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아 연출의 사회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아 연출의 사회학은 어빙 고프만이 제시한 사회학 이론으로, 개인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타인에게 특정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자신의 행동, 외모, 환경 등을 조절한다고 설명한다. 고프만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극에 비유하여, 개인을 '배우', 타인을 '관객'으로 묘사하며, 전면 영역과 후면 영역, 그리고 무대 바깥쪽의 개념을 통해 인상 관리의 과정을 분석한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상황 정의를 공유하고,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사회적 행위가 구조와 주체의 상호 작용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자아 연출의 사회학은 인상 관리, 자기 제시 이론 등과 관련되며, 온라인 자아 연출과 한국 사회의 체면 문화 등 다양한 사회 현상에 적용된다. 이 책은 1961년 미국 사회학회 맥아이버 상을 수상했으며, 20세기 10대 사회학 서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 등 사회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학 책 - 미국의 민주주의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는 1830년대 미국 사회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담은 정치사상 및 사회학의 고전으로, 미국 민주주의의 성공 요인과 잠재적 위험을 탐구하고 미국 사회 전반에 미치는 민주주의의 영향을 다룬다.
  • 사회학 책 - 경제와 사회
    막스 베버의 사회학은 이상형 개념을 통해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며, 사회 행위와 종교 활동의 유형을 구분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국가 폭력에서 강제력과 정당성 인정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지만, 보수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자아 연출의 사회학 - [서적]에 관한 문서
도서 정보
이름자아 연출의 사회학
원제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저자어빙 고프만
국가미국
언어영어
번역가진수미
장르사회과학
주제사회인류학
사회학
사회심리학
출판사Anchor Books
발행일1956년
한국어 발행일2016년 1월 27일
쪽수251쪽
ISBN978-0-14-013571-8
OCLC59624504
책 표지

2. 이론적 배경

어빙 고프먼은 대면적 상호작용을 사회학적 연구 주제로 다룬 최초의 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극 무대에 비유하며, 개인이 '배우'로서 '관객'에게 특정한 인상을 주기 위해 '연기'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아 연출'은 사회생활의 근본적인 부분이며, 개인은 상황에 따라 전면 영역과 후면 영역을 오가며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한다.[16][17][18]

고프만에 따르면, 삶의 많은 영역에서 사회적 행위자는 이미 확립된 역할, 즉 미리 존재하는 전면과 소품, 특정 관객 앞에서 착용할 의상을 갖게 된다. 배우의 주요 목표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그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설정에 적응하는 것이다. 이것은 주로 다른 배우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어느 정도까지 이 이미지는 구조와 행위자를 연결하여 각각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구조와 행위자가 서로를 제한할 수 있다고 말한다.

2. 1. 드라마터지(연극적 분석)

고프만의 드라마터지(연극적 분석)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극처럼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그는 개인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갖는 인상을 통제하거나 유도하려 한다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자신의 환경, 외모, 태도를 바꾸거나 고정시켜 특정한 인상을 연출한다.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상대방은 그 개인에 대한 정보를 얻고 파악하려 한다.[16][17]

고프만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당황하거나 다른 사람을 당황하게 만드는 상황을 피하려 한다고 믿었다. 그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하는 행동과 연극 공연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연극처럼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전면영역(앞무대)과 후면영역(뒷무대)이 존재한다. 전면영역은 자아의 긍정적인 측면과 원하는 인상이 강조되는 공간이며, 후면영역은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준비하거나 역할에서 벗어나는 공간이다.[18] 또한, 개인이 공연에 관여하지 않는 무대바깥쪽(오프스테이지)도 존재하는데, 이곳은 배우들이 팀 공연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관객을 만나는 곳이다.

고프만의 분석에서 핵심은 연기와 삶의 관계이다. 그는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사회적 행위는 이미 주어진 역할을 띤다고 보았다. 배우의 주요 역할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주어진 상황에 적응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다른 배우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구조주체를 연결하는 동시에, 구조와 개인이 서로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호작용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에는 특정한 상황정의를 공유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상호작용과 연기 속에서 사람들은 연기자인 동시에 관객이 되기도 한다. 배우들은 자신을 잘 반영하고, 자신의 정의를 다른 사람들이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인상을 형성한다.

2. 2. 전면 영역과 후면 영역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연극 공연과 마찬가지로, 연기자(개인)가 관객 앞에서 무대에 있는 전면 영역이 있다. 이곳은 자아의 긍정적 측면과 원하는 인상이 강조되는 곳이다. 반면, 후면 영역도 있는데, 여기서는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준비하거나 역할에서 잠시 벗어나는 공간이다.[18]

2. 3. 상황 정의

고프만은 상호작용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상황정의를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상호작용에서 당사자들은 연기자인 동시에 청중이 되기도 한다. 배우들은 자신을 잘 반영하고 자신들의 정의를 다른 사람들이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인상을 형성한다. 고프만은 상황 정의가 불신받더라도, 행위자들이 이익이나 평화를 위해 이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격식을 갖춘 저녁 식사에서 누군가 넘어졌을 때, 주변 사람들은 실수를 못 본 척하며 체면 유지를 돕는다. 이러한 인위적인 신뢰는 모든 수준의 사회 조직에서 발생한다.[16]

3. 인상 관리

인상 관리는 사회적, 심리적, 물질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이미지를 통제하고 노력하는 행위, 타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적으로 디자인된 행동을 말한다.[19] 행위자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이익이 극대화되도록 인상을 의식적으로 구성한다.[19] 권력이나 영향력을 가진 다른 이들로부터 호의를 얻거나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조직 구성원들은 가장 호의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20]

자기 제시 이론은 사람들이 타인에게 형성되는 인상을 통제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3. 1. 자기 제시 이론

사람들이 타인에게 형성되는 인상을 통제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이론이 '''자기 제시 이론'''이다.[4] 이 개념은 카플란과 하엔라인의 "세상의 사용자여, 단결하라"(2010)와 같이 오늘날 소셜 미디어 연구자들에게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6]

4. 한국 사회에의 적용

고프만의 이론은 체면을 중시하고 관계 지향적인 한국 사회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특히, 한국인의 집단주의적 성향은 개인의 자아 연출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 모두에서 나타난다.

