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적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성군은 현재의 파주시 적성면 일대를 중심으로 연천군, 양주시 남면 등에 위치했던 옛 행정 구역이다.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지배를 받았으며, 고려 시대에는 적성현으로, 조선 시대에는 현감 임명과 군 승격을 거쳤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천군에 통폐합되었고, 이후 38선 분할로 인해 파주군에 편입되었다가 파주시 적성면이 되었다. 낭비성은 고구려가 신라에 빼앗긴 성으로, 칠중성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천군 - 윤호 (평정공)
    윤호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의 아버지이며 영원부원군에 봉해졌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결단력 부족으로 비판받기도 했으며, 아들 윤탕로와 함께 『파천집』과 『구급간이방』을 편찬했고 시호는 평정이다.
  • 연천군 - 연천군보건의료원
    연천군보건의료원은 1963년 보건소로 시작하여 1989년 보건의료원으로 출범, 진료와 보건사업을 병행하며 다양한 진료과목과 건강 증진 사업,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의 운영을 통해 연천군 지역 주민들에게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 파주시의 역사 - 장단군
    장단군은 삼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파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고, 현재는 파주시 장단면과 연천군 장남면으로 나뉘어 있다.
  • 파주시의 역사 - 파주군
    파주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경기도의 군으로,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6년 파주시로 승격되며 소멸되었다.
적성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자 표기積城郡
로마자 표기Jeokseong-gun
위치경기도 북서부
역사
시대 구분조선 시대 ~ 대한민국 시대
1914년파주군에 통합되어 폐지됨
소속 변천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대한민국
행정 구역
읍면적성면
남면
백학면
전곡읍
간파리
늘목리
장남면
관련 정보
관련 군장단군

2. 유래

파주시 적성면(구 적성군 동면, 현내면, 서면)을 중심으로 연천군의 백학면(구 적성군 북면), 남면 등에 위치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에 속했으며, 칠중현(七重縣) 또는 급별(及別)이라고 불렸다. 삼국시대에는 난은별(難隱別)이라고도 했는데[10], 난은(難隱)이 일본어의 나나츠(七つ)와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11] 원래 백제 땅이었으나, 장수왕 때에 고구려로 편입되었다.

칠중(七重)은 현대 한국어로는 "일곱겹"으로 읽을 수 있는데, 근방을 흐르는 임진강의 흐름이 굴곡이 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추정되며, 고대에는 임진강을 "칠중하(七重河)"라고 불렀다. 실제로 지도를 보면 적성면 주변으로 임진강의 굴곡이 일곱 개 안팎임을 볼 수 있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신라에 편입되었으며 신라 경덕왕 때, 중성(重城)으로 이름을 고쳐 내소군(來蘇郡, 경기도 양주군)의 속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기에 적성으로 이름을 고쳐 적성현이 되었으며, 1018년(고려 현종 9년) 장단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1062년(고려 문종 16년) 다시 개성부에 예속되었다. 1106년(고려 예종 1년) 독자적인 현이 되어 감무를 두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을 임명하였고, 1895년(고종 32년) 군으로 승격하여 한성부에 속하였다.

양주시의 남면은 본래 적성군의 남부에 있어서 남면이라 불렀으며, 양주군으로 편입된 뒤에도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3. 역사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마전군 군내면(郡內面)적성면삼화리
장단군 고남면(古南面)장좌리
적성군 동면(東面)가월리, 객현리, 구읍리, 늘목리, 마지리, 설마리, 두지리, 어유지리, 율포리, 장현리, 적암리, 주월리
적성군 서면(西面)답곡리, 무건리, 식현리, 자장리, 장파리
적성군 남면(南面)남면경신리, 구암리, 두곡리, 매곡리, 상수리, 신산리, 신암리, 입암리, 한산리, 황방리

3. 1. 삼국시대 ~ 통일신라

파주시 적성면(구 적성군 동면, 현내면, 서면)을 중심으로 연천군의 백학면(구 적성군 북면), 남면 등에 위치했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에 속했으며, 칠중현(七重縣) 또는 급별(及別)이라고 불렸다. 난은별(難隱別)이라고도 했는데,[1] 난은(難隱)이 일본어의 나나츠(七つ)와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2] 원래 백제 땅이었으나, 장수왕 때에 고구려로 편입되었다.

