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모는 문자 체계에서 가장 작은 기능적 단위로, 음소에 대응하는 글자소이다. 자모는 결합하여 문자를 형성하며, 단일 음소가 여러 자모로 표시될 수 있다. 자모는 기원전 1000년경 가나안 일대에서 셈어의 일환으로 발명되었으며, 페니키아 문자를 거쳐 라틴 문자가 등장했다. 자모는 대문자와 소문자, 분음 부호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로마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등 다양한 문자 체계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자 -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는 글자를 배열하는 방식의 차이를 말하며, 역사적으로 세로쓰기가 표준이었으나 현대에는 가로쓰기가 일반적이고, 글자 배열, 구두점 및 기호, 루비 문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문자 - 십자
    십자는 두 선의 교차점으로,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십자가형 상징이자 다양한 문화권과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호 또는 도형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자모
문자
종류문자
쓰기 체계알파벳
언어학그래프

2. 역사

자모의 발명은 서양을 기준으로 하면 가나안 일대에서 셈어의 일환으로 생겨났으며 그 시기는 기원전 1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전례는 셈어족 계통어로 기원전 1800년대에 나타났다고 추정되고 있으며 그리스의 문자 체계는 기원전 800년에 출현했다.

한자 문화권에서 ‘자모(字母)’라는 말의 원래 뜻은 음절의 첫 닿소리인 성모를 표현하기 위해 대신 쓰는 글자였다.

미국 수화 알파벳, 수지의 글자 예시


알파벳 이전에는 소리의 그래픽 기호인 표음 문자가 사용되었다. 표음 문자에는 단어 전체를 나타내는 그림인 음절 문자, 단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 기호 또는 글자를 나타내는 알파벳 문자의 세 가지 종류가 있었다. 이 중 가장 초기의 예는 기원전 3000년경의 고대 이집트와 고대 중국에서 발견된다. 최초의 자음 알파벳은 기원전 1800년경에 등장했으며, 이집트에서 일하던 셈족인 페니키아인을 나타냈다. 그들의 문자는 원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었다. 페니키아 문자에서 에트루리아 문자와 그리스 문자가 나왔다. 여기서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알파벳인 라틴 문자가 등장했으며, 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고 읽는다.[3]

페니키아 문자는 22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 19개는 라틴 문자가 사용했고, 기원전 900년경에 개정된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에서 사용된 문자에 4개의 문자를 추가했다. 이 그리스 문자는 자음 소리뿐만 아니라 모음에도 문자를 할당한 최초의 문자였다.

로마 제국은 기원전 500년경부터 라틴 문자를 더욱 발전시키고 개선했다. 5세기와 6세기 동안 로마 문자에 소문자의 발달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시점에서는 문단, 대문자 및 소문자, 문장 및 절의 개념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마지막 개발은 7세기 말과 8세기 초에 나타났다.[4]

마지막으로 서구 세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알파벳에 약간의 문자 추가 및 삭제가 이루어졌다. 쏜 Þ þang, wynn Ƿ ƿang, eth Ð ðang와 같은 특정 문자의 제거와 같은 사소한 변화가 있었다.[5]

3. 정의 및 용법

자모는 말할 때 각 분절을 상징하는 요소로서, 음성학적으로는 각각의 자모가 고유한 소리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 사용 시에는 앞뒤 자모에 따라 소리가 변하기도 한다. 한국어의 'ㅀ', 'ㄶ'이나 영어의 "ch", "sh", "th"처럼 이중자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고, 독일어의 "sch"와 같이 삼중자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1]

또한, 스페인어의 'c'처럼 특정 자모가 앞이나 뒤의 문자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 스페인어에서 'c'는 'a', 'o', 'u' 앞에서는 [k]로, 'e', 'i' 앞에서는 [s]로 발음된다.

