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연단위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 단위계는 물리 상수들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여 물리량의 단위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1899년 막스 플랑크가 제안한 플랑크 단위계가 대표적이며, 스토니 단위계, 양자역학 단위계, 입자물리학 단위계, 원자 단위계, 강 단위계, 기하학 단위계, 슈뢰딩거 단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단위계들은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 원자 및 분자 물리학, 핵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량형학 - 국제 킬로그램 원기
    국제 킬로그램 원기(IPK)는 1889년 킬로그램의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나, 질량 변화로 인해 안정성 논란이 발생하여 SI 단위계 재정의의 원인이 되었다.
  • 도량형학 - 구형성
    구형성은 1935년 하콘 와델이 정의한 개념으로, 동일한 부피를 가진 구의 표면적에 대한 물체의 표면적 비율을 나타내며, 구의 구형도는 1이고, 구가 아닌 모든 모양은 1보다 작다.
자연단위계
개요
이름자연 단위계
로마자 표기Jayeon dan'wi gye
정의물리량의 단위를 기본 물리 상수 값으로 정의하는 단위계
특징차원 없는 물리량을 1로 설정
계산 단순화
이론적 연구에 유용
주요 자연 단위계
플랑크 단위계중력 상수, 광속, 디랙 상수, 쿨롱 상수, 볼츠만 상수를 1로 설정
양자 중력 연구에 사용
슈뢰딩거 단위계중력 상수, 전하량, 디랙 상수, 쿨롱 상수를 1로 설정
비상대론적 원자 물리학에 사용
원자 단위계 (하트리 단위계)전하량, 보어 반지름, 전자 질량, 쿨롱 상수를 1로 설정
원자 및 분자 물리학에 사용
양자 색역학 단위계양성자 질량을 1로 설정
입자 물리학 및 핵물리학에 사용
스토니 단위계중력 상수, 광속, 전하량, 쿨롱 상수를 1로 설정
디랙 단위계전자 질량, 광속, 디랙 상수, 쿨롱 상수를 1로 설정
상수 값 설정
광속 (c)1
디랙 상수 (ħ)1
중력 상수 (G)1
볼츠만 상수 (kB)1
쿨롱 힘 상수 (ke)1 (일부 단위계)

2. 역사

2. 1. 플랑크 단위계

1899년 막스 플랑크플랑크 상수, 광속, 중력 상수, 볼츠만 상수를 기반으로 하는 플랑크 단위를 제안했다.[3][4] 플랑크 단위는 길이, 시간, 질량, 온도와 같은 물리량을 자연 상수로 표현한다. 플랑크 단위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의 시공간 구조와 양자역학의 기초를 이루는 상수들을 포함하며, 양자 중력 이론, 특히 끈 이론 연구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SI 단위의 플랑크 차원
근사 미터법 값
길이1.616×10⁻³⁵ m
질량2.176×10⁻⁸ kg
시간5.391×10⁻⁴⁴ s
온도1.417×10³² K


2. 2. 스토니 단위계

1874년 조지 존스턴 스토니는 영국 학술원에서 "자연의 물리적 단위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광속(c), 중력 상수(G), 쿨롱 상수(''k''), 기본 전하(e)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니 단위를 제안했다.[2] 이는 플랑크 단위보다 30년 앞선 것이었다. 스토니 단위계에서 길이, 질량, 시간, 전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

표현근사 미터법 값
길이\sqrt1.380×10-36 m
질량\sqrt1.859×10-9 kg
시간\sqrt4.605×10-45 s
전하e1.602×10-19 C



스토니 단위는 플랑크 상수를 포함하지 않아 현대 물리학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3. 다양한 자연 단위계

단위계기본 단위
플랑크 단위계c, ħ, G, kB
(플랑크 단위계의 확장)c, ħ, G, kB, ke
기하학 단위계c, G, m
원자 단위계e, me, ħ, a0
스토니 단위계c, G, ke, e



디랙 상수(ħ)와 광속(c) 그리고 전자볼트(eV)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는 양자역학 단위계가 있다. 광속과 환산 플랑크 상수는 1로 간주되어 표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물리 단위는 모두 전자볼트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된다.

