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잭 대니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잭 대니얼은 1846년, 1849년 또는 1850년에 태어났으며, 1911년 사망한 미국의 위스키 증류업자이다. 그는 테네시주 린치버그에서 위스키 증류 사업을 시작했으며,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잭 대니얼은 조카인 렘 모틀로에게 증류소를 물려주었으며, 모틀로는 40년 동안 사업을 운영했다. 그는 패혈증으로 사망했는데, 금고를 발로 차서 발가락을 다친 것이 원인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저로 죽은 사람 - 에두아르 마네
    에두아르 마네는 1832년 파리에서 태어나 아카데미즘 회화에 반기를 들고 사실주의 화풍을 시도했으며, 《풀밭 위의 점심 식사》와 《올랭피아》 등의 작품으로 논란을 일으키며 근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화가이다.
  • 괴저로 죽은 사람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1911년 사망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911년 사망 - 고토쿠 슈스이
    고토쿠 슈스이는 일본의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언론인, 사상가로서 사회민주당 창당 참여, 러일전쟁 반대 운동 주도, 언론 활동, 무정부주의 전향, 직접행동론 주장 등의 활동을 펼치다 대역사건으로 사형당했으며, 그의 사상은 일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운동, 문학계, 한국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850년 출생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1850년 출생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등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여행 작가로, 병약한 몸으로 세계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과 남태평양 사모아에서의 삶이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잭 대니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잭 다니엘
잭 다니엘
본명재스퍼 뉴턴 대니얼
출생일1849년 9월 5일
출생지미국 테네시주 린치버그
사망일1911년 10월 9일
사망지미국 테네시주 린치버그
국적미국인
직업증류기 제조업자
활동 기간1862년–1911년
알려진 것잭 다니엘 테네시 위스키
웹사이트잭 다니엘 공식 웹사이트
친척렘 모틀로 (조카), J. 리거 모틀로 (종손)

2. 유년 시절

잭 대니얼은 칼라웨이 대니얼과 루신다 마틸다(옛 성: 쿡) 대니얼 사이에서 태어난 열 명의 자녀 중 막내였다.[1] 다른 자료에서는 13명의 자녀 중 막내라고도 한다.[11] 그의 조부모는 18세기 말 미국으로 이민했으며, 할아버지 조셉 "잡" 대니얼은 웨일스에서, 할머니 엘리자베스 칼라웨이는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다.[1][11] 그는 웨일스인, 스코틀랜드인, 얼스터 스코틀랜드인(스코츠-아이리쉬), 잉글랜드계 혈통을 가졌다.[1][12][13]

대니얼의 정확한 출생일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여러 기록에서 1846년, 1849년, 1850년 등 다르게 나타난다.[1][14] 한 자료는 그가 1849년 1월 테네시주 린치버그 또는 그 근처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1] 다른 가능성은 그의 어머니가 1847년 1월에 사망했기 때문에 잭이 1846년 말(1846년9월 5일 설도 있음[14])에 태어났다는 것이다.[2] 마을 화재로 법원 기록이 소실되었고, 그의 어머니는 출산 후 합병증으로 사망했기 때문에[1] 그와 어머니의 묘비에 적힌 상반된 출생일로 인해 그의 출생일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2]

1851년 6월 26일, 그의 아버지는 마틸다 반잔트와 재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더 낳았다.[1] 아버지는 이후 남부 연합군에서 복무하다가 폐렴으로 사망했다.[1] 대니얼은 원시 침례교 교회에서 자랐다.[3]

3. 위스키 증류 사업

잭 다니엘은 어린 시절 댄 콜(Dan Call)이라는 목사이자 식료품 상인, 그리고 증류업자 밑에서 일하게 되었다.[5] 회사 연혁에 따르면, 콜 목사는 매우 바쁜 사람이었기에 젊은 잭의 가능성을 보고 그에게 위스키 증류 기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5]

그러나 2016년 6월, ''뉴욕 타임스''는 잭 다니엘 회사가 대니얼이 콜에게서 증류 기술을 배운 것이 아니라, 콜의 노예였던 니어리스트 그린에게서 기술을 전수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다.[5][6] 이는 오랫동안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이야기였으나, 회사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잭 다니엘 증류소의 설립 연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현재 증류소를 소유한 브라운-포먼(Brown-Forman)사는 잭 다니엘이 1866년에 처음으로 증류 면허를 취득했다고 주장한다.[4] 하지만 2004년에 출판된 피터 크라스(Peter Krass)의 전기 ''Blood & Whiskey: The Life and Times of Jack Daniel''에서는 토지 및 등기 기록을 근거로 증류소가 실제로는 1875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한다.[1][14] 만약 1866년 설립이 맞다면, 1850년생으로 추정되는 다니엘은 당시 16세에 불과했을 것이다.

