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장친왕은 청나라의 작위로, 역대 장친왕 가문의 가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초대 장친왕은 누르하치의 동생인 슈르하치이며, 2대 장친왕은 숭덕제의 5남인 석새이다. 이후 박과탁, 강희제의 16남 윤록, 윤록의 아들 홍보, 윤록의 손자 영상, 면과, 혁매, 면호, 면화, 혁인, 재훈, 재공, 부서 등이 장친왕 작위를 세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친왕 | |
---|---|
장친왕 | |
청나라 작위 | |
봉호 | 장친왕 |
작위 종류 | 친왕 |
봉호 칭호 | 세습 |
제1대 | 슈르하치의 8남 페이양구 |
마지막 대 | 아이신 교로 사이충아 |
총 대수 | 12대 (습작 10대) |
승택친왕 | |
봉호 | 승택친왕 |
작위 종류 | 친왕 |
봉호 칭호 | 세습강등 |
제1대 | 홍타이지의 11남 보르콘 |
마지막 대 | 아이신 교로 박이제 |
총 대수 | 8대 (습작 6대) |
2. 역대 장친왕가 가주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장친왕 | 슈르하치 Šurgaci | 누르가치의 동생 | (추봉) | 1655년 추봉 | |
승택친왕 | 유(裕) | 석새(碩塞) Šose | 숭덕제의 5남 | 1644년 ~ 1655년 | 1644년 ~ 1651년: 승택군왕 1651년 ~ 1655년: 승택친왕 |
장친왕 | 정(靖) | 博果鐸|Boggodo중국어 | 석새의 장남 | 1655년 ~ 1723년 | |
장친왕 | 각(恪) | 윤록(允祿) Yūn-lu | 강희제의 16남. 박과탁의 사자(嗣子). | 1723년 ~ 1767년 | |
장친왕 | 공근(恭勤) | 홍보(弘普) Hong-pu | 윤록의 장남 | (추봉) | 1767년 추봉 |
장친왕 | 신(愼) | 윤록의 손자 | 1767년 ~ 1788년 | ||
장친왕 | 양(襄) | 홍보의 손자 | 1788년 ~ 1826년 | ||
장친왕 | 혁매(奕𧷨) | 면과의 장남 | 1826년 ~ 1839년 | 1839년 작위 박탈 | |
장친왕 | 근(勤) | 면호(綿護) | 윤록의 증손 | 1838년 ~ 1842년 | |
장친왕 | 질(質) | 면화(綿譁) | 면호의 동생 | 1842년 ~ 1845년 | |
장친왕 | 후(厚) | 면화의 장남 | 1846년 ~ 1874년 | ||
장친왕 | 재훈(載勛) | 이인의 차남 | 1875년 ~ 1901년 | 작위 추탈 | |
장친왕 | 공(恭) | 재공(載功) | 이인의 아들 | 1902년 ~ 1915년 | |
장친왕 | 부서(溥緖) | 재공의 아들 | 1916년 ~ 1933년 |
2. 1. 1대 (추봉)
슈르하치(舒爾哈齊, Šurgaci)는 누르하치의 동생으로, 사후 장친왕으로 추봉되었다.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
장친왕 | 슈르하치 Šurgaci | 누르하치의 동생 | 1655년 (추봉) |
2. 2. 2대
'''석새'''(碩塞|숴써중국어, 1628년 ~ 1654년)는 숭덕제의 5남으로, 처음에는 승택군왕(承澤郡王)으로 봉해졌다가 후에 승택친왕(承澤親王)으로 승격되었다. 1644년부터 1655년까지 재위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644년부터 1651년까지는 승택군왕으로, 1651년부터 1655년까지는 승택친왕으로 재위하였다.2. 3. 3대
博果鐸|Boggodo중국어는 석새의 장남으로,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
장친왕 | 정(靖) | 博果鐸|Boggodo중국어 | 석새의 장남 | 1655년 ~ 1723년 |
2. 4. 4대
윤록(允祿, Yūn-lu)은 강희제의 16남으로, 박과탁의 양자로 입적되어 장친왕 작위를 이었다. 1723년부터 1767년까지 재위하였다.
2. 5. (추봉)
홍보()는 윤록의 장남으로, 사후 장친왕으로 추봉되었다.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
(추봉) | 장친왕 | 공근(恭勤) | 홍보(弘普) | 윤록의 장남 | (추봉) | 1767년 추봉 |
2. 6. 5대
은 윤록의 손자이다. 1767년부터 1788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 시호는 신(愼)이다.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
장친왕 | 신(愼) | 윤록의 손자 | 1767년 ~ 1788년 |
2. 7. 6대
는 청나라의 황족으로, 홍보의 손자이자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은 인물이다. 1788년부터 1826년까지 재위했으며, 시호는 양(襄)이다.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 기간 |
---|---|---|---|---|
장친왕 | 양(襄) | 홍보의 손자 | 1788년 ~ 1826년 |
2. 8. 7대
혁매(奕𧷨)는 면과의 장남으로, 1826년부터 1839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으나, 1839년에 작위가 박탈되었다.2. 9. 8대
면호(綿護)는 윤록의 증손으로, 1838년부터 1842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
---|---|---|---|---|---|
8 | 장친왕 | 근(勤) | 면호(綿護) | 윤록의 증손 | 1838년 ~ 1842년 |
2. 10. 9대
면화(綿譁)는 면호의 동생으로, 1842년부터 1845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2. 11. 10대
은 면화의 장남으로, 1846년부터 1874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대수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
10 | 장친왕 | 후(厚) | 면화의 장남 | 1846년 ~ 1874년 |
2. 12. 11대
재훈(載勛)은 혁인(奕仁)의 차남으로, 1875년부터 1901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 그러나 의화단 운동에 가담한 죄로 작위를 박탈당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의화단 운동을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맞선 민중 봉기로 평가하며, 재훈의 외국인 배척 행위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청나라 황족으로서 극단적인 외국인 배척 행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점 또한 지적한다.2. 13. 12대
혁인의 아들인 재공(載功)은 1902년부터 1915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 시호는 공(恭)이다.2. 14. 13대
부서(溥緖)는 재공의 아들로, 1916년부터 1933년까지 장친왕 작위를 세습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