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록은 아이신줴뤄 윤루(愛新覺羅 允祿)라는 본명과 애월주인(愛月主人)이라는 호를 가진 청나라 황족으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화석단유공주의 아버지이다. 1695년에 태어나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를 거치며 황실의 원로로서 예우받았다. 옹정제 즉위 초 정치적 안정을 위해 기여했고, 건륭제 치세에는 황제의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정실 부인 고로로 씨에게서 화석 단유 공주를 비롯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측실과 첩을 통해서도 많은 자녀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희제의 황자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강희제의 황자 - 윤상 (청나라)
    윤상은 강희제의 아들이자 옹정제의 측근으로, 옹정제 치세 동안 청나라의 최고 실권자였으며, 옹정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군기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45세에 사망했다.
  • 1695년 출생 - 심각
    조선 후기 문신 심각은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고, 정조 즉위 후 홍인한과 정후겸을 토죄하는 데 참여했으며, 남인 명문 가문 출신으로 윤선도, 정약용 가문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 1695년 출생 - 피에트로 로카텔리
    피에트로 로카텔리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로, 유럽 순회 연주 후 암스테르담에 정착하여 작곡, 교습, 출판 활동을 했으며, 바이올린 기교를 극대화한 《바이올린의 예술》이 대표작이다.
  • 1767년 사망 - 찰스 타운젠드
    18세기 영국 정치인이자 재무장관이었던 찰스 타운젠드는 미국 독립혁명의 계기가 된 타운젠드 법을 제정하고 해군卿 위원회 위원, 왕실 회계장관, 무역위원회 제1卿 등 다양한 직책을 수행했으며, 미국 식민지에 대한 과세 정책으로 식민지 반발을 야기했다.
  • 1767년 사망 - 계황후
    청나라 건륭제의 황후인 계황후는 휘발나랍씨로, 황귀비에서 황후가 되었으나 강남 순행 중 머리를 자른 사건으로 폐위되어 시호도 받지 못했으며, 그녀의 성씨, 생년, 폐위 경위 등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윤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윤록
원래 이름아이신 교로 윤록
작위친왕(親王)
아이신 교로 윤록 (愛新覺羅 允祿)
별칭아명(兒名)은 아이신 교로 윤록 (愛新覺羅 胤祿), 호(號)는 애월주인
출생일1695년 7월 28일
출생지청나라 즈리 성 베이징 자금성
사망일1767년 3월 20일
사망지청나라 즈리 성 베이징
가문아이신 교로
종교불교
배우자본부인 1명, 측실 9명
자녀슬하 10남 9녀, 장녀 화석단유공주(和硕端柔公主)
왕조청나라
아버지강희제
어머니순의밀태비
친인척세조 순치제(할아버지), 우뉴(이복 큰아버지), 유헌친왕(이복 큰아버지), 영친왕(이복 큰아버지), 화석공친왕(이복 큰아버지), 이밀친왕(이복 형), 옹정제(이복 형), 염친왕(이복 형), 목군왕(이복 형), 화석이현친왕(이복 형)
작위 정보
작위명장친왕(莊親王)
봉호장각친왕(莊恪親王)
선임자보거둬
계승자융창
재임 기간1723년 - 1767년
재임 유형임기
가족 관계
배우자궈뤄뤄 씨
자녀홍푸, 장친왕

2. 이름과 이력

본명은 아이신줴뤄 윤루(愛新覺羅 允祿, 애신각라 윤록)이며 호는 애월주인(愛月主人)이다. 강희제의 총애를 받으며 자란 황족 여인 화석단유공주는 그의 첫째딸이다.

3. 생애

윤록은 1695년(강희 34년) 강희제와 순의밀비 왕씨(順懿密妃 王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친왕 작위에 책봉되었고 1722년 부황 강희제의 상(喪)을 치렀으며 이후 이복 형 옹정제의 즉위와 붕어를 모두 목도하였고 이복 조카 건륭제의 치세 시기까지 청나라 황실의 원로로서 예우되었다. 옹정제 즉위 초, 윤록은 황실 종친으로서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건륭제 시기에는 황실의 원로로서 존경받으며, 황제의 자문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4. 가족

'''정실 부인'''


  • 고로로 씨 (莊恪亲王妃 郭絡羅氏)
  • * 장남 (1712년 9월 4일)
  • * 화석단유공주(1714년 4월 13일 – 1755년 1월 23일), 장녀
  • ** 1731년,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의 치메드 도르지 (齊默特多爾濟) 와 결혼
  • * 3남 (1715년 10월 5일 – 1715년 10월 16일)
  • * 홍선(1717년 3월 5일 – 1719년 7월 27일), 5남
  • * 차녀 (1720년 12월 20일 – 1721년)
  • * 군주 (1723년 3월 20일 – 1752년 5월 29일), 4녀
  • ** 1743년,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의 라시나무자얼 (喇錫那木扎爾)과 결혼


