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손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손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뇌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외상, 중독, 저산소증, 뇌졸중,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신경외과 수술로 인해 의도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뇌 손상은 개방성 또는 폐쇄성 두부 손상, 관통상, 감속 손상 등으로 분류되며,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경미한 두통부터 심각한 인지 장애, 감정 변화까지 다양하며, 뇌 손상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진단은 글래스고 혼수 척도, CT, MRI 등의 영상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며, 급성기에는 뇌압 감소, 발작 예방 등의 치료가, 만성기에는 재활 치료가 진행된다. 뇌 손상의 예후는 손상의 특성과 위치에 따라 다르며, 신경 가소성에 의해 뇌 기능이 회복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 뇌 손상에 대한 이해는 피니어스 게이지와 폴 브로카의 사례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외상 - 신경가소성
    신경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경험, 학습, 손상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며, 시냅스 가소성, 구조적 가소성으로 나뉘어 뇌졸중, 학습 장애 등의 치료와 재활, 명상,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신경외상 -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 또는 영유아기의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감각, 인지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고,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중재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신경계 질환 - 앨리스 증후군
    앨리스 증후군은 시각, 촉각, 청각, 신체 이미지 인지 등 다양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는 감각 인지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 왜곡을 특징으로 하며, 뇌의 혈류 이상, 감염성 질환, 편두통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신경계 질환 - 신경통
    신경통은 특정 말초 신경 영역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통칭하며, 원인 불명의 특발성부터 대상 포진 후 신경통과 같은 증후성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작성 통증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질환으로, 통증 병력, 신체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약물, 물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 사인별 죽음 - 뇌졸중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막혀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뉘며, 조기 진단과 치료, 그리고 위험 요인 관리를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
  • 사인별 죽음 - 감전
    감전은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으로,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위험성이 달라지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지만, 의료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윤리적 논란의 여지도 있다.
뇌손상
일반 정보
의학 분야신경학
관련 증상손상된 뇌 영역에 따라 다름
유형후천성 뇌 손상 (ABI)
외상성 뇌 손상 (TBI)
국소성 또는 미만성 뇌 손상
일차성 및 이차성 뇌 손상
세부 정보
전문 분야신경학
증상손상된 뇌 부위에 따라 다름
합병증알 수 없음
유형후천성 뇌 손상 (ABI)
외상성 뇌 손상 (TBI)
국소적 또는 확산성
일차적 및 이차적
원인알 수 없음
위험 요소알 수 없음
진단알 수 없음
감별 진단알 수 없음
예방알 수 없음
치료알 수 없음
약물알 수 없음
예후알 수 없음
빈도알 수 없음
사망알 수 없음
기타
외상성 뇌 손상 후 수년이 지난 머리 CT 스캔. 화살표는 손상된 곳을 나타냄.
외상성 뇌 손상 후의 CT 스캔

2. 원인

뇌손상은 개방성 두부 손상, 폐쇄성 두부 손상, 감속손상, 독성 물질의 노출, 산소 부족, 종양, 감염, 뇌졸중과 같은 수많은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다.[56]

신경외과수술에서는 뇌전증 및 기타 뇌병을 치료하기 위해 뇌병변장애(brain lesion)가 종종 의도적으로 가해진다. 이러한 병변은 노출된 뇌에 전기쇼크나 제거를 가하거나 특정 부위에 흥분독소를 투입함으로써 유도된다.[57]

쿠(coup) 손상은 물체와의 충돌 지점 아래에서 발생하며, 반대편 손상(contrecoup injury)은 타격을 받은 부위의 반대쪽에서 발생한다.


뇌 손상은 다음과 같은 여러 조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2]

  • 외상; 다발성 외상성 손상은 만성 외상성 뇌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쿠-반대편 손상은 머리에 가해지는 힘이 충돌 부위에 타박상을 일으킬 만큼 강할 뿐만 아니라 뇌를 움직여 빠르게 두개골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추가적인 타박상을 일으킬 수 있을 때 발생한다.
  • * 개방성 뇌 손상
  • * 폐쇄성 뇌 손상
  • * 관통상: 날카로운 물체가 뇌에 들어가 광범위한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 총알로 인한 관통상은 91%의 사망률을 보인다.
  • 감속 손상
  • 중독; 예를 들어, 수은 및 납 화합물을 포함한 중금속 중독
  • 유전 질환
  • 저산소증, 출생 시 저산소증 포함[23]
  • 종양
  • 감염
  • 뇌졸중으로 인한 경색, 이는 혈전증, 색전증, 혈관종, 동맥류, 뇌 동맥경화증 등이 뒤따를 수 있다.[24]
  • 신경 질환 또는 신경 장애 (뇌성마비, 파킨슨병 등)
  • 수술
  • 약물 사용 장애
  • 신경독 - 오염 노출 또는 생물학적 노출 (아노나세아, 로테논,[25] 아스페르길루스 포자, 웨스트 나일 열, 바이러스성 수막염)
  • 자살 시도 (목맴,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 드물게 총기로 인한 자살 등)
  • 하루 이상 지속되는 급성 완전 또는 REM 수면 박탈[26]

2. 1. 외상성 뇌 손상

뇌 손상은 개방성 두부 손상, 폐쇄성 두부 손상, 감속 손상, 독성 물질의 노출, 산소 부족, 종양, 감염, 뇌졸중과 같은 수많은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다.[56] 신경외과수술에서는 뇌전증 및 기타 뇌병을 치료하기 위해 뇌병변장애(brain lesion)가 종종 의도적으로 가해진다.[57] 미만성 축삭 손상은 뇌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의해 발생하며, 뇌의 백질 신경로에 병변을 유발한다.[31] 이러한 전단력은 뇌가 급격한 회전 가속을 겪는 경우에 나타나며, 백질과 회색질 사이의 밀도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32]

