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나 핀투세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나 핀투세비치는 우크라이나의 육상 선수로,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m 금메달,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m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1년 유럽 육상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2개의 금메달과 1개의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1992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60m에서 우승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100m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00년 IAAF 그랑프리 파이널 100m에서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2004년 올림픽에서는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BALCO 스캔들에 연루되어 2011년 도핑 위반으로 2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2002년 이후의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여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올가 브리즈기나
올가 브리즈기나는 소련과 우크라이나를 대표한 육상 선수로, 400m를 주 종목으로 올림픽 금메달 3개를 포함하여 세계 선수권, 유럽 선수권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1988년 서울 올림픽 400m 금메달로 세계적인 선수로 알려졌다. - 우크라이나의 여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니나 주시코바
니나 주시코바에 대한 정보는 현재 부족하여 주요 내용이 제공되지 않는다. - 소련의 여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올가 브리즈기나
올가 브리즈기나는 소련과 우크라이나를 대표한 육상 선수로, 400m를 주 종목으로 올림픽 금메달 3개를 포함하여 세계 선수권, 유럽 선수권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1988년 서울 올림픽 400m 금메달로 세계적인 선수로 알려졌다. - 소련의 여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올가 나자로바
올가 나자로바는 소련과 독립 국가 연합을 대표하여 활동하며, 올림픽 400m 동메달, 4 × 400m 릴레이 금메달 2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1회 등을 획득한 육상 선수이다.
잔나 핀투세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잔나 유리예브나 핀투세비치 |
원어명 | Жанна Юріївна Пінтусевич |
로마자 표기 | Zhanna Yuriivna Pintusevych |
이전 성 | 타르노폴스카야 Тарнопóльська (우크라이나어) Тарнопо́льская (러시아어) Tarnopolskaya (로마자 표기) |
국적 | 우크라이나 |
출생일 | 1974년 3월 9일 |
출생지 | 소련 우크라이나 SSR 니진 |
신장 | 164cm |
체중 | 62kg |
선수 경력 | |
국가 | 소련 독립국가연합 우크라이나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단거리 달리기 |
소속팀 | 디나모 키이우 |
은퇴 | 2006년 |
개인 최고 기록 | |
100m | 10.82초 (2001) NR |
200m | 22.17초 (1997) NR |
수상 내역 | |
주요 대회 성적 | |
최고 순위 | 세계 챔피언 (60m, 100m, 200m) |
메달 기록 (여자 육상) |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1 테살로니키 (100m) 금메달: 1991 테살로니키 (200m) 은메달: 1991 테살로니키 (4x400m 계주) |
유럽 선수권 대회 (실내) | 금메달: 1992 제노바 (60m, 독립국가연합)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7 아테네 (200m) 금메달: 2001 에드먼턴 (100m) 은메달: 1997 아테네 (100m) 실격: 2003 파리 (100m) |
세계 선수권 대회 (실내) | 동메달: 1993 토론토 (60m) 실격: 2001 버밍엄 (60m) |
유럽 선수권 대회 | 은메달: 1994 헬싱키 (100m) 은메달: 1994 헬싱키 (200m) 은메달: 1998 부다페스트 (200m) |
굿윌 게임 | 은메달: 1998 뉴욕 (100m) 은메달: 1998 뉴욕 (200m) 은메달: 2001 브리즈번 (100m) |
유럽 컵 | 금메달: 1994 버밍엄 (100m) 금메달: 1994 버밍엄 (4 x 100m 계주) 동메달: 1993 로마 (100m) |
IAAF 월드컵 | 동메달: 1998 요하네스버그 (200m) |
2. 유년 시절
잔나 핀투세비치-블록은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소련 니진에서 태어났으며, 세 살 때 아버지가 떠난 후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그녀는 수도 시설이 없는 방 한 칸짜리 집에서 살았고, 난방을 위해 석탄 난로를 사용했다.[1][2]
잔나 핀투세비치는 1988년 소련 육상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된 후, 1991년까지 소련 대표로 활동했다. 소련 붕괴 이후 1992년에는 독립국가연합 대표로 뛰었으며, 1993년부터는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3. 경력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1994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99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m 금메달,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급 스프린터로 자리매김했다.
