차리고, 조에게 의식이 있다는 사실에 경악한다.[1]

군의관은 조의 이마에 모스 부호를 두드려 무엇을 원하는지 묻는다.[1] 조는 자신을 대중 앞에 내보여 진열해 달라고 답한다. 이는 구경 요금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려는 의도였다.[1] 군의관이 이를 거절하자, 조는 "죽여 달라"고 요구한다.[1] 그 후 조는 어떤 질문에도 "죽여 달라"는 말만 반복한다.[1]

2. 1. 소설

소설은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인공 조 본햄의 내적 독백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된다. 본작의 화자는 조(조니가 아님)이며, 그의 과거 기억이나 현재 상황 등 모든 것이 그의 "내적 독백"으로만 기술되어 있고, 제3자의 시점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어느 크리스마스 밤, 새로 부임한 간호사가 조의 가슴에 MERRY CHRISTMAS를 한 글자씩 손으로 쓴다. 그는 그것을 이해하고 반응하려 머리를 움직이지만, 그를 물체가 아닌 인간으로 대하는 간호사에게도 그 의도는 전달되지 않았다.

과거의 사람들과 교류를 회상하던 조에게 어느 날, 그의 아버지가 모스 부호의 힌트를 준다. 마침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모스 부호를 사용해 필사적으로 주변에 호소한다. 마음씨 착한 새로운 간호사가 조가 무언가를 호소하고 있음을 눈치채고 의사를 부르러 가지만, 경련으로만 이해한 의사는 진정제를 놓을 뿐이었다.

2. 1. 1. 제1장 "죽은 자"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젊은 군인 조 본햄은 포탄에 맞아 병원 침대에서 깨어난다. 그는 눈, 귀, 입, 코, 사지를 잃었지만 의식은 또렷하여, 갇힌 신세가 된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며 그는 크리스찬 사이언스를 믿는 가족, 여자친구 카린과 함께 했던 과거를 회상한다.

조는 징병으로 인해 사랑하는 연인 카린과 이별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다. 그러나 이국의 전장에서 적의 포탄을 피하려고 참호에 뛰어들었지만, 눈(시각), 코(후각), 입(언어), 귀(청각)를 잃고, 옮겨진 병원에서 괴저로 인해 양팔과 양다리마저 절단된다.

목과 머리만 겨우 움직일 수 있는 조는 현재 시간, 경과된 시간, 자신이 있는 곳, 누가 가까이 오는지 등을 피부 감각으로 감지하려 한다. 한편, 진정제를 정기적으로 투여받으며 그의 의식은 현재와 과거 사이를 헤맨다. 연인 카린이나 전쟁에 가기 전에 죽은 아버지와 함께 했던, 실제로는 과거에 없었던 수많은 공상의 사건들에 몰입하다가, 다시 현실의 '고독'과 '암흑' 속으로 돌아온다.

2. 1. 2. 제2장 "산 자"

조는 머리를 베개에 부딪혀 모스 부호로 "도와줘"를 반복하며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려 필사적으로 소통을 시도한다.[1] 군의 의무관들은 조가 모스 부호를 통해 SOS 신호를 보내고 있음을 알아차리고, 조에게 의식이 있다는 사실에 경악한다.[1]

최고 책임자의 지시에 따라 군의관은 조의 이마에 모스 부호를 두드려 무엇을 원하는지 묻는다.[1] 조는 "자신을 대중 앞에 내보여 진열해 달라"고 답한다. 이는 자신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비용을 구경 요금으로 충당하려는 의도였다.[1] 군의관이 이를 거절하자, 조는 "그럼 죽여 달라"고 요구한다.[1] 그 후 조는 어떤 질문에도 "죽여 달라"는 말만을 반복하며 절망적인 심정을 드러낸다.[1]

