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생한방병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생한방병원은 1990년 서울에 개원한 자생한의원을 전신으로 하여 1999년 자생한방병원으로 확장 이전한 의료기관이다. 척추 및 관절 질환 비수술 치료를 전문으로 하며, 한의학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여러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보건복지부 지정 한방척추전문병원으로 선정되고, 대한민국 보건산업대상 등을 수상하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병원 -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의료기관으로, 삼척탄좌개발주식회사 부속병원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운영되며, 근로복지공단 태백요양병원이 2024년 3월 26일에 개원했다.
  • 대한민국의 병원 -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은 1972년 산업재활원으로 개원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201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병원장은 여러 부서를 관할한다.
  • 1999년 설립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1999년 설립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자생한방병원
기본 정보
이름자생한방병원
개원1988년
종류전문병원
전문 분야척추 및 관절 질환, 한국 의학
위치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42-3
웹사이트자생한방병원 공식 웹사이트
진료 과목
진료 과목 수49
국제 클리닉 정보
개요해외 환자 진료
치료 정보
주요 치료법추나요법
비수술 척추 관절 치료
한약 치료
도수 치료: 척추관절질환 통증 물리치료사의 수기 치료

2. 연혁


  • 1990년 3월 자생한방병원의 전신인 ‘자생한의원’이 서울에서 개원하였다.[3]
  • 1999년 6월 자생한방병원으로 확장 이전하였고,[3] 같은 해 10월 자생생명공학연구소를 설립하였다.
  • 2000년 1월에는 재단법인 자생의료재단이 설립되었다.
  • 2001년 1월 보건산업진흥원 지정 한방 "헬스투어" 병원 지정.
  • 2001년 3월, 신준식 이사장은 2001년도 한국기네스 의학부문 기록자로 기록되었다.
  • 2002년 6월 자생생명공학연구소 확장이전. 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연구기관으로 지정 / 경희대동서의학대학원 산학연구소 지정.
  • 2006년 4월 분당 자생한의원 개원.
  • 2006년 7월 부천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06년 8월 목동 자생한의원 개원.
  • 2007년 1월 보건복지부 지정 한방척추전문병원 시범기관 선정.
  • 2008년 7월 대한민국보건산업대상 한방의료부분 표창(한국보건산업진흥원).[8]
  • 2009년 3월 해외 진출 1호 병원, 미국 풀러튼 자생 개원.
  • 2010년 4월 대전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0년 4월 목동 자생한의원, 한방병원으로 승격.
  • 2010년 11월 울산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1년 3월 해운대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1년 3월 분당 자생한의원, 한방병원으로 승격 이전.
  • 2012년 4월 창원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3년 4월 글로벌헬스케어 해외환자유치 병의원부문 보건복지부장관상 표창.
  • 2013년 9월 자생의료재단 '2013 대한민국 보건산업대상' 보건복지부 장관상 표창.
  • 2013년 12월 2013메디컬코리아대상 한방척추부문 대상 수상.
  • 2014년 1월 2014 메디컬 대표브랜드 대상 국회보건복지위원장상 수상.
  • 2014년 6월 경희대 한의과대학 임상교육협력기관 지정.
  • 2014년 7월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마크 획득.
  • 2014년 8월 강남구 해외환자유치 우수의료기관 공로패 수상.
  • 2015년 1월 국내 최초 2회 연속 보건복지부 지정 한방척추전문병원 선정.
  • 2015년 4월 잠실 자생한의원, 한방병원으로 승격 이전.
  • 2015년 9월 대구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6년 3월 미국 풀러튼 자생, 개원 7주년 이전 오픈식.
  • 2016년 7월 광화문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6년 8월 광주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6년 10월 2016메디컬코리아 글로벌헬스케어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 해외환자 유치 공로.
  • 2017년 2월 부천 자생한방병원 추나요법 건강보험 시범기관으로 선정.
  • 2017년 8월 수원 자생한의원, 수원 자생한방병원으로 승격 개원.
  • 2017년 9월 인천 자생한방병원 개원.
  • 2017년 11월 자생한방병원 논현 확장 이전.
  • 2018년 3월 자생 국제학술대회 개최 - 비수술 척추관절 치료의 현재와 미래.
  • 2018년 9월 청주 자생한방병원 개원.

