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운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운영은 콩과에 속하는 귀화식물로, 한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자생하며, 녹비, 사료, 밀원, 식용,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자운영은 붉은색 꽃을 피우며, 뿌리에 질소 고정 능력이 있어 거름으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논에서 녹비 작물로 널리 재배되었으나 화학 비료의 등장과 재배 방식의 변화로 재배 면적이 감소하였다. 자운영은 식용 및 약용으로도 사용되며, 봄의 계절어로 시와 노래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레가족 - 감초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서, 뿌리는 약재, 식품, 조미료, 담배 첨가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며, 특히 동아시아에서는 약재로, 중의학에서는 약효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단맛을 내는 글리시리진을 함유하지만 과다 복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주로 중국에서 생산되고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재배된다. - 갈레가족 - 골담초
골담초는 덤불처럼 자라는 가시 있는 낙엽관목으로, 봄에 피는 나비 모양의 노란 꽃이 관상 가치가 높고,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척박한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비료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비료 - 염화 칼륨
염화칼륨(KCl)은 칼륨 이온과 염화물 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성 화합물로, 칼륨 비료, 화학 공업, 의학, 사형 집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면심입방구조와 광학적 특성을 지니고, 캐나다,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자운영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식물 정보 | |
![]() | |
학명 | Astragalus sinicus L. |
이명 | Astragalus lotoides Lam. Astragalus sinicus Thunb. Tragacantha sinica (L.) Kuntze |
과 | 마메과 |
아과 | 마메아과 |
속 | 겐게속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이름 | 겐게 |
로마자 표기 | Genge |
다른 이름 | 렌게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이름 | ゲンゲ (겐게) |
다른 이름 (일본어) | レンゲ (렌게) |
영어 정보 | |
영어 이름 | Chinese milk vetch (중국 젖풀) |
한국어 정보 | |
자운영 | 자운영 |
지역 정보 | |
기후 현의 상징 | 기후 현의 꽃 |
상징 지정 | 1954년 3월 |
농업 정보 | |
용도 | 논의 녹비 작물로 사용됨 |
연구 | 중국 젖풀과 무경운 농법이 토양 생물 요인 및 쌀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타 정보 | |
IPNI 식물 이름 식별자 | 479842-1 |
2. 명칭
표준어는 '''자운영'''이다.[8][9][10][11] 정옥자규(正岡子規)의 시 "들길 가노라니 자운영(ゲンゲ일본어) 다발 버려져 있네"[12] 와 모리 오가이(森鴎外)의 「비타 섹슈알리스(ヰタ・セクスアリス)」에 나오는 "흩어진 기와 사이로 자운영(ゲンゲ일본어)과 제비꽃이 피어 있다. 나는 자운영(ゲンゲ일본어)을 따기 시작했다."[13]에서 보듯이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는 "ゲンゲ일본어"가 일반적이었다.
자운영은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약간 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논의 녹비로 재배되다가 야생화되어 논과 주변 둑, 휴경지, 초지 등에서 볼 수 있다.
중국 원산으로, 한국에서는 귀화식물이며 전국 각지에 분포하지만 기후현 이서 지역에 많다.[1][2] 약간 습한 환경을 좋아한다.[3] 한국에는 오래전에 들어와 논의 녹비로 재배되었지만, 현재는 야생화되어 논과 주변 둑, 휴경지, 초지 등에서 볼 수 있다.[2][4][5]
자운영은 녹비(거름) 및 사료, 밀원(꿀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쇼와 시대(昭和時代)가 되면서 '''연꽃(レンゲソウ일본어)'''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3. 생태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풀이며, 줄기는 뿌리에서 나와 땅 위를 기어가면서 뻗어나가고 높이는 10cm에서 25cm이다. 뿌리에서 가지를 치면서 지면을 따라 포복하며 길이 10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1회 기수 깃꼴겹잎이며, 4 - 5쌍의 거의 같은 크기의 작은잎을 가지고 있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약간 오목하다.