2. 2. 영화

영화는 원작자인 달톤 트럼보가 직접 감독 및 각본을 맡아 1971년에 미국 영화로 제작되었다.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 그랑프리,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국제 에반젤리 영화 위원회 상을 수상했다. 영화는 시청자의 시각에 호소할 필요가 있어, 제3자의 시점에서 묘사된 점이 소설과는 크게 다르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조가 알 수 없는 주변 상황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소설에서는 그려지지 않았던 "죽음의 존엄"에 대한 메시지를 시청자에게 전달하고 있다.[22]

3. 등장인물

다음은 영화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배역배우설명
조 본햄티모시 보텀스주인공
10살의 조케리 맥레인
카린캐시 필즈조의 여자친구
마르시아 본햄마샤 헌트조의 어머니
빌 본햄제이슨 로바즈조의 아버지
그리스도도널드 서덜랜드조의 환상 속에 나타나는 인물
네 번째 간호사다이앤 바시조와 처음으로 소통하는 인물
조디 시몬스도널드 배리빵집 주인
팀론 하사에릭 크리스마스영국 군인
틸러리 대령(후에 장군)에두아르트 프란츠조의 주치의
마이크 버크먼찰스 맥그로우카린의 아버지
미국 장군바이런 모로우
럭키샌디 브라운 와이어스샌프란시스코 출신 매춘부
영국 대령모리스 델리모어
금발머리 (제1차 세계 대전 군인)앤서니 기어리
사제에드먼드 길버트
세 번째 간호사앨리스 넌
첫 번째 간호사마지 레드먼드
두 번째 간호사조딘 루소
스웨덴인 (제1차 세계 대전 군인)데이비드 소울
기술자브루스 왓슨모스 부호를 사용하여 조와 소통하는 인물



조의 환상 중 하나에서, 달튼 트럼보는 (로버트 콜(Robert Cole)로 크레딧 됨) 조를 살려두면서 배운 의료 기술을 칭찬하는 연설자 역을 맡아, 다음 전쟁에서 돈을 절약할 것이라고 말한다.

3. 1. 소설


  • '''조 본햄''' (Joe Bonham영어): 본작의 주인공. 촉각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각을 잃고, 손발도 없는 "의식을 가진 산 송장"이 되어 버린다.
  • '''간호사''': 조를 담당하는 간호사. 조에게 호의적이며, 조에게 의식이 남아있다는 것을 알아챈다.
  • '''카린''' (Kareen영어): 조가 출정하기 전의 연인.
  • '''빌 본햄''' (Bill Bonham영어): 조의 아버지.
  • '''메이샤 본햄''' (Macia Bonham영어): 조의 어머니.

3. 2. 영화


  • '''조 본햄''' (Joe Bonham영어): 영화의 주인공으로, 티모시 보텀스가 연기했다. 케리 맥클레인은 10살 때의 조를 연기했다. 소설과 마찬가지로, 조는 촉각을 제외한 거의 모든 감각을 잃고 사지가 없는 상태로, "의식을 가진 산 송장"이 된다.
  • '''카린'''(Kareen영어): 조가 전쟁에 나가기 전의 연인으로, 캐시 필즈가 연기했다.
  • '''마르시아 본햄''' (Marcia Bonham영어): 조의 어머니로, 마샤 헌트가 연기했다.
  • '''빌 본햄''' (Bill Bonham영어): 조의 아버지로, 제이슨 로바즈가 연기했다.
  • '''그리스도'''(Christ영어): 조의 환상 속에 나타나는 인물로, 도널드 서덜랜드가 연기했다.
  • '''네 번째 간호사''': 조와 처음으로 소통하는 간호사로, 다이앤 바시가 연기했다.
  • '''조디 시몬스'''(Jody Simmons영어): 빵집 주인으로, 도널드 배리가 연기했다.
  • '''팀론 하사'''(Timlon영어): 영국 군인으로, 에릭 크리스마스가 연기했다.
  • '''틸러리 대령/장군'''(Tillery영어): 조의 주치의로, 에두아르트 프란츠가 연기했다.
  • '''마이크 버크먼'''(Mike Burkman영어): 카린의 아버지로, 찰스 맥그로우가 연기했다.


