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녁쥐속(Hesperomys)은 1839년 조지 로버트 워터하우스가 도입한 아메리카 설치류 속으로, 2열로 배열된 cusp를 가진 종들을 포함했다.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속의 범위가 확장되었고, 1874년 엘리엇 쿠스가 Mus bimaculatus를 저녁쥐속의 기준종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1962년 필립 허쉬코비츠는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라 더 오래된 이름인 Calomys가 우선시되면서 Hesperomys는 유효한 이름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을 밝혔다. 저녁쥐속에는 볼리비아저녁쥐, 은둔저녁쥐, 큰저녁쥐 등 14종의 하위 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저녁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화석 범위 | 플라이스토세 ~ 현재 |
학명 | Calomys |
명명자 | Waterhouse, 1837 |
모식종 | Mus bimaculatus |
이명 | Hesperomys Waterhouse, 1839 |
하위 분류 | |
종 | Calomys boliviae Calomys callidus Calomys callosus Calomys cerqueirai Calomys expulsus Calomys fecundus Calomys hummelincki Calomys laucha Calomys lepidus Calomys musculinus Calomys sorellus Calomys tener Calomys tocantinsi Calomys venustus |
2. 역사
조지 로버트 워터하우스는 1839년, 어금니 돌기(cusp)가 두 줄로 배열된 아메리카 대륙의 설치류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Hesperomys''를 처음 제안했다. 이 속명은 그리스어로 '서쪽'을 의미하는 ἑσπερος|헤스페로스grc와 '쥐'를 의미하는 μυς|미스grc를 결합한 것이다.[2] 워터하우스는 이들이 주로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한다고 보았으며, 초기에 여러 종을 이 속에 포함시켰다.[3]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속의 범위와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속명 사용에 변화가 있었다.[4][5]
2. 1. 속명의 변천
1839년, 조지 로버트 워터하우스는 두 줄로 배열된 어금니 돌기(cusp)를 가진 아메리카 설치류를 위해 ''Hesperomys''라는 속명을 처음 사용했다. 이 이름은 그리스어 ''ἑσπερος''(hesperos, "서쪽")와 ''μυς''(mys, "쥐")를 합쳐 만든 것으로, 워터하우스는 이 속의 종들이 구세계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아메리카 대륙이 주요 서식지임을 확신했다.[2] 그가 처음 ''Hesperomys'' 속에 포함시킨 종들은 다음과 같다.[3]- ''Mus bimaculatus'' (현재의 ''Calomys laucha'')
- ''Mus griseo-flavus'' (현재의 ''Graomys griseoflavus'')
- ''Mus Darwinii'' (현재의 ''Phyllotis darwini'')
- ''Mus zanthopygus'' (현재의 ''Phyllotis xanthopygus'')
- ''Mus galapagoensis'' (현재의 ''Aegialomys galapagoensis'')
- ''Symidon hispidum'' (현재의 ''Sigmodon hispidus'')
- ''Mus leucopus'' (현재의 ''Peromyscus leucopus'')
- 나무쥐 (''Neotoma'')
이후 요한 안드레아스 바그너나 스펜서 풀러턴 베어드와 같은 학자들은 현재 ''Scapteromys'', ''Oxymycterus'', ''Abrothrix'', ''Peromyscus'' 등에 속하는 다른 아메리카 종들을 추가하며 ''Hesperomys'' 속의 범위를 넓혔다. 1874년에는 엘리엇 쿠스가 워터하우스가 처음 포함했던 ''Mus bimaculatus''를 ''Hesperomys'' 속의 기준종으로 지정했다.[4]
1888년, 헤를루프 윙게는 현대의 ''Calomys'' 속과 비슷한 의미로 ''Hesperomys''를 사용했지만, 같은 해 올드필드 토마스는 ''Hesperomys''가 햄스터(''Cricetus'')와 구분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96년에 토마스는 자신의 주장을 바꿔 ''Hesperomys''를 ''Eligmodontia'' 속과 통합시켰고, 1916년에는 다시 현대적인 ''Calomys''의 의미로 ''Hesperomys''를 복원했다. 토마스가 1916년에 ''Hesperomys''를 복원하면서 워터하우스가 1837년에 ''Mus bimaculatus''를 위해 제안했던 ''Calomys''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그가 ''Calomys''가 1830년에 d'Orbigny와 Geoffroy가 사용한 ''Callomys''라는 이름에 의해 이미 선점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5]
하지만 1962년, 필립 허쉬코비츠는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라 이름 철자가 단 한 글자만 달라도 다른 이름으로 간주되므로 ''Callomys''가 ''Calomys''를 무효화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워터하우스가 1837년에 제안한 ''Calomys''와 1839년에 제안한 ''Hesperomys''는 모두 ''Mus bimaculatus''를 기준종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 두 속명은 객관적 동의어 관계에 있다. 명명 규약상 더 먼저 발표된 이름이 우선권을 가지므로, ''Calomys''가 유효한 속명이 된다. 이 결정 이후 ''Hesperomys''는 더 이상 유효한 학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4]
3. 하위 종
- 볼리비아저녁쥐 (''C. boliviae'')
- 은둔저녁쥐 (''C. callidus'')
- 큰저녁쥐 (''C. callosus'')
- 케르케이라저녁쥐 (''C. cerqueirai'')
- 카팅가저녁쥐 (''C. expulsus'')
- 다산저녁쥐 (''C. fecundus'')
- 휘멜링크저녁쥐 (''C. hummelincki'')
- 작은저녁쥐 (''C. laucha'')
- 안데스저녁쥐 (''C. lepidus'')
- 드라이랜드저녁쥐 (''C. musculinus'')
- 페루저녁쥐 (''C. sorellus'')
- 델리키트저녁쥐 (''C. tener'')
- 토칸틴스저녁쥐 (''C. tocantinsi'')
- 코르도바저녁쥐 (''C. venustus'')
참조
[1]
MSW3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MSW3 Muroidea
[7]
논문
A new species of Calomys (Rodentia: Sigmodontinae) from Eastern Brazil
http://www.mapress.c[...]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