2000년대에는 BALCO 스캔들에 연루되어 도핑 의혹을 받기도 했다. 2011년에는 도핑 위반으로 2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2002년 11월 30일 이후의 기록이 모두 무효 처리되었다.[5]
3. 1. 소련 청소년 대표 시절 (1988-1991)
소련 육상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1988년 7월 캐나다 서드베리에서 열린 1988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안젤리카 골롭첸코, 옥사나 코발료바, 나데즈다 치스탸코바와 함께 100m 계주에 출전하여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실격되었다.[8] 1991년 다시 소련 청소년 대표로 발탁되어 그 해 8월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1991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개인 금메달 2개, 단체 은메달 1개를 획득하며 국제 대회에서 처음으로 성과를 냈다. 100m 종목에서는 11.35초의 기록으로 영국의 마시아 리처드슨과 독일의 베티나 치프를 꺾고 우승했으며, 200m 종목에서는 23.56초의 기록으로 이탈리아의 자다 갈리나와 영국의 캐서린 메리를 제치고 우승했다. 안나 코자크, 나탈리야 샤로바, 넬리 보론코바와 함께 출전한 400m 계주에서는 3분 37.30초의 기록으로 독일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나탈리야 메하노시나, 류드밀라 갈키나, 이리나 푸하와 함께 참가한 100m 계주에서는 45.37초의 기록으로 독일, 영국, 이탈리아에 밀려 4위를 기록했다.[8]
3. 2. 독립국가연합 대표 시절 (1992)
소련 붕괴 후, 잔나 핀투세비치는 우크라이나 국적을 취득했다. 1992년 독립국가연합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2월에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열린 1992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60m 종목에서 7.17초의 기록으로 불가리아의 아넬리야 누네바와 같은 독립국가연합 팀의 나데즈다 로슙키나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1992년 IAAF 월드컵에 독립국가연합 팀으로 참가하여, 나탈리야 보로노바, 옐레나 미제라, 올가 보고슬롭스카야와 함께 출전한 100m 계주에서 44.55초의 기록으로 5위를 기록했다.
3. 3. 우크라이나 대표 시절 (1993-2004)
1993년부터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그해 3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1993년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60m에서 7.21초의 기록으로 게일 디버스(미국), 이리나 프리발로바(러시아)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8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1조에서 8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4년 8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199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00m(11.10초)와 200m(22.77초)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두 종목 모두 프리발로바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안토니나 슬류사르, 빅토리야 포멘코, 이리나 슬류사르와 함께 출전한 100m 계주에서는 43.61초로 4위에 올랐다.
1995년 8월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1995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에서는 11.07초로 5위를 기록했다. 1996년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 100m 결승에서는 11.14초로 최하위인 8위를 기록했다.