다니엘은 초기에 농장에서 옥수수를 이용해 위스키를 만들어 잡화점에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판매처를 술집으로 넓히며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자신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나갔다. 19세기 당시에는 맥주 양조 과정에서 수질 관리가 어려워 위생 문제가 있었고, 콜드 체인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맥주는 주로 생산지 근처에서 소비되었다. 반면, 위스키는 증류주로서 장기간 보관과 장거리 운송에 유리했기 때문에 잭 다니엘과 같은 위스키 사업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이었다.

4. 개인사

잭 다니엘은 아버지 캘러웨이 다니엘(Calaway Daniel)과 어머니 루신다 쿡(Lucinda Cook) 사이에서 태어난 13명의 자녀 중 막내였다. 그의 부계 조부모는 18세기 말 미국으로 이민했으며, 할아버지 조셉 "잡" 다니엘(Joseph “Job” Daniel)은 웨일스, 할머니 엘리자베스 캘러웨이(Elizabeth Calaway)는 스코틀랜드 출신이었다.[11] 다니엘은 웨일스계, 잉글랜드계, 스코틀랜드-아일랜드계(얼스터 스코틀랜드계), 스코틀랜드계 혈통을 가졌다.[12][13]

다니엘은 9월생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린 시절 고아가 되어 정확한 출생일은 불분명하다. 1850년 출생설은 1847년에 사망한 어머니의 기록과 모순되며, 잭 다니엘 증류소의 공식 창립 연도인 1866년에 그가 16세였다는 계산이 나온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의 생일을 1846년 9월 5일로 제시하기도 한다.[14] 2004년 출판된 전기 『''Blood & Whiskey: The Life and Times of Jack Daniel''』의 저자 피터 크라스(Peter Krass)는 부동산 등기 기록을 근거로 증류소가 1875년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다니엘은 평생 결혼하지 않았고 자녀도 없었다. 대신 여러 조카를 돌보았는데, 특히 누이 피네타의 아들인 렘 모틀로(Lemuel "Lem" Motlow)를 아꼈다.[1][3][7][15] 렘 모틀로는 숫자에 밝아 곧 증류소의 모든 장부 관리를 맡게 되었다.[1][3]

1907년, 건강이 악화되자 다니엘은 증류소를 렘 모틀로와 다른 조카에게 넘겨주었다.[1][3] 렘 모틀로는 이후 다른 조카의 지분을 인수하여 약 40년간 사업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테네시주금주법(1910년), 연방 금주법(1920년~1933년),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정부의 위스키 제조 금지(1942년~1946년) 등으로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8] 렘 모틀로는 1947년에 사망했다.[9]

잭 다니엘의 금고. 이 금고를 발로 차서 생긴 상처로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다니엘은 1911년 10월 9일 테네시주 린치버그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했다.[1] 널리 알려진 이야기에 따르면, 어느 날 아침 금고를 열지 못해 화가 난 다니엘이 금고를 발로 찼고, 이때 발가락에 생긴 상처가 감염의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평소 금고 비밀번호를 잘 기억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10] 그러나 다니엘의 전기 작가는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며, 다니엘이 사망하기 몇 년 전에 금고에 화를 낸 일이 있었지만 사망 원인은 관련 없는 괴저였다고 주장한다.[1][3] 다니엘의 마지막 말은 "마지막 한 잔을 주시오(One last drink, please)"였다고 전해진다.

그의 죽음에 관한 일화는 스파이크 TV의 시리즈 ''1000가지 죽는 방법''(에피소드: 죽은 자를 데려오기)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5. 사망



1907년, 건강이 악화되자 잭 대니얼은 증류소를 조카 렘 모토로우(Lem Motlow) 등에게 넘겨주었다.[1][3] 이후 그는 1911년 10월 9일 테네시주 린치버그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했다.[1]