2. 1. 설립 초기 (1990년대)

1990년 3월 자생한방병원의 전신인 ‘자생한의원’이 서울에서 개원하였다.[3] 1999년 6월 자생한방병원으로 확장 이전하였고,[3] 같은 해 10월 자생생명공학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0년 1월에는 재단법인 자생의료재단이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신준식 이사장은 2001년도 한국기네스 의학부문 기록자로 기록되었다.[3] 같은 해, 자생의 약제에서 신경 재생 물질인 신바로메틴이 발견되어 한국과 미국에서 특허를 획득하였다. 2002년 6월에는 자생생명공학연구소를 확장 이전하였으며, 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연구기관 및 경희대동서의학대학원 산학연구소로 지정되었다.

2006년에는 부천, 분당, 목동에 자생한의원 및 한방병원이 개원하였다. 2007년 1월, 보건복지부 지정 한방척추전문병원 시범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 7월에는 대한민국보건산업대상 한방의료부분에서 표창(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받았다.[8] 2009년 3월에는 미국 풀러튼에 자생한방병원 해외 1호점을 개원하였다.

2. 2. 발전 및 확장기 (2000년대 ~ 현재)

2000년 1월 재단법인 자생의료재단이 설립되었고, 1999년 10월에는 자생생명공학연구소가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신준식 이사장은 2001년도 한국기네스 의학부문 기록자로 기록되었다. 2002년 6월에는 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연구기관 및 경희대동서의학대학원 산학연구소로 지정되었고, 자생생명공학연구소를 확장 이전했다.

2006년 8월 목동 자생한의원, 2006년 7월 부천 자생한방병원, 2006년 4월 분당 자생한의원이 개원하였다. 2007년 1월에는 보건복지부 지정 한방척추전문병원 시범기관으로 선정되었고, 2008년 7월에는 대한민국보건산업대상 한방의료부분에서 표창(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받았다.

2009년 3월에는 해외 진출 1호 병원인 미국 풀러튼 자생이 개원했다. 2010년 11월 울산 자생한방병원, 2010년 4월 대전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했으며, 같은 해 4월 목동 자생한의원은 한방병원으로 승격되었다. 2011년 3월 해운대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하고, 분당 자생한의원이 한방병원으로 승격 이전했다. 2012년 4월에는 창원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했다.

2013년 4월 글로벌헬스케어 해외환자유치 병의원부문 보건복지부장관상을 받았고, 같은 해 9월 자생의료재단은 '2013 대한민국 보건산업대상'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2013년 12월에는 2013메디컬코리아대상 한방척추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2014년 1월에는 2014 메디컬 대표브랜드 대상 국회보건복지위원장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6월 경희대 한의과대학 임상교육협력기관으로 지정되었다. 7월에는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마크를 획득했으며, 8월에는 강남구 해외환자유치 우수의료기관 공로패를 수상했다.

2015년 1월 국내 최초 2회 연속 보건복지부 지정 한방척추전문병원으로 선정되었고, 4월에는 잠실 자생한의원이 한방병원으로 승격 이전했다. 9월에는 대구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했다. 2016년 3월 미국 풀러튼 자생이 개원 7주년을 맞아 이전 오픈식을 가졌고, 7월에는 광화문 자생한방병원, 8월에는 광주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했다. 10월에는 2016메디컬코리아 글로벌헬스케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2017년 2월 부천 자생한방병원이 추나요법 건강보험 시범기관으로 선정되었고, 8월 수원 자생한의원이 수원 자생한방병원으로 승격 개원했다. 9월에는 인천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했으며, 11월에는 자생한방병원 논현이 확장 이전했다. 2018년 3월에는 자생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되었고, 9월에는 청주 자생한방병원이 개원했다.

2000년대 이후, 자생한방병원은 국내외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연구 개발에 힘쓰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특히 해외 환자 유치 및 국제 학술 교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3. 주요 치료법 및 연구

자생한방병원은 국제 의료기관과 한의학의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9] 연구 결과는 국제 의료 포럼 및 학회에서 발표되고, 의학 저널에 게재된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허리 디스크 탈출증에 대한 자생 통합 치료가 95%의 회복률을 보였다.[10]

급성 요통에 대한 동작침 치료(MSAT)의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 연구 결과가 PAIN 저널에 게재되었으며,[11] 자생 한약의 효과에 대한 기초 연구가 다양한 SCI(E) 저널에 소개되었다.

