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주군은 고구려 시대 술이홀현에서 시작되어 고려 시대 서원현, 조선 시대 파주목을 거쳐 1895년 한성부 파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896년 경기도 파주군이 되었고, 1914년 교하군을 편입하였다. 1945년에는 38선 이남의 연천군 지역을 편입하기도 했다. 1996년 파주군 일원이 파주시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9년 폐지 - 자성군
자성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군으로, 조선시대에 설치와 폐지를 반복하다 1869년 재설치되어 일제강점기를 거쳐 1949년 자강도에 편입, 1952년 중강군, 화평군이 분리 신설되었고 현재 1읍, 1로동자구, 15리로 구성되었다. - 1459년 폐지 - 청송군
청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되어 현재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왕산 국립공원 등 수려한 자연경관과 청송사과 등의 특산물을 자랑한다. - 파주시의 역사 - 장단군
장단군은 삼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파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고, 현재는 파주시 장단면과 연천군 장남면으로 나뉘어 있다. - 파주시의 역사 - 적성군
적성군은 삼국시대 백제와 고구려의 영토였던 칠중현에서 유래하여 고려시대에 적성으로 이름이 바뀌고 조선시대에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연천군에 편입된 후 한국전쟁을 거쳐 현재 파주시 적성면과 양주시 남면으로 나뉘어진 지역이다.
파주군 | |
---|---|
기본 정보 | |
![]() | |
설치 | 1895년 5월 26일 (23부제) |
폐지 | 1996년 3월 1일 |
위치 | 대한민국 경기도 북서부 |
면적 | 672.64 km² |
역사 | |
1895년 | 23부제 시행으로 한성부 파주군 설치 |
1896년 | 경기도 파주군으로 개편 |
1914년 | 고양군 일부와 통합 |
1963년 | 장단군 일부 편입 |
1973년 | 파주읍 승격 |
1983년 | 문산읍 승격 |
1996년 | 파주군 시로 승격, 폐지 |
행정 구역 (1995년) | |
읍 | 파주읍 문산읍 조리읍 |
면 | 광탄면 탄현면 교하면 파평면 적성면 |
통계 (1966년) | |
인구 | 153,235명 |
가구 | 28,305호 |
2. 역사
475년 고구려 장수왕 때 파주 지역은 술이홀현(述爾忽縣)으로 불렸으며, 고려 명종 때에는 서원현(瑞原縣)이었다. 조선 건국 후 1393년(태조 2년)에 서원군(瑞原郡)으로 승격되었다가, 1398년(태조 7년) 서원군과 파평현(坡平縣)을 통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었다. 1415년(태종 15년)에는 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곧 군으로 환원되었고, 1459년(세조 5년)에 '''파주목'''으로 승격되었다.[1]
1895년(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파주군'''으로 개편되었고[1],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기도 파주군으로 개편되었다.[2]
1914년 4월 1일 일제는 교하군(현 금촌동, 교하동, 운정동과 탄현면)을 파주군에 강제 편입시켰다.[3] 1934년 4월 1일에는 와석면(瓦石面)과 청석면(靑石面)을 교하면으로 통합하였다.[4]
1945년 11월 4일 광복 후, 38선 이남의 연천군 지역(적성면, 전곡면, 백학면, 남면)을 파주군에 편입하였다.[5] 그러나 1946년 2월 5일 남면은 양주군으로 이관되었고, 1954년 11월 17일 전곡면과 백학면 지역은 연천군으로 환원, 적성면 삼화리는 연천군 미산면으로 이관되었다.[6]
1963년 1월 1일, 적성면 늘목리를 전곡면에 이관하고, 장단군 군내면을 임진면에 편입하였다.[7] 1972년 12월 28일 장단군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을 수복지구 임시행정조치에 따라 편입하였다.
1973년 7월 1일 아동면을 금촌읍으로,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합하여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8] 1980년 12월 1일 주내면을 주내읍으로 승격하였다.[9] 1983년 2월 15일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기산리를 광탄면에 편입, 영장출장소를 설치하였고,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고, 주내읍을 파주읍으로 개칭하였다.[10] 1989년 4월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1996년 3월 1일 파주군 일원이 파주시로 승격되고, 금촌읍이 폐지되었다.[11]
2. 1. 고대 ~ 조선
고구려 장수왕 63년(475년) 때 파주 지역은 술이홀현(述爾忽縣)으로 불렸다. 고려 명종 때에는 서원현(瑞原縣)이었다.조선 건국 후 1393년(태조 2년)에 서원군(瑞原郡)으로 승격되었다. 1398년(태조 7년) 서원군과 파평현(坡平縣)을 통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었다. 1415년(태종 15년)에는 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곧 군으로 환원되었다. 1459년(세조 5년)에 파주목으로 승격되었다.[1]
2. 2. 대한제국
1895년(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파주군으로 개편되었다.[1]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기도 파주군으로 개편되었다.[2]2. 3.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교하군(현 금촌동, 교하동, 운정동과 탄현면)을 파주군에 강제 편입시켰다.[3]朝鮮總督府令|조선총독부령일본어 제111호에 따른 행정구역 변화는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파주군 | 운천면(雲泉面) | 임진면 | 운천리 |
신속면(新屬面) | 임진리, 장산리 | ||
마정면(馬井面) | 마정리, 사목리 | ||
칠정면(七井面) | 당동리, 문산리, 선유리 | ||
주내면 | 항양리 | ||
주내면(州內面) | 부곡리, 연풍리, 파주리 | ||
백석면(白石面) | 백석리, 봉서리, 봉암리 | ||
천현내패면(泉峴內牌面) | 천현면 | 금곡리, 오현리, 웅담리, 직천리 | |
천현외패면(泉峴外牌面) | 가야리, 갈곡리, 대릉리, 동문리, 법원리, 삼방리 | ||
