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녕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녕공주는 고려 충혜왕과 덕녕공주의 딸로, 원나라 노왕에게 시집갔으나 원나라 멸망 후 북평에서 실종되었다. 공민왕은 명나라 홍무제를 통해 장녕공주를 찾아 고려로 데려왔지만, 신돈의 반대와 공민왕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어머니 덕녕공주의 거처에서 생활했으며, 1377년 이후 기록이 없어 생몰년과 묘는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공주 - 정헌공주
    정헌공주는 고려 혜종과 의화왕후의 딸이며, 흥화궁군, 경화궁부인과 남매 관계이다.
  • 고려의 공주 - 명혜부인
    명혜부인은 고려 혜종과 궁인 애이주 사이에서 태어난 혜종의 딸이자 왕제의 누이이다.
  • 개성 왕씨 - 왕영은
    왕영은은 1981년 방송 데뷔 후 다양한 TV,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 CF 모델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며, 현재 SBS 《좋은 아침》, 현대홈쇼핑 《왕영은의 톡 투게더》 등을 진행하고 있다.
  • 개성 왕씨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장녕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작위공주
별칭장녕옹주
왕조고려, 원나라
아버지충혜왕
어머니덕녕공주
친척충목왕(남매), 공민왕(숙부) 등
배우자원나라 노왕
생애 정보
출생일미상
출생지고려
사망일미상
매장지미상
기타 정보
가문왕씨 (출생)
종교?

2. 생애

장녕공주는 원나라 노왕에게 시집갔으나, 원나라가 멸망하면서 노왕은 북평에서 실종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장녕공주의 숙부 공민왕은 성준득에게 장녕공주를 찾게 하였다.[4][5] 1370년(공민왕 19년) 음력 4월 명나라홍무제가 북경에서 공주를 찾아 옷과 먹을 것을 주고 고려로 돌려보냈다.

고려에 도착한 장녕공주는 처음에는 작은 마을에 머물렀으나, 공민왕이 이 사실을 알고 모후 덕녕공주의 거처에서 함께 살도록 하였다. 공민왕은 조카를 후하게 대접하며 필요한 모든 것을 보살폈다.

이후 《고려사》에는 1377년(우왕 3년) 음력 11월에 장녕공주에게 곡식을 하사했다는 기사를 끝으로, 그녀에 대한 기록은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6] 생몰년이나 묘에 대한 기록 역시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다.

2. 1. 가계 및 혼인

고려 충혜왕과 정비 덕녕공주의 딸로, 생몰년은 분명치 않다. 은 왕, 본관개성이다. 충목왕과 친남매간이고, 공민왕의 친조카이다.

장녕공주의 모후 덕녕공주는 원나라 황족 출신으로, 진서무정왕 초팔의 딸이다. 1330년(충숙왕 17년) 원나라에 입조해 있던 충혜왕과 혼인하였으며, 충혜왕이 죽은 후에는 어린 충목왕과 충정왕을 대신해 섭정을 하였다.[3]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충혜왕1315년 ~ 1344년, 재위: 1330년 ~ 1332년, 1339년 ~ 1344년
어머니덕녕공주? ~ 1375년
남매충목왕1337년 ~ 1348년, 재위: 1344년 ~ 1348년
숙부공민왕1330년 ~ 1374년, 재위: 1351년 ~ 1374년
남편원나라 노왕


2. 2. 원나라 멸망과 귀환

장녕공주는 원래 원나라의 노왕에게 시집을 갔다. 그런데 원나라가 멸망하면서 북평에서 실종되고 말았다. 이를 알게 된 공민왕상서 성준득을 시켜 중서성에 이를 알려 공주를 찾게 하였다.[4][5] 1370년(공민왕 19년) 음력 4월 명나라홍무제가 북경에서 공주를 찾아 옷과 먹을 것을 주고 도사 서사호를 통해 고려로 돌려보냈는데, 무슨 일인지 공민왕은 공주가 돌아왔다는 이야기를 듣고도 기뻐하지 않았다.[4][5] 이에 신돈이 좌사의대부 오중륙 등에게 밀령을 내려 "부인은 절개를 지켜야 하는데 장녕공주는 원나라에서 음란하다는 소문이 있었고, 명나라에 사로잡혀 포로가 되었으니 매우 부끄러운 일이다. 종묘와 백성들의 이목을 생각하여, 장녕공주를 개경이 아닌 먼 변방에서 살게 하라."는 상소를 올렸으나, 공민왕이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4][5] 이후 장녕공주는 모후 덕녕공주의 거처에서 함께 살았다.[4][5]

2. 3. 고려 귀환 이후

장녕공주는 원래 원나라의 노왕에게 시집을 갔다. 그런데 원나라가 멸망하면서 북평에서 실종되고 말았다. 이를 알게 된 공민왕상서 성준득을 시켜 중서성에 이를 알려 공주를 찾게 하였다.[4][5] 1370년(공민왕 19년) 음력 4월 명나라홍무제가 북경에서 공주를 찾아 옷과 먹을 것을 주고 도사 서사호를 통해 고려로 돌려보냈는데, 무슨 일인지 공민왕은 공주가 돌아왔다는 이야기를 듣고도 기뻐하지 않았다.[4][5] 이에 신돈이 좌사의대부 오중륙 등에게 밀령을 내려 "부인은 절개를 지켜야 하는데 장녕공주는 원나라에서 음란하다는 소문이 있었고, 명나라에 사로잡혀 포로가 되었으니 매우 부끄러운 일이다. 종묘와 백성들의 이목을 생각하여, 장녕공주를 개경이 아닌 먼 변방에서 살게 하라."는 상소를 올렸으나, 공민왕이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4][5] 이후 장녕공주는 모후 덕녕공주의 거처에서 함께 살았다.[4][5]

이후 《고려사》에는 1377년(우왕 3년) 음력 11월에 장녕공주에게 곡식을 하사했다는 기사를 끝으로, 그녀에 대한 기록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6] 생몰년이나 묘에 대한 기록 역시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다. 는 '''장녕공주'''(長寧公主)이다. 소생에 대해서도 기록이 없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
아버지충혜왕(왕정)1315년 2월 22일1344년 1월 30일
어머니덕녕공주 이렌첸빤 보르지긴씨?1375년 4월 15일
할아버지충숙왕 왕만1294년 7월 30일1339년 5월 3일
할머니공원왕후 홍씨1298년 8월 25일1380년 2월 12일
외할아버지초팔??
형제충목왕 왕흔1337년 5월 15일1348년 12월 25일
남편원나라 노왕??


참조

[1] 웹사이트 공주의 위기 http://www.ohmynews.[...] 2012-01-27
[2] 서적 《고려사》권38〈세가〉권38 - 공민왕 3년 1월 - 신년하례잔치를 열다
[3] 서적 《고려사》권89〈열전〉권2 - 덕녕공주
[4] 서적 《고려사》권91〈열전〉권4 - 장녕공주
[5] 웹인용 《고려사절요》권29 1370년 http://db.itkc.or.kr[...] 2018-11-01
[6] 서적 《고려사》권133〈열전〉권46 - 우왕 3년 11월 - 장녕공주 등에게 곡식을 하사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