그의 죽음과 관련하여 널리 알려진 이야기가 있다. 어느 날 아침 일터에서 금고를 열려고 했으나 열리지 않자 화가 난 대니얼이 금고를 발로 찼고, 이때 다친 발가락(혹은 발뒤꿈치)의 상처가 감염되어 패혈증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그는 평소에도 금고 비밀번호를 잘 기억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10] 이 일화는 2006년 1월 런던 지하철 포스터 캠페인에도 사용되었으며, "교훈: 아침 일찍 출근하지 말 것"이라는 문구가 포함되었다. 증류소 견학 투어에서는 상처를 소독하기 위해 자신의 위스키에 발을 담갔다는 농담이 언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니얼의 현대 전기 작가는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작가는 대니얼이 금고에 화를 낸 사건은 사망하기 몇 년 전에 있었던 일이며, 실제 사인은 관련 없는 괴저였다는 증거를 제시했다.[1][3]

잭 대니얼의 마지막 말은 "마지막 한 잔을 줘"였다고 전해진다. 그의 죽음은 미국의 텔레비전 시리즈 ''1000가지 죽는 방법''의 '죽은 자를 데려오기(Bringing Up the Dead)' 에피소드에서도 다루어졌다.

6. 가족

잭 대니얼은 칼라웨이 대니얼(Calaway Daniel)과 루신다 마틸다(Lucinda Matilda, 옛 성: 쿡(Cook)) 사이에서 태어난 10명(다른 자료에서는 13명[11])의 자녀 중 막내였다.[1] 그의 부계 조부모는 18세기 말 미국으로 이민했으며, 할아버지 조셉 "잡" 대니얼(Joseph “Job” Daniel)은 웨일스에서, 할머니 엘리자베스 칼라웨이(Elizabeth Calaway)는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다.[1][11] 그는 웨일스인, 스코틀랜드인, 얼스터 스코틀랜드인(스코츠-아이리쉬)[12][13], 잉글랜드인의 후손이었다.[1]

대니얼은 평생 결혼하지 않았고 자녀도 없었다. 하지만 그는 여러 조카를 돌보았는데, 특히 여동생 피네타(Finetta)의 아들[7][15]인 레뮤얼 "렘" 모틀로(Lemuel "Lem" Motlow)[1][3]를 아꼈다. 숫자에 밝았던 모틀로는 곧 증류소의 모든 장부 관리를 맡게 되었고,[1][3][15] 잭 대니얼은 그를 후계자로 삼아 1907년 건강이 악화되자 증류소 사업을 넘겨주었다.

7. 기타



잭 다니엘이 금고를 열지 못해 화가 나 발로 찼다가 입은 상처가 패혈증으로 발전해 사망했다는 독특한 일화는 여러 매체를 통해 알려졌다. 2006년 1월 런던 지하철에서는 이 일화를 바탕으로 "교훈: 아침 일찍 출근하지 말 것"이라는 문구를 담은 포스터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미국의 케이블 TV 채널 스파이크의 프로그램 《1000 Ways to Die|1000 웨이즈 투 다이영어》에서도 이 사망 이야기가 소개된 바 있다.

참조

[1] 서적 Blood and Whiskey: The Life and Times of Jack Daniel https://docs.google.[...] John Wiley & Sons 2004-04-29
[2] 웹사이트 Jack Daniel's Distillery: The Legacy of an American Icon https://www.timsford[...] 2023-07-20
[3] AV media Blood and Whiskey: Jack Daniel http://www.c-span.or[...] 2004-05-20
[4] 웹사이트 Jack Daniel's official website http://www.jackdanie[...] Brown–Forman Corporation
[5] 뉴스 Jack Daniel's Embraces a Hidden Ingredient: Help From a Slave https://www.nytimes.[...] 2016-06-25
[6] 뉴스 Ex-slave who trained Jack Daniel gets new recognition https://www.usatoday[...] 2017-07-21
[7] 간행물 Jack Daniel's Distillery and Lynchburg: A Visit to Moore County, Tennessee 1972-Spring
[8] 웹사이트 Jack Daniel Distillery http://www.thewhisky[...] 2009-10-08
[9] 웹사이트 Lem Motlow 2014-03-20
[10] 서적 Made in America: From Levi's to Barbie to Google https://archive.org/[...] Voyageur Press
[11] 서적 Blood and Whiskey: The Life and Times of Jack Daniel https://docs.google.[...] John Wiley & Sons 2004-04-29
[12] 문서 Jasper “Jack” Newton Daniel https://docs.google.[...]
[13] 웹사이트 Ancestry of Jack Daniel http://www.wargs.com[...]
[14] 웹사이트 Jack Daniel's Distillery: The Legacy of an American Icon https://www.timsford[...] 2023-07-20
[15] 간행물 Jack Daniel's Distillery and Lynchburg: A Visit to Moore County, Tennessee 1972-Spr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