입자물리학 단위계는 광속(c), 디랙 상수(ħ), 진공 유전율(ε0)을 1로 정의한다.[18]:509 전자 질량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며, 미세 구조 상수(α)에 대한 표현식을 통해 전하량(e)을 무차원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19][20]

전자 질량(me), 기본 전하(e), 디랙 상수(ħ), 쿨롱 상수(4πε0)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는 원자 단위계는[12][14][13] 더글러스 하트리가 제안했으며, 원자 및 분자 물리학, 화학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14]

광속(c), 양성자 질량(mp), 디랙 상수(ħ)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는 강 단위계는[22] 양자 색역학과 핵물리학 연구에 유용하다.

광속중력 상수를 1로 정의하는 기하학 단위계는[7]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에 사용된다.

에르빈 슈뢰딩거의 이름을 딴 슈뢰딩거 단위계는 기본 전하(e), 디랙 상수(ħ), 중력 상수(G), 쿨롱 상수(ke)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5][6]

3. 1. 양자역학 단위계

디랙 상수와 광속 그리고 전자볼트(전자볼트}})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이때, CGS의 기본 단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CGS 단위수치자연 단위
1.51926689×10^15·
센티미터5.06772886×10^4··
그램5.60958616×10^32·c-2



실제로는, 더 간단하게 하기 위해 광속과 환산 플랑크 상수는 표시되지 않는다(즉, 1로 간주한다). 결과적으로, 물리 단위는 모두 전자볼트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전자의 질량 m_e에 대해, 자연 단위계에서는 m_e\simeq 0.5110\;{\mathrm{MeV/electronvolt영어로 표현된다.

3. 2. 입자물리학 단위계

입자물리학 단위계는 광속(c), 디랙 상수(ħ), 진공 유전율(ε0)을 1로 정의하는 자연단위계이다.[18]:509 이 단위계에서는 진공 투자율(μ0) 또한 1이 된다. (c^2=\frac{1}{\varepsilon_0\mu_0}) 입자 물리학 및 원자 물리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18]:509 전자 질량을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미세 구조 상수(α)에 대한 표현식을 통해 전하량(e)을 무차원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19][20] SI 단위계에서 미세 구조 상수는 α = \frac{e^2}{4πε_0ħc}로 표현되지만,[21]:128 입자물리학 단위계에서는 ε0 = 1 이므로, α = \frac{e^2}{4π} 가 되고, 전하량은 e=\sqrt{4\pi\alpha}\fallingdotseq0.30282 와 같은 무차원 값으로 표현된다.[25]

단위 환산[25]
물리량자연 단위계계수국제 단위계
질량1 GeVc^{-2}1.7827×10-27 kg
길이1 GeV-1\hbar c1.9733×10-16 m
시간1 GeV-1\hbar6.5823×10-25 s
속도1 (무차원량)c2.9979×108 m/s
각운동량1 (무차원량)\hbar1.0546×10-34 J·s
1 GeV2(\hbar c)^{-1}8.1194×105 N
전하1 (무차원량)5.2909×10-19 C


3. 3. 원자 단위계

원자 단위계는 전자 질량(m_\text{e}), 기본 전하(e), 디랙 상수(\hbar), 쿨롱 상수(4\pi\epsilon_0)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12][14][13] 더글러스 하트리가 처음 제안했으며, 수소 원자의 보어 모형에서 바닥 상태 전자의 궤도 반지름, 궤도 속도 등을 간단한 숫자로 표현할 수 있어 원자 및 분자 물리학, 화학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14]

SI 단위의 원자 단위 차원
표현식미터법 값
길이{(4 \pi \epsilon_0) \hbar^2} / {m_\text{e} e^2}5.292×10-11 m[8]
질량m_\text{e} 9.109×10-31 kg[9]
시간{(4 \pi \epsilon_0)^2 \hbar^3} / {m_\text{e} e^4}2.419×10-17 s[10]
전하량e 1.602×10-19 C[11]


3. 4. 강 단위계

강 단위계는 광속(c), 양성자 질량(''m''p), 디랙 상수(ħ)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며, 양자 색역학과 핵물리학 연구에 유용하다.[22] 이 단위계에서 광속은 미세 구조 상수에 반비례하여 변하므로, 최근 몇 년 동안 기본 상수 시간 변화 가설이라는 틈새 가설에서 약간의 관심을 받았다.[23]

SI 단위계로 표현되는 강 단위의 차원은 다음과 같다.