개화기는 봄(4 - 5월경)이다. 꽃줄기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곧게 서서 잎보다 높이 솟아나고, 끝에 길이 1cm 정도의 나비 모양의 꽃이 10개 정도 윤생상으로 모여 핀다. 꽃 색깔은 홍자색이 대부분이지만, 드물게 흰색(크림색)이나 진한 적색의 개체도 있다. 흰 꽃은 흰자운영이라고 한다. 충매화이며, 꿀벌 등이 꽃의 옆으로 튀어나온 꽃잎에 몸을 기대듯이 앉아 꿀을 빨거나 꽃가루를 모으면, 꿀벌의 무게로 아래쪽 꽃잎(용골판)이 갈라지고 그 안에서 수술과 암술이 드러나 꿀벌의 배에 꽃가루가 묻어 다른 꽃으로 매개한다.
열매는 꼬투리열매이며, 길이 2cm - 3cm 정도의 삼각형 모양이고,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검게 익으며, 끝이 부리 모양으로 되어 위를 향한다. 꼬투리 안에 나란히 들어 있는 씨앗은 휘어진 신장형, 편평하며, 배꼽은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4. 분포
5. 이용
자운영 꽃은 좋은 꿀의 원천이 된다. 밀원식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대표적인 밀원식물로 꼽힌다. 자운영 꿀은 색깔과 맛이 좋고, 생산량도 많다.[1] 꽃은 꿀벌이 앉으면 꽃잎이 자연스럽게 열려 꿀을 빨기 쉽게 되어 있다.[1] 알팔파꼬마좀벌레(アルファルファタコゾウムシ)라는 해충이 자운영 밭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기도 하는데, 큐슈와 중국지방의 양봉업자가 폐업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
5. 1. 녹비 및 사료
뿌리에 뿌리혹이 잘 발달되어 질소 동화 작용이 활발하므로 거름(녹비작물)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특히 개화기에는 베어내어 사료로도 이용한다.
화학 비료가 자유롭게 사용되기 시작하기 전까지는,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뿌리혹박테리아를 이용하는 녹비(綠肥: 풀비료)로, 그리고 소의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 논의 뒷작물로 9월경에 벼 사이에 종자를 뿌리고, 벼베기 후에 자라서 겨울을 넘기고, 이듬해 봄에 꽃을 피웠다[14] . 이것은 '''자운영 밭'''이라 불리며, 논 전체에 꽃이 피는 광경은 "봄의 풍물시"였다. 화학 비료는 20세기에 들어와 생산이 본격화되었지만, 원료가 군수물자라는 측면이 있어 농업 분야에서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주저되었다. 이 때문에 자운영을 논이나 밭에 녹비로 재배하여 화학 비료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이 취해졌다. 전후에는 화학 비료의 대량 생산과 사용이 자유로워졌고, 또한 보온 보온 겸용 모판의 보급으로 벼의 조기 파종이 가능해져 녹비 생산 일정과 겹치게 된 것도[14] 자운영 밭이 급속히 사라진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한때는 거의 녹비로서의 이용이 없어졌지만, 일부에서는 유기농업이 재검토되면서 다시 벼 수확기의 논에 자운영 종자를 뿌려 재배하는 곳도 있다.
질소고정은 식물이 대기 중의 질소를 흡수하여 질소비료와 같은 형태로 축적하는 것이다. 자운영은 뿌리에 구형의 뿌리혹이 생긴다. 자운영의 질소 고정력은 강력하여 10 cm의 생육으로 대략 10 아르 · 1 톤의 생초 중, 4-5 킬로그램(kg)의 질소를 공급할 수 있다.
젖소를 기르는 곳에서는 사료로 이용되었다. 휴경지의 잡초 방지책이 되기도 했다. 자운영이 자라는 곳에 무경운 직파하여 건답기에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 자운영이 마르기 전에 물을 대어 강력한 유기산을 생성시켜 잡초를 고사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자운영은 습해에 약하고, 무경운에서는 연작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외래종인 알팔파씨벌레(アルファルファタコゾウムシ)에 의한 피해가 두드러진다.