2018년에는 '한국의 요통 수술률에 대한 6번의 침 치료의 영향: 전국 규모의 매칭된 후향적 코호트 연구' 논문이 SCI급 국제 저널인 'PLOS ONE'에 게재되었다.[12] 같은 해, 'Shinbaro3의 항염증 효과는 LPS 자극 RAW 264.7 대식세포에서 TLR4 신호 전달 경로의 하향 조절에 의해 매개됨' 논문이 염증 관리 분야 SCI급 국제 저널에 게재되었으나, 실험 신뢰성 문제로 저자 요청에 따라 철회되었다.[13]

2017년에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8주간의 한방 치료 후 통증 감소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연구 결과가 SCI(E) 급 국제 저널인 BMC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저널에 게재되었고, 디스크가 재흡수된 환자에 대한 한방 치료의 장기적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는 SCI(E) 급 국제 저널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저널에, 실패한 허리 수술 증후군 환자에 대한 통합 한방 치료의 임상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는 SCI(E) 급 국제 학술 저널 PLOS ONE에 게재되었다.

2016년에는 신바로 약침의 항염증 효과 및 연골 보호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가 SCI 급 국제 학술 저널 'Chinese Medicine'에 게재되었고, 한방 통합 치료를 받은 경추 디스크 탈출증 환자의 95%가 21개월 후 결과에 만족한다는 연구 결과가 SCI 급 학술 저널 BMC CAM에 게재되었다.

2013년에는 동작침 치료(MSAT)의 진통 효과 검증에 대한 논문이 PAIN에 게재되었는데,[11] 이는 급성 요통에 대한 침술의 효과를 확인한 최초의 논문이다. 2012년에는 청파전의 연골 재생 효과가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게재되었다.

2010년에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와의 공동 연구 결과 '한국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 체질량 지수, 폐경기 기간 및 요통 치료 결과'[14]가 Eur Spine J에 게재되었고, 자생 고유 한약인 '청파전'의 항염증 효과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에 게재된 논문에서 입증되었다.

2009년에는 Journal of Physiological Sciences에 '신경병성 통증 쥐 모델에서 냉온 감각 이질통에 대한 전기 침술의 완화 효과의 척수 콜린성 기전'이라는 제목의 공동 연구가 게재되었다.[15] 2007년 하버드 의과대학은 자생의 비수술 척추 치료에 관한 논문을 Journal of Alternative & Complementary Medicine에 게재했다.[16]

2005년에는 '봉독 약침의 효과'에 대한 공동 연구가 The Journal of Ethno pharmacology에 게재되었고, 2004년에는 '육공단의 효과'에 대한 논문이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에, '한국 폐경기 여성의 인터루킨 10 유전자형과 낮은 골밀도의 연관성'이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에 게재되었다.[17] 2001년에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위한 추나 치료의 효과'가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에 게재되었다.[18]

3. 1. 주요 치료법

3. 2. 연구 활동

자생한방병원은 국제 의료기관과 한의학의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9] 연구 결과는 국제 의료 포럼 및 학회에서 발표되고, 의학 저널에 게재된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허리 디스크 탈출증에 대한 자생 통합 치료가 95%의 회복률을 보였다.[10] 급성 요통에 대한 동작침 치료(MSAT)의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 연구 결과가 PAIN 저널에 게재되었으며,[11] 자생 한약(항염증, 신경 재생, 뼈 보호, 연골 보호 효과 등)의 효과에 대한 기초 연구가 다양한 SCI(E) 저널에 소개되었다.

2018년에는 '한국의 요통 수술률에 대한 6번의 침 치료의 영향: 전국 규모의 매칭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대한 연구 논문이 SCI급 국제 저널인 'PLOS ONE'에 게재되었다.[12] 같은 해, 'Shinbaro3의 항염증 효과는 LPS 자극 RAW 264.7 대식세포에서 TLR4 신호 전달 경로의 하향 조절에 의해 매개됨'에 대한 연구 논문이 염증 관리 분야의 SCI급 국제 저널에 게재되었으나, 실험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저자 요청에 따라 철회되었다.[13]

2017년에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8주간의 한방 치료 후 통증 감소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연구 결과가 SCI(E) 급 국제 저널인 BMC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저널에 게재되었고, 디스크가 재흡수된 환자에 대한 한방 치료의 장기적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는 SCI(E) 급 국제 저널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저널에, 실패한 허리 수술 증후군 환자에 대한 통합 한방 치료의 임상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는 SCI(E) 급 국제 학술 저널 PLOS ONE에 게재되었다.

2016년에는 신바로 약침의 항염증 효과 및 연골 보호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가 SCI 급 국제 학술 저널 'Chinese Medicine'에 게재되었고, 한방 통합 치료를 받은 경추 디스크 탈출증 환자의 95%가 21개월 후 결과에 만족했다는 연구 결과가 SCI 급 학술 저널 BMC CAM에 게재되었다.