칠중(七重)은 현대 한국어로는 "일곱겹"으로 읽을 수 있는데, 근방을 흐르는 임진강의 흐름이 굴곡이 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추정되며, 고대에는 임진강을 "칠중하(七重河)"라고 불렀다. 실제로 지도를 보면 적성면 주변으로 임진강의 굴곡이 일곱 개 안팎임을 볼 수 있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신라에 편입되었으며 신라 경덕왕 때, 중성(重城)으로 이름을 고쳐 내소군(來蘇郡, 경기도 양주시)의 속현으로 삼았다. 629년 진평왕 51년, 김서현 외 2명에 의해 신라로 편입되어 선덕여왕 때에 이곳에 칠중성을 축조하였고, 삼국통일 전쟁의 격전지가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인 757년(경덕왕 16년)에 이름을 중성현(重城縣)으로 고치고 내소군(지금의 양주시)의 영현으로 삼았다.

3. 2. 고려 ~ 조선


  • 원래 백제 땅이었으나, 장수왕 때에 고구려 땅이 되었고 이때에 칠중현(七重縣)이 되었다.
  • 629년 진평왕 51년, 김서현 외 2명에 의해 신라로 편입되어 선덕여왕 때에 이곳에 칠중성을 축조하였고, 삼국통일 전쟁의 격전지가 되었다.
  • 통일신라 시대인 757년(경덕왕 16년)에 이름을 중성현(重城縣)으로 고치고 내소군(來蘇郡)(지금의 양주시)의 영현으로 삼았다.
  • 고려 시대에 지금의 이름인 적성(積城)으로 고쳐 1018년(현종 9년)에 장단군의 속현으로 삼았다. 1106년(예종 원년)에는 감무가 중앙정부에서 파견되었다.
  • 조선 시대에 들어와 1413년(태종 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 1895년 23부제의 실시와 더불어 (縣)이 폐지됨에 따라 한성부 관할 적성군이 되었다가 13도제 실시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 1906년 9월 24일: 마전군에 하북면을 편입.[12]

3. 3. 일제강점기 ~ 현재

1914년 4월 1일 :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천군에 통폐합되면서, 적성군의 중심지역이 적성면이 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마전군 군내면(郡內面)적성면
장단군 고남면(古南面)
적성군 동면(東面)
적성군 서면(西面)
적성군 남면(南面)남면



1945년 9월 2일 : 미국소련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하여 연천군 대부분이 38선 이북이 되면서, 38선 이남이었던 옛 적성군 지역(적성면, 남면)이 파주군에 편입되었다.

1946년 2월 5일 : 남면파주군에서 양주군으로 이관되었다.(현 양주시 남면)

1996년 3월 1일: 파주군이 시로 승격되어 파주시 적성면이 되었다.

4. 낭비성(娘臂城)

낭비성한국어(娘臂城)은 629년 신라 진평왕 51년, 고구려 영류왕 12년 가을 8월에 신라 대장군 김용춘(金龍春)과 김서현(金舒玄), 부장군 김유신(金庾信)이 점령한 고구려의 성이다. 낭비성의 위치는 7세기 전반의 고구려와 신라의 영역과 경계를 반영하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지금의 청주시인 낭자곡성한국어(娘子谷城)으로 비정하였지만, 당시에 청주보다 북쪽인 한강 유역이 신라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청주시가 고구려 땅이었다면 본국과 완전히 고립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 때문에 낭비성을 한강 북쪽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제시되었는데, 김정호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 낭비성을 칠중성으로 비정하였다. 실제로 낭비(娘臂)라는 이름은 낭자곡(娘子谷)보다 칠중(七重)의 고구려어 이름인 '난은별'(難隱別)에 더 가깝다.

참조

[1] 서적 삼국사기
[2] 서적 우리말 발달사 1996
[3]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서적 삼국사기
[11] 서적 우리말 발달사 1996
[12] 법률 대한제국 칙령 제49호 s:대한제국 1906년 칙령 제49호 1906-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