5. 2. 밀원
자운영 꽃은 좋은 꿀의 원천이 된다. 밀원식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대표적인 밀원식물로 꼽힌다. 자운영 꿀은 색깔과 맛이 좋고, 생산량도 많다.[1] 꽃은 꿀벌이 앉으면 꽃잎이 자연스럽게 열려 꿀을 빨기 쉽게 되어 있다.[1] 알팔파꼬마좀벌레라는 해충이 자운영 밭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기도 하는데, 큐슈와 중국지방의 양봉업자가 폐업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
5. 3. 식용
꽃이 피기 전의 어린 싹과 어린잎, 꽃봉오리, 꽃은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채취 시기는 따뜻한 지방이 10월~4월경, 추운 지방은 4월~5월경이며, 부드러운 줄기 부분에서 뜯는다. 어린 싹과 어린잎은 살짝 데쳐 찬물에 헹구어 나물, 무침, 조림, 볶음, 국에 넣어 먹는다. 꽃봉오리와 어린잎을 함께 생으로 튀김을 해 먹을 수도 있다. 꽃은 꽃받침을 제거하고 잼이나 시럽절임, 꽃술을 만들거나, 살짝 데쳐 초절임이나 맑은 국의 재료로 하여 요리의 색깔을 더할 수 있다. 맛은 콩과 식물 특유의 풍미와 향이 있으며, 나물로 무치면 쓴맛이 없고 깔끔하고 맛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5. 4. 약용
민간요법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개화기의 지상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이뇨 및 해열제로 사용한다.[1] 해열과 이뇨에는 하루 10g의 건조시킨 줄기와 잎을 컵 3잔 정도의 물로 절반이 될 때까지 달여서 나누어 복용하는 민간요법이 알려져 있다.[1] 또한, 생잎을 짜낸 즙은 가벼운 화상의 외용약으로 사용하면 회복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
6. 문화
봄의 계절어이다. 자운영꽃을 노래한 전래 동요도 있다. 봄의 시냇물 등이 알려져 있다. "손에 들지 마라, 역시 들에 두어라, 연화초(자운영)"는 에도 시대에 타키노 효스이가 읊었다고 전해지는 하이쿠이다(작자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 있다). 유녀(기생)를 미우케(빚을 갚아주고 빼내는 것)하려던 친구를 막기 위해 읊은 구절로, 연화(유녀)는 들에 피어(자신의 것이 아니기에) 아름다운 것이고, 자신의 것으로 하면 그 아름다움은 사라져 버린다는 의미이다. 이는 어떤 인물을 무대 위에 세워서는 안 된다고 평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아라후네 세이주로 항목 참조).
그리스 신화에서는 제단에 바칠 꽃을 따러 들에 나간 단짝 자매 이야기가 알려져 있다. 님프가 변신한 자운영을 잘못 꺾어 버린 언니 도류오페가 대신 자운영으로 변해 버린다. "꽃은 모두 여신이 모습을 바꾼 것. 이제 꽃은 꺾지 마"라고 말을 남겼다고 한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Astragalus sinicus
http://www.theplantl[...]
2017-11-16
[2]
웹사이트
Astragalus sinicus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8-03
[3]
웹사이트
Symbols of Gifu Prefecture - Flower: The Chinese Milk Vetch (Renge or Genge)
https://www.pref.gif[...]
2023-10-01
[4]
서적
Farmers of Forty Centuries, or, Permanent Agriculture in China, Korea and Japan
https://play.google.[...]
Mrs. F. H. King
[5]
논문
Influence of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with no-tillage on soil biotic factors and rice yield
Springer-Verlag
[6]
웹사이트
ゲンゲ(標準)
(YList ID를 사용하여 URL을[...]
2023-03-24
[7]
서적
「山野草の名前」1000がよくわかる図鑑
主婦と生活社
[8]
웹사이트
ゲンゲ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侵入生物DB
2024-06-15
[9]
웹사이트
レンゲ、ゲンゲ(紫雲英;正式な和名)
https://sekainotabin[...]
路傍の花々
2024-06-15
[10]
웹사이트
ゲンゲ
http://ylist.info/yl[...]
Ylist
2024-06-15
[11]
웹사이트
ゲンゲ
https://www.naro.aff[...]
農研機構
2024-06-15
[12]
웹사이트
春を告げる可憐な野の花「レンゲ」
https://www.yomeishu[...]
養命酒製造株式会社
2024-06-15
[13]
웹사이트
ヰタ・セクスアリス
https://www.aozora.g[...]
青空文庫
2024-06-15
[14]
서적
大山の歴史
大山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