자곡면(紫谷面) | 월롱면 | 덕은리, 도내리, 영태리, 위전리 | |
조리면(鳥里面) | 내포리, 능산리 | ||
조리면(條里面) | 조리읍 | 뇌조리, 등원리, 봉일천리, 오산리, 장곡리, 죽원리(竹院里) | |
파평면 | 파평면 | 금파리, 눌노리, 덕천리, 두포리, 마산리, 율곡리, 장파리 | |
광탄면 | 광탄면 | 마장리, 발랑리, 방축리, 분수리, 신산리, 용미리, 창만리 | |
교하군 | 탄포면(炭浦面) | 탄현면 | 금승리, 낙하리, 문지리, 오금리, 축현리 |
신오리면(新五里面) | 금산리, 대동리, 만우리, 성동리 | ||
현내면(縣內面) | 갈현리, 법흥리 | ||
아동면 | 금릉리, 검산리, 맥금리 | ||
아동면(衙洞面) | 금촌동 | 금촌리, 아동리, 야동리 | |
지석면(支石面) | 와석면(瓦石面) | 교하동, 상지석리, 하지석리 | |
와동면(瓦洞面) | 당하리, 목동리, 야당리, 와동리 | ||
청암면(靑岩面) | 청석면(靑石面) | 다율리, 송촌리, 신촌리, 연다산리, 오도리 | |
석곶면(石串面) | 동패리, 문발리, 산남리, 서패리 |
1934년 4월 1일 와석면(瓦石面)과 청석면(靑石面)을 교하면으로 통합하였다.[4]
2. 4. 광복 직후
1945년 11월 4일, 38선 이남의 연천군 지역(적성면, 전곡면, 백학면, 남면)이 파주군에 편입되었다.[5] 1946년 2월 5일, 연천군에서 편입했던 남면은 양주군으로 이관되었다. 1954년 11월 17일, 적성면으로 통합·편입했던 38선 이남의 전곡면과 백학면 지역은 연천군으로 환원되고, 적성면 삼화리는 연천군 미산면으로 이관되었다.[6]2. 5. 1970년대 ~ 현재
- 1973년 7월 1일 아동면을 금촌읍으로 승격하고,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합하여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8]
- 1979년 5월 1일 군내면에 군내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0년 12월 1일 주내면을 주내읍으로 승격하였다.[9]
- 1983년 2월 15일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기산리를 광탄면에 편입하여 영장출장소를 설치하였고,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고, 주내읍을 파주읍으로 개칭하였다.[10]
- 1987년 1월 1일 광탄면 기산리 일부를 양주군 백석면에 편입하였다.
- 1989년 4월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6년 3월 1일 파주군 일원이 파주시로 승격되고, 금촌읍이 폐지되었다.[11]
3. 행정 구역 변천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때 술이홀현(述爾忽縣)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서원현(瑞原縣)이었다가, 1393년(조선 태조 2년) 서원군(瑞原郡)으로 승격되었다. 1398년(태조 7년) 서원군과 파평현(坡平縣)을 통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었다가, 1415년(태종 15년) 도호부로 승격 후 곧 군으로 환원되었다. 1459년(세조 5년) '''파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 3월 1일 파주군 일원이 파주시로 승격되고, 금촌읍이 폐지되었다.[11]
3. 1. 광복 이전
- 1895년(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파주군으로 개편하였다.[1]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기도 파주군으로 개편하였다.[2]
- 1914년 4월 1일 교하군(현 금촌동, 교하동, 운정동과 탄현면)이 파주군에 편입되었다.[3] (11면)
- 1934년 4월 1일 와석면(瓦石面), 청석면(靑石面)을 교하면으로 합면하였다.[4] (10면)
3. 2. 광복 직후 ~ 1990년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연천군 적성면, 전곡면, 백학면 | 파주군 적성면 일원 |
남면 | 남면 일원 |
- 1946년 2월 5일: 연천군에서 편입했던 남면을 양주군에 이관하였다. (11면)
- 1954년 11월 17일: 적성면으로 통합·편입했던 38선 이남의 전곡면과 백학면 지역을 연천군에 환원하고, 적성면 삼화리를 연천군 미산면에 이관하였다.[6]
- 1963년 1월 1일: 적성면 늘목리를 연천군 전곡면에 이관하고, 장단군 군내면을 임진면에 편입하였다.[7]
- 1972년 12월 28일: 장단군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을 수복지구 임시행정조치에 따라 편입하였다. (15면)
- 1973년 7월 1일: 아동면(衙洞面)을 금촌읍으로 승격하고,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합하여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8] (2읍 13면)
- 1979년 5월 1일: 군내면에 군내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0년 12월 1일: 주내면을 주내읍으로 승격하였다.[9] (3읍 12면)
- 1983년 2월 15일: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기산리를 파주군 광탄면에 편입하여 영장출장소를 설치하였고,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고, 주내읍을 파주읍으로 개칭하였다.[10]
- 1987년 1월 1일: 광탄면 기산리 일부를 양주군 백석면에 편입하였다.
- 1989년 4월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4읍 11면)
참조
[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
법률
칙령 제36호
1896-08-04
[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법률
경기도령 제4호
[5]
법률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1945-11-03
[6]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7]
법률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8]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9]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0]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1]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