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연 노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연 노씨는 노수를 도시조로 하고 노구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장연백에 봉해진 노구의 후손들이며, 노단은 문과에 급제하여 예부 상서를 지내고 사학을 열어 후진을 교육했다. 13세 노명신의 아들 대에서 창녕·고령, 평양·외성, 괴산·음성 3파로 분파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노단, 노영수, 노구산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7명, 무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했다.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평안남도, 경상남도, 충청북도 등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연 노씨 - 노기남
    노기남은 한국 최초의 주교이자 서울대교구 초대 대주교로 한국 천주교회 발전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장연 노씨 - 노기태
    노기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부산 강서구청장을 역임했으며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 삼성그룹, 금강공업, 부산광역시 정무부시장, 부산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국제신문 대표이사 사장, 부산항만공사 사장을 지냈다.
장연 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표기장연 노씨
한자 표기長淵盧氏
로마자 표기Jangyeon No ssi
관향황해남도 장연군
시조노구(盧坵)
역사
시조노구(盧坵)
장연백(長淵伯)에 봉해짐
중시조노해(盧垓)
주요 인물
고려 시대노단
노영수
의비 노씨
노구산
소빈 노씨
현대노기남
노기태
노정환
인구 통계 (2015년)
인구10,907명
집성촌
관련 웹사이트

2. 역사

도시조(都始祖) 노수의 첫째 아들 노구(盧坵)가 고려조에 장연백(長淵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의 아들 노안필(盧安弼)은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서 거란의 침입을 토평(討平)하는데 공을 세워 장강군(長康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7세손 노단은 고려 문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어사(侍御史)·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예부상서(禮部尙書)와 좌·우복야를 지내고 참지정사(參支政事)에 이르렀고, 최충과 함께 사숙(私熟)을 열어 후진교육에 힘써 많은 인재를 배출했는데 이를 12공도(公徒)의 하나인 광헌공도(匡憲公徒)라 하였다.

3. 분파

13세 노명신(盧命臣)의 아들 3형제인 14세손에서 3파로 나뉘었다.


  • 첫째 아들 노국주(盧國柱) → 창녕, 고령파
  • 둘째 아들 노태주(盧台柱) → 평양, 외성파
  • 셋째 아들 노성주(盧誠柱) → 괴산, 음성파

4. 주요 인물


  • 노단(? ~ 1091년): 1073년(문종 27) 중서사인으로 사은사가 되어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한림학사가 되었다. 1077년 직문하성, 이듬해 병부상서를 거쳐 1080년 예부상서로서 지공거가 되어 김상제 등을 급제시켰다. 이듬해 우복야 한림학사승지를 역임하고, 1085년(선종 2) 중추원사로서 지공거가 되어 김준 등을 급제시켰다. 이듬해 상서좌복야 참지정사에 오른 뒤 그만두었다. 사학을 열어 후진교육에 힘썼는데, 이를 광헌공도라 하며, 이것은 최충의 문헌공도를 포함한 사학12도 중 하나이다. 시호는 광헌이다.[1]
  • 노영수(? ~ 1385년): 노성주의 손자. 1381년 고려 우왕이 그의 딸을 의비로 봉하자 서운부정에서 대호군이 되었고, 그의 처는 복안댁주가 되었다. 그 뒤 밀직사에 임명되고 위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우왕이 거의 매일 그의 집에 행차하여 잔치를 베풀 정도로 총애를 받아 큰 권세를 부렸으며, 그가 죽자 우왕이 친히 술자를 거느리고 장지를 남교에 정하였다 한다. 시호는 양효.[1]
  • 노구산(? ~ 1419년): 노영수의 아들. 조선 정종 때 밀직제학을 역임하였고, 1411년(태종 11) 딸이 태종의 후궁이 되자 좌군총제가 되었으며, 1418년(태종 18) 도총제에 이르렀다. 시호는 제대.[1]
  • 노기태: 부산 강서구청장[1]
  • 노시환: 한화 이글스 소속의 야구선수[1]

5. 과거 급제자

장연 노씨 과거 급제자[6]
구분명단
고려 문과노구산
조선 문과노대민 노상의 노상현 노상흠 노인진 노장 노후설
무과노경징 노대욱 노두만 노문기 노박 노변호 노수 노원익 노의성 노익후 노흥룡
생원시노공직 노덕연 노봉명 노상흠 노수 노여공 노여발 노잠 노주학 노후설
진사시노경래 노경렬 노극형 노대민 노동식 노성봉 노의석 노인진 노장 노종건 노종흠


5. 1. 고려 문과

노구산

5. 2. 조선 문과

장연 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7명, 무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하였다.[6]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명단
노대민
노상의
노상현
노상흠
노인진
노장
노후설


5. 3. 무과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하였다.[6]

이름한자
노경징盧慶徵
노대욱盧大旭
노두만盧斗萬
노문기盧文琦
노박盧璞
노변호盧變虎
노수盧秀
노원익盧元益
노의성盧義成
노익후盧益厚
노흥룡盧興龍


5. 4. 생원시

노공직 노덕연 노봉명 노상흠 노수(조선) 노여공 노여발 노잠 노주학 노후설[6]

5. 5. 진사시


  • 노경래
  • 노경렬
  • 노극형
  • 노대민
  • 노동식
  • 노성봉
  • 노의석
  • 노인진
  • 노장
  • 노종건
  • 노종흠[6]

6. 왕실과의 인척 관계

장연 노씨는 고려와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고려 우왕의 비 의비 노씨[1]와 조선 태종의 후궁 소빈 노씨[1]가 대표적이다.

6. 1. 고려 왕실

우왕의 왕비는 의비 노씨이다.[1]

6. 2. 조선 왕실

태종의 후궁 소빈 노씨가 있다.[1]

7. 집성촌

지역
평안남도 대동군 율리면 강당리
평안남도 대동군 검산면 검서리[5]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주매리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안리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구월리


8.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1,865가구7,456명
2000년2,672가구8,394명
2015년10,907명


9. 관련 문화재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장연노씨 長淵盧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3] 웹사이트 "(135)교하 노씨(交河盧氏)-53,203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4] 웹사이트 소개 http://www.rohs.or.k[...] 노씨중앙종친회 2022-09-04
[5] 웹사이트 노씨(盧氏) 본관(本貫) 장연(長淵)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6]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