물리량표현식미터법 값
길이ħ / (mpc)2.103×10-16 m
질량mp1.673×10-27 kg
시간ħ / (mpc2)7.015×10-25 s


3. 5. 기하학 단위계

광속중력 상수를 1로 정의하는 자연 단위계로,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에 사용된다.[7]

```wikitable

단위계기본 단위
기하학 단위계c,G,\mathrm{m}


3. 6. 슈뢰딩거 단위계

에르빈 슈뢰딩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슈뢰딩거 단위계는 기본 전하(`e`), 디랙 상수(`ħ`), 중력 상수(`G`), 쿨롱 상수(`k`e)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5][6]

슈뢰딩거 단위계의 SI 단위 차원
물리량표현식근사
미터법 값
길이\sqrt2.593×10-32 m
질량\sqrt1.859×10-9 kg
시간\sqrt}1.185×10-38 s
전하량e1.602×10-19 C


4. 자연 단위계에 사용되는 물리 상수

자연 단위계에서 기본 단위로 자주 사용되는 물리 상수는 다음과 같다.

상수기호차원
진공 중의 빛의 속도cLT−1
중력 상수GM−1L3T−2
중력 상수의 4π배4πGM−1L3T−2
환산 플랑크 상수 (디랙 상수)\hbarML2T−1
진공의 유전율 \epsilon_0 Q2 M L-3 T2
쿨롱 역학 상수 \frac{1}{4 \pi \epsilon_0} Q−2 M L3 T−2
소전하eQ
전자의 정지 질량M
양성자의 정지 질량M
볼츠만 상수kML2T−2Θ−1
보어 반지름L



이들 중 차원이 독립적인 5개를 선택하여 1로 정규화하면 질량, 길이, 시간, 전하, 엔트로피로 구성된 임의의 물리량을 포함하는 단위계를 만들 수 있다. 예를들어 플랑크 단위계는 c, G, \hbar, k_\text{B}를 정의 상수로 사용한다. 하지만 차원이 독립적이지 않은 물리 상수(예: 차원이 같은 전자의 질량과 양성자의 질량)를 선택할 수는 없다.

5. 한국의 자연 단위계 연구 및 활용

참조

[1] 논문 Natural units before Planck https://articles.ads[...]
[2] 간행물 Stoney's Fundamental Units
[3] 문서
[4] 웹사이트 Natural Systems of Units: To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the Planck System http://old.ihst.ru/p[...] 1999
[5] 서적 Handbook of High-resolution Spectroscopy https://www.ir.ethz.[...] 2023-03-19
[6] arXiv Comment on time-variation of fundamental constants 2004-07-11
[7] 서적 Gravitation Freeman 2008
[8]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atomic unit of length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3-12-31
[9]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atomic unit of mass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3-12-31
[10]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atomic unit of time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3-12-31
[11]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atomic unit of charge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3-12-31
[12] 간행물 Atomic Units
[13] 간행물 Natural Units in Atomic and Molecular Physics https://www.nature.c[...] 1973-05
[14] 서적 Quantum chemistry Prentice-Hall International 1991
[15]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natural unit of length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0-05-31
[16]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natural unit of mass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0-05-31
[17] 웹사이트 2018 CODATA Value: natural unit of time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0-05-31
[18] 서적 Gauge Field Theories Wiley-VCH Verlag 1991
[19] 논문 On Absolute Units, I: Choices http://ctpweb.lns.mi[...] 2020-05-31
[20] 논문 On Absolute Units, II: Challenges and Responses http://ctpweb.lns.mi[...] 2020-05-31
[21] 문서
[22] arXiv Fundamental Constants
[23] arXiv Fundamental Aspects of the Expansion of the Universe and Cosmic Horizons 2004-02-12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