문자 체계 중 하나인 자모는 언어 내에서 순서를 규정하기도 하는데, 이는 각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글자는 글자소의 일종으로, 문자 체계 내에서 가장 작은 기능적 단위이며, 음성에서 가장 작은 기능적 음성 단위인 음소에 대응된다. 글자들이 결합하여 문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단일 음소는 여러 글자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를 ''복자''라고 한다. 복자에는 영어의 'ch', 'sh', 'th'와 같은 이중자나 'tch'와 같은 삼중자가 있다.[1]

같은 글자꼴이 서로 다른 알파벳에서 서로 다른 음소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틴 문자 H, 그리스 문자 에타, 키릴 문자 en은 동형 문자이지만 서로 다른 음소를 나타낸다. 반대로, 그리스 문자 시그마, 키릴 문자 es의 뚜렷한 형태는 각각 유사한 /s/ 음소를 나타낸다.[1]

그리스 문자를 특징으로 하는 고대 비문


글자는 특정 이름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언어와 방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Z는 미국 밖에서는 'zed'라고 불리지만, 미국에서는 'zee'라고 불린다. 알파벳에서 글자는 알파벳순으로 정렬되며, 이는 언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스페인어에서 ñ는 n과 별개의 글자로 간주되지만, 영어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1]

글자는 로마 숫자와 같이 숫자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수학, 과학 및 공학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사람과 물건은 글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기도 하는데, 글자가 약어이거나, 알파벳순이 계산 시스템으로 사용되거나, 글자 모양이 특정한 것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1]

4. 유형

자모는 말할 때 각 분절을 상징하는 요소로서, 음성학 자체만으로는 각 자모가 각개의 소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사용 시에는 꼭 하나의 소리만으로 나는 것이 아니라 앞뒤 자모에 따라 다른 소리로 바뀌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는 'ㅀ', 'ㄶ' 등이 있으며, 영어에서는 "ch", "sh", "th" 등이 이중자로 한 소리를 나타낸다. 독일어의 "sch"와 같이 삼중자가 한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페인어의 'c'처럼 특정 자모가 앞이나 뒤의 문자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기도 한다. 스페인어에서 c는 'a', 'o', 'u' 앞에서는 [k]로, 'e', 'i' 앞에서는 [s]로 발음된다.

문자 체계 중 하나인 자모는 언어 내 순서를 규정짓기도 하는데, 이는 각 언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다.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자모를 갖춘 문자에는 로마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등이 있다.

문자자모
앗삼 문자অ, আ, ই, ঈ, উ, ঊ, ঋ, এ, ঐ, ও, ঔ, ক, খ, গ, ঘ, ঙ, চ, ছ, জ, ঝ, ঞ, ট, ঠ, ড, ঢ, ণ, ত, থ, দ, ধ, ন, প, ফ, ব, ভ, ম, য, ৰ, ল, ৱ, শ, ষ, স, হ, ড়, ঢ়, য়, ৎ, ং, ঃ, ঁ
아랍 문자(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 اar, بar, تar, ثar, جar, حar, خar, دar, ذar, رar, زar, سar, شar, صar, ضar, طar, ظar, عar, غar, فar, قar, كar, لar, مar, نar, هar, وar, يar
아르메니아 문자Ա, Բ, Գ, Դ, Ե, Զ, Է, Ը, Թ, Ժ, Ի, Լ, Խ, Ծ, Կ, Հ, Ձ, Ղ, Ճ, Մ, Յ, Ն, Շ, Ո, Չ, Պ, Ջ, Ռ, Ս, Վ, Տ, Ր, Ց, Ւ, Փ, Ք, Օ, Ֆ
시리아 문자(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 ܐ, ܒ, ܓ, ܕ, ܗ, ܘ, ܙ, ܚ, ܛ, ܝ, ܟܟ, ܠ, ܡܡ, ܢܢ, ܣ, ܥ, ܦ, ܨ, ܩ, ܪ, ܫ, ܬ
키릴 문자А, Б, В, Г, Д, Е, Ж, З, И, І,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Ю, Я
조지아 문자ა, ბ, გ, დ, ე, ვ, ზ, თ, 이, კ, ლ, მ, ნ, ო, პ, ჟ, რ, ს, ტ, უ, ფ, ქ, ღ, ყ, შ, ჩ, ც, ძ, წ, ჭ, ხ, ჯ, ჰ
그리스 문자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히브리 문자(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 א, ב, ג, ד, ה, ו, ז, ח, ט, י, כ, ל, מ, נ, ס, ע, פ, צ, ק, ר, ש, ת
로마자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한글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주음부호ㄅ ㄆ ㄇ ㄈ ㄉ ㄊ ㄋ ㄌ ㄍ ㄎ ㄏ ㄐ ㄑ ㄒ ㄓ ㄔ ㄕ ㄖ ㄗ ㄘ ㄙ ㄚ ㄛ ㄜ ㄝ ㄞ ㄟ ㄠ ㄡ ㄢ ㄣ ㄤ ㄥ ㄦ ㄧ ㄨ ㄩ ㄭ
오검 문자ᚁ ᚂ ᚃ ᚄ ᚅ ᚆ ᚇ ᚈ ᚉ ᚊ ᚋ ᚌ ᚍ ᚎ ᚏ ᚐ ᚑ ᚒ ᚓ ᚔ ᚕ ᚖ ᚗ ᚘ ᚙ ᚚ ᚛ ᚜
그으즈 문자ሀ ለ ሐ መ ሠ ረ ሰ ቀ በ ተ ኀ ነ አ ከ ወ ዐ ዘ የ ደ ገ ጠ ጰ ጸ ፀ ፈ ፐ
국제 음성 기호정확한 발음을 표기하는데 사용됨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로마자. 공통으로 갖는 문자들이 존재하나, 발음은 서로 다르다