조의 환상 중 하나에서, 달튼 트럼보는 (로버트 콜(Robert Cole)로 크레딧 됨) 조를 살려두면서 배운 의료 기술을 칭찬하는 연설자 역을 맡아, 다음 전쟁에서 돈을 절약할 것이라고 말한다.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NET TV판)
조 본햄티모시 보텀스마츠하시 노보루
카린Kathy Fields영어후타키 테루미
조의 아버지제이슨 로바즈오키 타미오
조의 어머니마샤 헌트쿄다 나오코
다이앤Diane Varsi영어야마다 사나에
그리스도도널드 서덜랜드카유미 이에마사
틸라리 군의관Eduard Franz영어타카토 마사야스
마이크 버크먼찰스 맥그로우마스오카 히로시
럭키샌디 브라운 와이에스와타나베 노리코
소년 시절의 조켈리 맥클레인노자와 마사코
그 외: 미야가와 요이치, 도쿠마루 칸, 미야타 미츠루, 우에다 토시야, 키요카와 모토무, 이시마루 히로야, 와카모토 키아키


4. 제작

달튼 트럼보는 1964년 루이스 부뉘엘과 함께 영화화를 시도했으나 자금 조달 실패로 무산되었다.[6] 1966년, 프로듀서 브루스 캠벨과 다시 영화화를 추진, 워너 브라더스에서의 계획은 무산되었지만, 캠벨과 트럼보는 8만 달러를 투자하고 25명의 투자자로부터 60만 달러를 유치하여 제작을 진행했다. 영화의 총 현금 지출은 75만 달러였으나, 기술 수수료 연기로 예산은 100만 달러를 넘어섰다.[2]

영화는 병원 장면을 흑백으로, 꿈과 기억을 컬러로 촬영하여 조의 현실과 환상을 구분했다.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조의 꿈은 낚시 여행이나 카린과 함께 보낸 마지막 밤과 같은 기억보다 더 강렬한 색상으로 표현되었다. 조의 부상은 영화에서 직접적으로 묘사되지 않고, 얼굴은 항상 마스크로, 몸은 병원 시트로 가려져 표현되었다.

결국 영화는 원작자인 달튼 트럼보가 직접 감독 및 각본을 맡아 1971년에 미국 영화로 제작되었다.

5. 평가 및 반응

이 영화는 1971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2등상)를 밀로스 포먼의 영화 ''떠돌이''와 공동 수상했으며,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수상했다.[7][8][9]

영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로저 이버트는 4점 만점에 4점을 주며, 트럼보가 이 소재를 "반전(反戰)이라기보다는 친생명적인 방식으로 다루었다"라고 호평했다.[10] 반면, ''뉴욕 타임스''의 로저 그린스펀은 "진부하고 부정확한 감상주의와 공상으로 뒤범벅되었다"라며 "무기력할 정도로 형편없는 영화"라고 혹평했다.[11]

''시카고 트리뷴''의 진 시스켈은 4점 만점에 2.5점을 주면서, 컬러 회상 장면은 "연기와 각본이 형편없고", 꿈 장면은 "자주 너무 상세하고 거의 환상적이지 않다"라고 비평했다.[12]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찰스 챔플린은 "너무 늦은 듯하다"라며 "결국 우리를 감동시킬 힘을 많이 잃었다"라고 평가했다.[13] ''워싱턴 포스트''의 톰 셰일스는 "트럼보는 작가로서 충분히 세련되지도 않았고, 감독으로서 우리를 오랫동안 사로잡거나 놀라게 할 만큼 충분히 능숙하지 않다"라고 비판했다.[14]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21명의 평론가 중 67%가 이 영화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6.7/10이다.[16] 구로사와 아키라는 이 영화를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꼽았다.[17][18]

6. 반전성 및 주제

본작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인 1939년에 발표되었으나, 반전적인 내용으로 인해 전쟁 기간 동안 발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21] 한국 전쟁을 거치며 절판과 복간을 반복하다가, 베트남 전쟁 이후 반전 운동의 상징적인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영화는 소설의 반전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강화하여, 전쟁의 참혹함과 개인의 존엄성 문제를 더욱 부각시켰다.