4. 1. 체면과 인상 관리

고프만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스스로 당황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드는 것을 피하고자 노력한다고 보았다. 사람들이 일상생활과 연극에서 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행동들 사이에는 연결, 교류가 있다고 보았다. 연극에서와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는, 연기자들(개인들)이 청중들 앞 무대에 있는 전면영역이 있는데, 고프만은 이를 앞무대(front stage)라고 칭했다. 이 공간은 자아상과 희망하는 인상들의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공간이다. 반면, 후면영역도 있는데, 고프만은 이를 뒷무대(back stage)라고 칭했다. 여기서는 개인들이 자신들의 역할을 준비할 수 있고 혹은 역할에서 잠시 벗어나는 공간이다.[18] 그리고 개인들이 공연에 관여하지 않는 장소인 무대 바깥쪽(outside) 혹은 오프스테이지(off-stage)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는 개별 배우들이 팀 공연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관객 구성원들을 만나는 곳이다.

고프만의 분석 핵심은 연기와 삶의 관계에 있다. 일상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사회적 행위는, 그가 특정한 청중 앞에서 입고 있는 의상처럼, 이미 부여된 역할을 띤다. 배우의 주요한 역할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그에게 처한 다른 상황들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배우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로 이루어진다. 어느 정도까지는 이러한 형상화는 구조주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구조와 개인은 서로를 제한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호작용의 일관성을 주는 역할을 하는 특정한 상호작용에서의 상황정의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는 중요한 사실이다. 그 상호작용과 연기 속에서 당사자들은 연기자인 동시에 청중의 일원이 되기도 한다. 배우들은 보통 그들 자신을 잘 반영하고 자신들의 특정한 정의를 다른 사람들이 수용하도록 고무시키는 인상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한다.

인상관리란 사회적, 심리적, 물질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통제하고 노력하는 행위, 타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적으로 디자인된 행동을 말한다. 인상 관리의 기본적인 전제는 행위자가 주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이익이 극대화되도록 인상을 의식적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19] 권력이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다른 이들로부터 호의를 얻고자 할 때 또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조직 구성원들은 가장 호의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가지 행동들을 보이게 된다.[20]

4. 2. 온라인 자아 연출

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한국 사회에서 자아 연출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개인은 온라인 공간에서 자신의 이상적인 모습을 제시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온라인 자아 연출 개념은 카플란과 하엔라인의 "세상의 사용자여, 단결하라"(2010), 러셀 W. 벨크의 "디지털 세상에서의 확장된 자아"(2013), 넬 하인스의 "북부 칠레의 소셜 미디어: 특별히 평범한 것을 게시하기"(2016) 등 소셜 미디어 연구자들의 연구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5. 비판과 한계

고프만의 이론은 개인의 의도적인 이미지 조작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무의식적인 행동이나 사회 구조의 영향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4] 그는 개인이 다른 사람과 접촉할 때, 다른 사람이 자신에 대해 갖는 인상을 바꾸거나 고정함으로써 인상을 통제하거나 유도하려고 시도한다고 보았다. 동시에, 개인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은 개인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고 얻으려고 노력한다.[5]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개인의 의도적인 이미지 조작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무의식적인 행동이나 사회 구조의 영향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6. 평가 및 영향

《자아 연출의 사회학》은 대면 상호 작용을 사회학적 연구 대상으로 다룬 최초의 저서였다.[4] 1961년 미국 사회학회로부터 맥아이버 상을 받았으며,[2] 1998년 국제 사회학회 선정 20세기 10대 사회학 서적에 포함되는 등 사회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3]

철학자 헬무트 R. 바그너는 이 책을 고프만의 최고 저서이자 "대면 만남에서 인상을 관리하는, 드물지 않은 조작의 한 형태에 대한 아직까지도 뛰어난 연구"라고 평가했다.[8]

참조

[1] 서적 Sociology Pearson Canada Inc. 2010
[2] 서적 Goffman's Legac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3
[3] 웹사이트 Books of the Century http://www.isa-socio[...]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1998
[4] 서적 Erving Goffman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6
[5] 서적 Goffman's Legac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6] 서적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8
[7] 서적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eday 1956
[8] 서적 Phenomenology of Consciousness and Sociology of the Life-world: An Introductory Stud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1983
[9] 서적 Profiles in Contemporary Social Theory SAGE Publications 2001-07-23
[10] 문서 2006
[11] 문서 2003
[12] 서적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Education 2008
[13] 문서 2003
[14] 서적 Goffman's Legac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3
[15] 웹사이트 ISA -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Books of the Century http://www.isa-socio[...]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1998
[16] 서적 Erving Goffman Routledge 2006
[17] 서적 Goffman's Legac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18] 서적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8
[19] 서적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day Anchor Books 1956
[20] 서적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day Anchor Books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