1997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m 금메달(22.32초), 100m 은메달(10.85초)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급 선수로 발돋움했다. 1998년 미국 뉴욕에서 열린 1998년 굿윌 게임에서는 100m와 200m 모두 매리언 존스에 이어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같은 해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98년 유럽 선수권 대회 100m에서는 10.92초의 시즌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4위에 머물렀고, 200m에서는 22.74초로 프리발로바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9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1999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에서는 10.95초로 4위를 기록했다. 2000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00m 4위(11.20초), 200m 7위(22.66초)를 기록하며 올림픽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01년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에서 10.82초의 우크라이나 신기록으로 우승했다.[8] 2004년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00m와 100m 계주에 출전했으나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3. 3. 1. 1990년대: 국제 무대에서의 활약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니진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991년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1991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00m와 200m에서 금메달, 4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00m 종목에서는 11.35초의 기록으로 영국의 마시아 리처드슨과 독일의 베티나 치프를 꺾었으며, 200m 종목에서는 23.56초의 기록으로 이탈리아의 자다 갈리나와 영국의 캐서린 메리를 제치고 우승했다. 안나 코자크, 나탈리야 샤로바, 넬리 보론코바와 함께 출전한 400m 계주에서는 3분 37.30초의 기록으로 독일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8]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 국적을 선택하여 1992년 독립국가연합 국가대표로 1992년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6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3년부터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1993년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6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4년 199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00m와 200m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유럽 정상급 선수로 발돋움했다. 1996년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첫 올림픽 무대를 경험했으나, 100m 결승에서 8위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1997년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00m 금메달, 100m 은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했다. 1998년 1998년 굿윌 게임에서 100m와 200m 은메달, 1998년 유럽 선수권 대회 200m 은메달을 추가하며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1999년 1999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3. 3. 2. 2000년대: 올림픽 도전과 BALCO 스캔들
2000년 9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100m와 200m에 출전, 모두 결승전에 진출했다.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적이 없던 핀투세비치는 100m에서 11.20초를 기록하며 미국의 매리언 존스, 그리스의 에카테리니 타누, 자메이카의 타이나 로런스에 이어 4위에 올랐다. 200m에서는 22.66초의 시즌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7위에 머물렀다. 같은 해 10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000년 IAAF 그랑프리 파이널 100m에서 11.16초를 기록, 존스, 크리스티 게인스, 바하마의 세버시다 파인스에 이어 4위를 기록했으나, 2007년 존스의 도핑이 적발되며 3위로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2001년 8월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100m에서는 10.82초로 타누와 챈드라 스터럽을 누르고 우크라이나 국가 기록을 갱신하며 우승했다.[8]
200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00m와 100m 계주에 출전했으나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11년, 청문회 없이 도핑 위반으로 2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불법 약물 사용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은 없지만, 2002년 11월 30일 이후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다.[5] 남편이자 코치인 마크 블록은 BALCO 스캔들 관련 경기력 향상 약물 수령 혐의로 10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5][6]
4. 개인 생활
5. 논란
BALCO 스캔들에서 빅터 콘테는 잔나 핀투세비치가 자신이 제공한 불법적인 경기력 향상 약물을 복용했다고 지목했다.[4] 2011년, 잔나 핀투세비치는 도핑 위반으로 2년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고, 2002년 11월 30일 이후의 기록은 무효화되었다.[5] 남편이자 코치였던 마크 블록 또한 경기력 향상 약물을 수령한 혐의로 10년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5][6]
5. 1. BALCO 스캔들
빅터 콘테는 BALCO 스캔들에서 잔나 핀투세비치가 콘테가 제공한 불법적인 경기력 향상 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지목했다.[4] 2011년, 잔나 핀투세비치는 청문회 없이 도핑 위반으로 2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불법 약물 사용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은 없지만, 2002년 11월 30일 이후의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다.[5] 그녀의 남편이자 코치인 마크 블록은 BALCO 스캔들의 일환으로 경기력 향상 약물을 수령한 혐의로 10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5][6]참조
[1]
뉴스
The first marathon runner wasn't Greek, he was Jewish
https://www.haaretz.[...]
Haaretz
2014-02-27
[2]
웹사이트
Zhanna Pintusevich
http://www.jewishspo[...]
[3]
웹사이트
Zhanna Pintusevich
http://www.jewishspo[...]
2024-05-31
[4]
뉴스
Block Named on Balco Supply Li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4-04-27
[5]
뉴스
List of athletes currently serving a period of ineligibility as a result of an anti-doping rule violation under IAAF Rules
http://www.iaaf.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012-11-02
[6]
뉴스
Mark Block suspended for 10 years
https://www.espn.com[...]
2011-03-18
[7]
웹사이트
From Kiev, With Speed
http://www.jewishspo[...]
Jewishsports.com
2010-10-25
[8]
뉴스
"[세계 육상] 핀투세비치, 女 100m 깜짝 우승"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01-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