제목 "자니, 총을 얻다(Johnny Got His Gun)"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징병 구호 "자니, 총을 잡아라(Johnny Get Your Gun)"를 풍자한 것이다.[21]

7. 한국어 번역


  • 新田秀夫|신타 히데오일본어 역, 《자니, 전쟁터로 가다》 (카도카와 문고). ISBN 4-04-229201-1
  • 斎藤数衛|사이토 카즈에일본어 역, 《자니, 총을 얻다》 (하야카와 서방). ISBN 4-15-207143-5
  • 波多野里沙子|하타노 리사코일본어 역, 《신역 자니, 전쟁터로 가다》 (카도카와 신서). ISBN 978-404-0825045

8. 기타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곡 "One"은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뮤직 비디오에는 영화의 장면이 사용되었다.[19] 1984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동명의 TV 영화가 제작되었다.[19] 2008년 벤자민 매켄지가 주연한 무대 공연이 영화화되어 교육용 DVD로 배포되었다.[20]

9. 논란

조 본햄의 "죽여 달라"는 요구는 존엄사 논쟁과 연결된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개인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해야 하지만, 생명 윤리의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는 딜레마를 보여준다. 더불어민주당은 과거 안락사 관련 법안을 발의한 적이 있으나, 사회적 합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입법에 실패했다.[1]

참조

[1] AFI film
[2] 간행물 Pacifist 'Johnny Got His Gun' Course To B.O. A Trip-&-Recover Steeplechase 1971-08-04
[3] 간행물 Cinemation's 275,000 Share Offer; Wants To Fend Off 'Raiding Parties' 1972-12-06
[4] 서적 American film distribution : the changing marketplace https://archive.org/[...] UMI Research Press
[5] 웹사이트 Fantasia Obscura: How the Real-Life 'Trumbo' Influenced... Metallica? http://www.rebeatmag[...] RebeatMag.com 2016-09-26
[6] 서적 100 Great War Movies: The Real History Behind the Films ABC-CLIO 2018
[7] 웹사이트 TAKING OFF https://www.festival[...] 2023-10-22
[8]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aking Off http://www.festival-[...] 2009-04-13
[9]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Johnny Got His Gun http://www.festival-[...] 2009-04-12
[10] 웹사이트 Johnny Got His Gun https://www.rogerebe[...] 2019-04-29
[11] 뉴스 Screen: Pacifist Strategy of 'Johnny Got His Gun' https://www.nytimes.[...] 1971-08-05
[12] 뉴스 Brilliant novel, a flawed film 1971-09-03
[13] 뉴스 Cannes Festival: First 2 U.S. Entries Screened 1971-05-17
[14] 뉴스 'Johnny Got His Gun': Good Intentions 1971-09-16
[15] 간행물 Johnny Got His Gun 1972-11
[16] 웹사이트 Johnny Got His Gun https://www.rottento[...] 2020-04-02
[17] 웹사이트 From Stanley Kubrick to Martin Scorsese: Akira Kurosawa once named his top 100 favourite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2022-09-20
[18] 웹사이트 Akira Kurosawa's Top 100 Movies! http://wildgrounds.c[...]
[19] 문서 Johnny si vzal pušku https://www.fdb.cz/f[...]
[20] 문서 Variety review of the "live on stage, on film" version of Johnny Got His Gun http://www.johnnygot[...]
[21] 웹사이트 SparkNotes: Johnny Got His Gun: Themes, Motifs, and Symbols http://www.sparknote[...] SparkNotes.com 2012-11-14
[22] 문서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2012
[23] 문서 One http://www.allmus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