이탤릭체로 쓴 키릴 문자

4. 1. 대문자와 소문자

글자는 필기체 또는 인쇄 스타일의 변형과 관련된 여러 변형 또는 이형 문자를 가질 수 있다. 일부 필기 시스템은 각 글자에 대해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이형 문자를 사용하는데, ''대문자'' (''자본'' 또는 ''대문자'')와 ''소문자'' (''소문자''라고도 함)이다. 대문자와 소문자는 동일한 소리를 나타내지만 글쓰기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대문자는 문장의 시작, 고유한 이름이나 제목의 첫 글자 또는 머리글이나 비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6] 또한 독일어와 같이 모든 명사가 대문자로 시작하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대문자''와 ''소문자''라는 용어는 인쇄기의 손으로 조립한 활자 시대에 유래되었다. 개별 문자 블록은 활자함의 특정 서랍칸에 보관되었다. 대문자는 더 높은 서랍 또는 상단 활자함에 보관되었다.[7][8]

4. 2. 분음 부호

대부분의 알파벳 표기법에서 분음 부호(또는 악센트)는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영어는 다른 언어에서 온 차용어나 고유명사(예: ''naïve, 브론테'')를 제외하고는 분음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이하다.[1]

5. 자모의 종류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자모에는 로마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등이 있다.

