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민재 (육상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민재는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로, 1977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5세 때 뇌염으로 뇌병변 장애 1급 판정을 받았으며, 2003년 육상계에 입문했다. 2008년 베이징 패럴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100m와 200m에서 각각 6위와 4위를 기록했고, 2012년 런던 패럴림픽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 2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는 4회 연속 메달을 획득했으며, 2006년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 등에서도 입상했다. 2024년 체육훈장 맹호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장애인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서수연
    서수연은 의료 사고로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았지만 탁구를 통해 재활에 성공, 장애인 탁구 선수로 활동하며 아시아 장애인 선수권 대회 단식 금메달, 패럴림픽, 아시안 게임, 세계 선수권 대회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2022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 3관왕을 달성한 대한민국 장애인 탁구를 대표하는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장애인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 - 서수연
    서수연은 의료 사고로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았지만 탁구를 통해 재활에 성공, 장애인 탁구 선수로 활동하며 아시아 장애인 선수권 대회 단식 금메달, 패럴림픽, 아시안 게임, 세계 선수권 대회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2022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 3관왕을 달성한 대한민국 장애인 탁구를 대표하는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장애인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주정훈
    주정훈은 2세 때 사고로 오른손을 잃었지만, 태권도를 시작하여 2018년 장애인아시아선수권 동메달, 2020년 하계 패럴림픽 동메달, 2022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선수이다.
전민재 (육상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민재 - 2013 IPC 육상 세계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 당시의 전민재
이름전민재
로마자 표기Jeon Min-jae
출생일1977년 7월 12일
출생지대한민국
146cm
거주지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종목육상
세부 종목T36 스프린트
장애 등급T36
데뷔2003년
소속 클럽전북 스파이크 육상 클럽
소속팀전북장애인체육회
코치김상현, 장성준
메달 기록
2016 리우데자네이루200m – T36: 은메달
2012 런던100m – T36: 은메달
2012 런던200m – T36: 은메달
2013 리옹200m – T36: 금메달
2013 리옹100m – T36: 은메달
2014 인천100m – T36: 금메달
2014 인천200m – T36: 금메달
2018 자카르타100m – T36: 금메달
2018 자카르타200m – T36: 금메달
2010 광저우100m – T36: 은메달
2022 항저우100m – T36: 은메달
2022 항저우200m – T36: 은메달
2010 광저우200m – T36: 동메달
2006 쿠알라룸푸르T36 100m: 동메달
2006 쿠알라룸푸르T36 200m: 동메달

2. 경력

1977년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5살 때인 1982년 원인 불명의 뇌염으로 인해 뇌병변 장애 1급 판정을 받았다.[5] 19살 때인 1996년 뒤늦게 특수 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 중학교 3학년 때이자 26살 때인 2003년 동암재활학교 체육 교사 김행수의 권유로 육상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후에도 틈날 때마다 논두렁을 달리는 등의 연습을 했다.

전민재는 이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패럴림픽을 통해 처음으로 패럴림픽에 출전했다. 그녀는 100m와 200m 경기에 모두 참가하여 각각 6위와 4위를 차지했고 4년 후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패럴림픽에서는 100m와 200m 결승에서 러시아의 옐레나 이바노바에 이어 은메달을 따낸 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2016년 하계 패럴림픽 200m 경기에서도 은메달을 따내며 세계적인 장애인 스프린터로 성장했다.[5]

그리고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는데 특히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장애인 아시안 게임 초대 대회인 2010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는 100m와 200m 은메달을 획득했고 4년 뒤 자국에서 열린 2014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과 또 4년 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2018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도 100m와 200m를 연달아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5년 뒤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2022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도 100m와 200m 은메달을 따내며 4회 연속 장애인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6]

이후 2024년 하계 패럴림픽을 통해 5회 연속 패럴림픽 무대에 출전하여 T36 200m에서는 비록 메달 획득에는 아쉽게 실패했지만 마지막 50m 구간에서 경쟁 선수들과 치열한 3위 싸움을 벌이는 등 전력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밖에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2006년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0m와 200m 동메달을 획득했고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2013년 세계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100m 은메달, 200m 금메달을 따냈으며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도 15년 연속 3관왕을 달성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육상 입문

전민재는 1977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 5세 때 뇌염을 앓아 뇌성마비를 얻게 되었다.[3]

2. 2. 패럴림픽 및 국제 대회 경력

전민재는 2008년 하계 패럴림픽(베이징 개최)에 참가하여 처음으로 패럴림픽에 출전했다.[5] 100m와 200m 경기에 모두 참가하여 각각 6위와 4위를 기록했다.[5] 4년 후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패럴림픽에서는 100m와 200m 결승에서 러시아의 옐레나 스비리도바에 이어 은메달을 따냈다.[3][5]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2016년 하계 패럴림픽 200m 경기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5] 이후 2024년 하계 패럴림픽을 통해 5회 연속 패럴림픽 무대에 출전하여 T36 200m에서 경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는데,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2010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 100m와 200m 은메달을 획득했다.[6] 4년 뒤 자국에서 열린 2014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2018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 100m와 200m를 연달아 석권했다.[6] 5년 뒤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2022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도 100m와 200m 은메달을 따내며 4회 연속 장애인 아시안 게임 메달을 획득했다.[6]

이밖에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2006년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0m와 200m 동메달을 획득했고,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2013년 세계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100m 은메달, 200m 금메달을 따냈다.[5]

3. 수상

60px
체육훈장 맹호장(2024년 11월 12일)

4. 개인적인 삶

전민재는 1977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 5세 때 뇌염을 앓아 뇌성마비를 얻게 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리우패럴림픽]'1m49-스마일 스프린터'전민재가 발로 쓴 편지엔...[전문]" https://www.chosun.c[...] 2020-07-23
[2] 웹사이트 IPC World Championships: Lyon 2013 - Official Results Book https://www.paralymp[...] 2016-08-25
[3] 웹사이트 Jeon, Min-Jae https://web.archive.[...] 2016-08-25
[4] 웹인용 IPC World Championships: Lyon 2013 - Official Results Book https://www.paralymp[...] 2016-08-25
[5] 웹인용 Jeon, Min-Jae https://www.paralymp[...] 2016-08-25
[6] 뉴스 46세 ‘스마일 레이서’ 전민재, 또 한계 넘었다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