'''측실 부인'''

  • 측복진, 이 씨 (側福晉 李氏)
  • * 홍보(장친왕; 1713년 8월 9일 – 1743년 4월 16일), 2남
  • * 홍호 (弘皓; 1717년 2월 7일 – 1718년 9월 3일), 4남
  • * 홍명 (輔國將軍 弘明; 1719년 5월 14일 – 1787년 6월 10일), 6남

  • 측복진, 주 씨 (側福晉 朱氏)
  • * 7남 (1727년 11월 15일 – 1728년 11월 5일)

  • 측복진, 설 씨 (側福晉 薛氏)
  • * 현주 (1727년 11월 24일 – 1790년 6월 25일), 6녀
  • ** 1739년 12월,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의 처왕 노르부 (色旺諾爾布)와 결혼
  • * 7녀 (1730년 5월 23일 – 1749년 2월 20일)

  • 측복진, 왕 씨 (側福晉 王氏)
  • * 현주 (1733년 6월 18일 – 1802년), 8녀
  • ** 1750년 루오보창둬얼지 (羅蔔藏多爾濟)와 결혼
  • * 현주 (1734년 8월 20일 – 1754년 11월 3일), 9녀
  • ** 1752년 만주 통기야 씨의 위안라오 (元勞)와 결혼

  • 측복진, 장 씨 (側福晉 張氏)
  • * 홍영(1737년 8월 4일 – 1806년 11월 22일), 8남
  • * 홍애 (弘曖; 1739년 3월 3일 – 1744년 7월 2일), 9남

  • 측복진, 호 씨 (側福晉 胡氏)
  • * 홍진 (弘晨; 1742년 6월 3일 – 1743년 5월 6일), 10남


'''첩'''

  • 첩, 부찰 씨 (富察氏)
  • * 3녀 (1721년 12월 21일 – 1722년 12월 또는 1723년 1월)

  • 첩, 왕 씨 (王氏)
  • * 향군 (1725년 5월 1일 – 1794년 4월 11일), 5녀
  • ** 1742년 만주 시린 기오로 씨의 어신 (鄂欣 )과 결혼

4. 1. 정실 부인

윤록의 정실 부인은 고로로 씨로, 좡커 친왕비(莊恪亲王妃)이다. 좡커 친왕비는 1714년 4월 13일에 화석 단유 공주를 낳았으며, 화석 단유 공주는 1731년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의 치메드 도르지(齊默特多爾濟)와 결혼했다. 좡커 친왕비는 1723년 3월 20일에 4녀 군주를 낳았으며, 4녀는 1743년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의 라시나무자얼(喇錫那木扎爾)과 결혼했다. 이외에도 좡커 친왕비는 장남(1712년), 3남(1715년), 5남 홍선(弘慎, 1717년), 차녀(1720년)를 낳았다.

4. 2. 측실 부인

윤록은 여러 명의 측실 부인을 두었다.

  • 측복진 이씨는 홍보(장친왕)와 4남 홍호, 6남 홍명을 낳았다.
  • 측복진 주씨는 7남(1727년 출생)을 낳았으나, 그는 1년 만에 사망했다.
  • 측복진 설씨는 6녀(1727년 출생)와 7녀(1730년 출생)를 낳았다. 6녀는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의 처왕 노르부와 결혼했다.
  • 측복진 왕씨는 8녀(1733년 출생)와 9녀(1734년 출생)를 낳았다. 8녀는 루오보창둬얼지와, 9녀는 만주 통기야 씨의 위안라오와 결혼했다.
  • 측복진 장씨는 8남 홍영과 9남 홍애를 낳았다.
  • 측복진 호씨는 10남 홍진을 낳았으나, 홍진은 1년 만에 사망했다.

4. 3. 첩

윤록은 여러 명의 첩을 두었다. 첩 부찰 씨는 3녀 (1721년 12월 21일 – 1722년 12월 또는 1723년 1월)를 낳았다. 첩 왕씨는 5녀 향군 (1725년 5월 1일 – 1794년 4월 11일)을 낳았고, 5녀는 1742년 3/4월 만주 시린 기오로 씨의 어신과 결혼했다.

5. 가계

12345678
윤록 (1695–1767)강희제 (1654–1722)순의밀비 (d. 1744)순치제 (1638–1661)효강장황후 (1638–1663)투라이 (1606–1658)기오로씨 부인홍타이지 (1592–1643)
910111213141516
효장문황후 (1613–1688)양진 (d. 1621)누르하치 (1559–1626)
1718192021222324
효자고황후 (1575–1603)자이산볼리 (d. 16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