문자자모
앗삼 문자অ, আ, ই, ঈ, উ, ঊ, ঋ, এ, ঐ, ও, ঔ, ক, খ, গ, ঘ, ঙ, চ, ছ, জ, ঝ, ঞ, ট, ঠ, ড, ঢ, ণ, ত, থ, দ, ধ, ন, প, ফ, ব, ভ, ম, য, ৰ, ল, ৱ, শ, ষ, স, হ,ক্ষ, ড়, ঢ়, য়, ৎ, ং, ঃ, ঁ
벵골 문자অ, আ, ই, ঈ, উ, ঊ, ঋ, এ, ঐ, ও, ঔ, ক, খ, গ, ঘ, ঙ, চ, ছ, জ, ঝ, ঞ, ট, ঠ, ড, ঢ, ণ, ত, থ, দ, ধ, ন, প, ফ, ব, ভ, ম, য, ল, শ, ষ, স, হ,ক্ষ, ড়, ঢ়, য়, ৎ, ং, ঃ, ঁ
아랍 문자(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정렬) ا|알리프ar, ب|베트 (문자)ar, ت|타 (문자)ar, ث|사 (문자)ar, ج|짐 (문자)ar, ح|하 (문자)ar, خ|하 (문자)ar, د|달 (문자)ar, ذ|달 (문자)ar, ر|레쉬ar, ز|자인 (문자)ar, س|신 (문자)ar, ش|신 (문자)ar, ص|사드ar, ض|다드ar, ط|타 (문자)ar, ظ|자 (문자)ar, ع|아인 (문자)ar, غ|가인 (문자)ar, ف|페 (셈 문자)ar, ق|카프 (문자)ar, ك|카프 (문자)ar, ل|라메드ar, م|밈 (문자)ar, ن|눈 (문자)ar, هـ|하 (문자)ar, و|와우 (문자)ar, ي|요드 (문자)ar
아르메니아 문자Ա, Բ, Գ, Դ, Ե, Զ, Է, Ը, Թ, Ժ, Ի, Լ, Խ, Ծ, Կ, Հ, Ձ, Ղ, Ճ, Մ, Յ, Ն, Շ, Ո, Չ, Պ, Ջ, Ռ, Ս, Վ, Տ, Ր, Ց, Ւ, Փ, Ք, Օ, Ֆ
시리아 문자(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정렬) ܐ, ܒ, ܓ, ܕ, ܗ, ܘ, ܙ, ܚ, ܛ, ܝ, ܟܟ, ܠ, ܡܡ, ܢܢ, ܣ, ܥ, ܦ, ܨ, ܩ, ܪ, ܫ, ܬ
키릴 문자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조지아 문자ა, ბ, გ, დ, ე, ვ, ზ, თ, 이, კ, ლ, მ, ნ, ო, პ, ჟ, რ, ს, ტ, უ, ფ, ქ, ღ, ყ, შ, ჩ, ც, ძ, წ, ჭ, ხ, ჯ, ჰ
그리스 문자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히브리 문자(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정렬) א, ב, ג, ד, ה, ו, ז, ח, ט, י, כ, ל, מ, נ, ס, ע, פ, צ, ק, ר, ש, ת
로마자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한글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버마 문자က ခ ဂ ဃ င စ ဆ ဇ ဈ ည ဋ ဌ ဍ ဎ ဏ တ ထ ဒ ဓ န ပ ဖ ဗ ဘ မ ယ ရ လ ဝ သ ဟ ဠ အ
주음 부호ㄅ ㄆ ㄇ ㄈ ㄉ ㄊ ㄋ ㄌ ㄍ ㄎ ㄏ ㄐ ㄑ ㄒ ㄓ ㄔ ㄕ ㄖ ㄗ ㄘ ㄙ ㄚ ㄛ ㄜ ㄝ ㄞ ㄟ ㄠ ㄡ ㄢ ㄣ ㄤ ㄥ ㄦ ㄧ ㄨ ㄩ ㄭ
오검 문자ᚁ ᚂ ᚃ ᚄ ᚅ ᚆ ᚇ ᚈ ᚉ ᚊ ᚋ ᚌ ᚍ ᚎ ᚏ ᚐ ᚑ ᚒ ᚓ ᚔ ᚕ ᚖ ᚗ ᚘ ᚙ ᚚ ᚛ ᚜
게바즈 문자ሀ ለ ሐ መ ሠ ረ ሰ ሸ ቀ በ ተ ቸ ኀ ነ ኘ አ ከ ኸ ወ ዐ ዘ ዠ የ ደ ጀ ገ ጠ ጨ ጰ ጸ ፀ ፈ ፐ
티피나그 문자 (아마지그 문자)ⴰ, ⴱ, ⵛ, ⴷ, ⴹ, ⴻ, ⴼ, ⴳ, ⴳⵯ, ⵀ, ⵃ, ⵉ, ⵊ, ⴽ, ⴽⵯ, ⵍ, ⵎ, ⵏ, ⵓ, ⵄ, ⵖ, ⵅ, ⵇ, ⵔ, ⵕ, ⵙ, ⵚ, ⵜ, ⵟ, ⵡ, ⵢ, ⵣ, ⵥ
메이테이 메이예크 문자ꯀ, ꯁ, ꯂ, ꯃ, ꯄ, ꯅ, ꯆ, ꯈ, ꯉ, ꯊ, ꯋ, ꯌ, ꯍ, ꯎ, ꯏ, ꯐ, ꯑ, ꯒ, ꯓ, ꯔ, ꯕ, ꯖ, ꯗ, ꯘ, ꯙ, ꯚ, ꯛ, ꯜ, ꯝ, ꯞ, ꯟ, ꯠ, ꯡ, ꯢ, ꯥ, ꯤ, ꯨ, ꯦ, ꯣ, ꯩ, ꯧ, ꯪ



벤 다이어그램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로마자의 글자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알파벳 중 일부 글자는 동일한 소리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지만 두 개 이상의 알파벳에 나타납니다.


국제 음성 기호는 정확한 발음을 표기하는데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letter https://www.etymonli[...]
[2] 간행물 What is a "letter?"
[3] 서적 The history of the alphabet; an account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letters https://catalog.hath[...] C. Scribner's Sons 1899
[4] 서적 A history of the art of writing https://catalog.hath[...] The Macmillan company 1920
[5] 서적 Greeks and Goths: a study on the runes. https://catalog.hath[...] Macmillan and co. 1879
[6] 웹사이트 Capitalization in German https://www.thoughtc[...] 2022-03-15
[7] 서적 Typographia, an Historical Sketch of the Origin and Progress of the Art of Printing https://archive.org/[...] 2015-08-12
[8] 서적 Medieval Calligraphy: Its History and Techniqu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22-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