2013년에는 동작침 치료(MSAT)의 진통 효과 검증에 대한 논문이 PAIN에 게재되었는데,[11] 이는 급성 요통에 대한 침술의 효과를 확인한 최초의 논문이다. 2012년에는 청파전의 연골 재생 효과가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게재되었다.

2010년에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와의 공동 연구 결과 '한국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 체질량 지수, 폐경기 기간 및 요통 치료 결과'[14]가 Eur Spine J에 게재되었고, 자생만의 고유한 한약인 '청파전'의 항염증 효과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에 게재된 논문에서 입증되었다.

2009년에는 Journal of Physiological Sciences에 '신경병성 통증 쥐 모델에서 냉온 감각 이질통에 대한 전기 침술의 완화 효과의 척수 콜린성 기전'이라는 제목의 공동 연구가 게재되었다.[15] 2007년에는 하버드 의과대학이 자생의 비수술 척추 치료에 관한 논문을 Journal of Alternative & Complementary Medicine에 게재했다.[16]

2005년에는 '봉독 약침의 효과'에 대한 공동 연구가 The Journal of Ethno pharmacology에 게재되었고, 2004년에는 '육공단의 효과'에 대한 논문이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에, '한국 폐경기 여성의 인터루킨 10 유전자형과 낮은 골밀도의 연관성'이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에 게재되었다.[17] 2001년에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위한 추나 치료의 효과'가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에 게재되었다.[18]

4. 사회 공헌

5. 수상 내역

6. 병원 목록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본원이 위치해 있다. 분당, 목동, 일산, 부천, 영등포, 수원, 노원 등지에 20개 이상의 지점이 있다. 대한민국 외에는 캘리포니아에 5개의 자생한방병원 지점이 있다.


  • 자생한방병원
  • 광화문 자생한방병원
  • 노원 자생한방병원
  • 목동 자생한방병원
  • 잠실 자생한방병원
  • 부천 자생한방병원
  • 분당 자생한방병원
  • 수원 자생한방병원
  • 안산 자생한방병원
  • 인천 자생한방병원
  • 일산 자생한방병원
  • 평촌 자생한의원
  • 광주 자생한방병원
  • 대구 자생한방병원
  • 대전 자생한방병원
  • 서면 자생한의원
  • 울산 자생한방병원
  • 창원 자생한방병원
  • 천안 자생한방병원
  • 청주 자생한방병원
  • 해운대 자생한방병원

7. 기타

참조

[1] 논문 Koreana: A Timeless Treatment http://www.ikjournal[...] 2009-08-24
[2] 웹사이트 koreahealthtour http://www.koreaheal[...] 2009-08-31
[3] 웹사이트 Jaseng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http://www.kgmsa.com[...] Korea Global Medical Supply Awards 2009-08-25
[4] 웹사이트 한방 척추전문병원, 추나요법, 비수술 척추 관절 치료병원 | 자생한방병원 https://www.jaseng.c[...]
[5] 웹사이트 도수치료 - 척추관절질환 통증 물리치료사 수기 치료 | 자생한방병원 https://www.jaseng.c[...]
[6] 웹사이트 Publication Not Available https://mydigitalpub[...]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Clinic - oversea patient clinic korea | Jaseng http://www.jaseng.ne[...]
[8] 웹사이트 koreahealthtour http://www.koreaheal[...] 2009-08-31
[9] 문서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http://60toyo.jtbcom[...]
[10] 논문 Integrative package for low back pain with leg pain in Korea: a prospective cohort study 2010-04
[11] 논문 Effects of 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 in acute low back pain patients with severe disability: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omparative effectiveness trial 2013-07-01
[12] 논문 Impact of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lumbar surgery rate for low back pain in Korea: A nationwide match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18-06-12
[13] 논문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hinbaro3 Is Mediated by Downregulation of the TLR4 Signalling Pathway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2018
[14] 논문 Bone mineral density, body mass index, postmenopausal period and outcomes of low back pain treatment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2010-11
[15] 논문 Spinal cholinergic mechanism of the relieving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cold and warm allodynia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2009
[16] 문서 liebertonline http://www.lieberton[...]
[17] 웹사이트 BiochemistryJournal http://www.jbmb.or.k[...] 2009-08-31
[18] 문서 KSCI http://ksci.kisti.re[...]
[19] 웹사이트 koreahealthtour http://www.koreaheal[...] 2009-08-28
[20] 웹사이트 dalecarnegie http://www.dalecarne[...] 2009-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