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합미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수 합미성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해발 800m 산 정상에 위치한 산성이다. 후백제 시대에 군량미를 모아 합미성이라 불렸으며, 성의 둘레는 320m, 높이는 바깥쪽 4.6m, 안쪽 1.6m이다. 현재 일부 성벽만 남아있으며, 수군지에서 유래된 "수꾸머리"라는 지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2014년과 2016년에 걸쳐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가야와 후백제 유물이 출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제된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 완주 고산향교 대성전
완주 고산향교 대성전은 조선 시대 건축물로, 유교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며,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된 완주 고산향교의 중심 건물이다. - 해제된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 익산향교 대성전
익산향교 대성전은 익산향교의 중심 건물로 유교 제례를 지내는 맞배지붕의 공간이며, 중국과 한국 유학자들의 위패가 봉안되어 봄, 가을에 제사가 거행된다. - 장수군의 문화유산 - 자락정
자락정은 조선 시대에 김영호와 박수기가 처음 건립하고 1924년에 중건된 정자로, 건축 양식과 주변 환경의 조화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장수군의 문화유산 - 장수성당 수분공소
장수성당 수분공소는 병인박해 이후 형성된 교우촌에서 신앙 중심지 역할을 해 온 건물로, 1920년대 한옥 성당의 모습을 간직한 바실리카식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은 전라북도에 지정된 기념물 목록으로, 선사 시대 유적, 성곽, 고건축물 등을 포함하며 1973년부터 1999년까지 지정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 아막성
아막성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으로, 백제와 신라가 쟁탈전을 벌였던 곳이며, 삼국시대 유물이 발견되어 국경 분쟁 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
장수 합미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75 |
지정일 | 1985년 8월 16일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식천리 177-1 |
소유 | 국유 |
상세 정보 | |
유형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69 |
지정일 | 1984년 4월 1일 |
해제일 | 1985년 8월 16일 |
2. 위치
장수 합미성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해발 800m의 산능선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산성이다. 합미성이란 이름은 후백제 때 성에 주둔한 군사들이 먹을 식량을 모았다하여 붙여진 것이라 하는데, 당시 군사들이 쓸 물을 땅속으로 보내던 수로관 시설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성의 둘레는 970척(320m)이며, 높이는 바깥쪽이 15척(4.6m), 안쪽이 5척(1.6m)이다. 현재 대부분의 성벽은 무너져 내린 상태이며, 다만 북서쪽과 남쪽의 일부 성벽만이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다.
합미성(合米城)이라는 이름은 후백제 때 성에 주둔한 군사들이 먹을 식량을 모았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성터 인근 지역은 "수꾸머리"라고 불리는데, 이는 군사가 주둔했던 곳, 즉 수군지(守軍址)라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당시 군사들이 쓸 물을 땅속으로 보내던 수로관 시설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성터에서 3km쯤 떨어진 곳에 신무산이 있는데, 이곳에 허수아비로 군사를 만들어 적군이 합미성으로 오지 않고, 신무산으로 유인하여 적을 무찔렀다고 한다.
이 수군(守軍)터는 와전되어 오늘날에는 쑤구머리로 전해지고 있다. 성터에서 3km쯤 떨어진 곳에 신무산이 있는데, 이곳에 허수아비로 군사를 만들어 적군이 합미성으로 오지 않고, 신무산으로 유인하여 적을 무찔렀다고 한다. 지금도 성터가 남아있으며, 몇 해 전까지만 해도 땅속을 파보면 불탄 쌀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3. 명칭 유래
4. 성벽
5. 시설
5. 1. 수로관 시설
5. 2. 기타 시설
6. 발굴 조사
6. 1. 1차 발굴 조사 (2014년)
2014년 1차 발굴조사 결과 가야계 유물, 후백제계 유물 등이 출토됐으며 성벽의 축조 방법이나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명되었다.[1]6. 2. 2차 발굴 조사 (2016년)
2016년 5월 25일 장수군은 2차 발굴 조사에 앞서 개토제를 거행했다.[1]7. 현지 안내문 내용
합미성은 후백제(892~936) 때 돌로 쌓은 성으로, 둘레는 약 300m, 성벽의 높이는 안쪽이 4.5m, 바깥쪽이 1.5m 정도이다.[2] 합미성이라는 이름은 성안에 군량을 보관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대부분의 성벽은 파괴되었고, 일부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2] 성에 주둔하던 군인들이 사용했다는 급수관 시설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찾아볼 수 없다.[2] 사람들은 합미성이 위치한 이 지역을 "수꾸머리"라고 부르는데, 이는 군사가 주둔했던 곳, 즉 수군지(守軍址)라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2]
참조
[1]
뉴스
장수가야 문화유산 고대산성 발굴조사 대박기원 개토제
http://www.newsmaker[...]
2016-05-30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