2. 2. 비외상성 뇌 손상

뇌 손상은 개방성 두부 손상, 폐쇄성 두부 손상, 감속 손상, 독성 물질의 노출, 산소 부족, 종양, 감염, 뇌졸중과 같은 수많은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다.[56] 신경외과수술에서는 뇌전증 및 기타 뇌병을 치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뇌 병변을 만들기도 한다.[57]

2. 3. 선천적 뇌 손상

뇌 손상은 개방성 두부 손상, 폐쇄성 두부 손상, 감속 손상, 독성 물질 노출, 산소 부족, 종양, 감염, 뇌졸중과 같은 수많은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다.[56] 신경외과 수술에서는 뇌전증 및 기타 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뇌 병변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병변은 노출된 뇌에 전기 쇼크를 주거나 특정 부위를 제거하거나 흥분 독소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유도된다.[57]

2. 4. 기타

뇌 손상은 개방성 두부 손상, 폐쇄성 두부 손상, 감속 손상, 독성 물질 노출, 산소 부족, 종양, 감염, 뇌졸중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56] 화학 요법은 신경 줄기 세포와 희소돌기아교세포에 뇌 손상을 일으켜 수초 생성을 방해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은 뇌의 혈류를 방해하거나 중단시켜 뇌 조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기억 상실, 혼란, 인지 기능 상실과 같은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7][28] 방사선에 의한 뇌 손상은 뇌종양의 위치, 방사선량, 치료 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방사선 수술 또한 조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27][28]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은 비타민 B 결핍(특히 비타민 B1, 티아민)으로 인해 발생하며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29][30] 이 증후군은 베르니케 뇌병증과 코르사코프 정신병의 두 가지 상태로 나타난다. 베르니케 뇌병증은 젖산의 국소 축적으로 인해 시력, 협응력 및 균형에 문제가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코르사코프 정신병보다 먼저 나타난다.[29] 코르사코프 정신병은 베르니케 증상 감소 후 나타나며, 만성적인 과도한 알코올 섭취나 영양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결장암, 섭식 장애, 위 우회술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29]

신경외과수술에서는 뇌전증 등의 뇌 질환 치료를 위해 의도적으로 뇌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손상은 노출된 뇌에 절제술, 전기 충격(전해질 손상)을 가하거나, 특정 부위에 흥분독소를 주입하여 유도한다.[57]

3. 증상

뇌 손상 증상은 손상의 심각성 또는 뇌의 어느 부분이 영향을 받는지에 따라 다르다. 뇌 손상의 심각성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네 가지 범주는 경증, 중등도 또는 중증이다.[2]

뇌 손상에 대한 신체의 반응은 손상 초기 발생 후 여러 시점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뇌의 뉴런, 신경로 또는 특정 영역의 기능이 손상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각적인 반응은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는 부종, 통증, 멍, 의식 상실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6] 외상 후 기억상실증 또한 뇌 손상 시 흔하게 나타나며, 일시적인 실어증, 즉 언어 장애도 흔하다.[17]

시간이 지나면서 손상의 심각성이 분명해지면, 더 많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손상 시 발생한 혈류 감소 또는 조직 손상으로 인해, 기억상실증과 실어증이 영구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에게서 실행증이 보고되기도 한다. 기억상실증은 사람이 기억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18] 실어증은 단어 이해 또는 사용의 상실 또는 장애를 의미한다. 실행증은 뇌 손상으로 인한 운동 장애이며, 기계적 지식 상실과 함께 뇌 손상을 입은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19] 두통, 때때로의 어지럼증, 피로감 - 뇌 외상의 모든 일시적인 증상 -은 영구적이 되거나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인간의 감정과 행동을 제어하는 뇌의 다양한 부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 변화와 같은 지속적인 심리적 영향에 대한 사례도 기록되어 있다.[20] 뇌 손상과 관련된 감정 변화를 경험한 개인은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매우 강렬하지만 지속적인 영향은 거의 없는 감정을 느낄 수 있다.[20] 감정 변화는 특정 사건에 의해 유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부상자 및 그 가족과 친구들에게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21] 종종,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담이 권장되며, 개인 또는 그룹 세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장기적인 심리적 및 생리적 영향은 개인 및 부상에 따라 다를 것이다. 예를 들어, 주산기 뇌 손상은 신경발달 장애 및 정신 질환과 관련된 사례에서 연루되어 왔다. 우려되는 증상, 징후 또는 행동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상담해야 한다.

3. 1. 일반적인 증상

뇌 손상은 뇌의 특성으로 인해 광범위하고 다양한 결과를 초래한다. 뇌 손상을 입은 사람들은 흔히 기억 관련 문제를 겪는데,[15] 이는 손상의 위치와 심각성에 따라 장기 또는 단기 기억 모두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재활을 통해 기억력이 향상될 수 있지만, 영구적인 손상으로 남을 수도 있다. 행동 및 성격 변화는 호르몬이나 주요 감정을 제어하는 뇌 구조의 변화로 인해 흔히 관찰된다.

두통과 통증은 뇌 손상 자체 또는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상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은 뇌의 변화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변화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흔한 부작용이며, 심리적 도움으로 치료할 수 있다. 항우울제는 이미 변화된 뇌 화학 작용으로 인해 원치 않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뇌 손상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뇌 손상에 대한 신체의 반응은 손상 초기 발생 후 여러 시점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 뇌의 뉴런, 신경로 또는 특정 영역의 기능이 손상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각적인 반응은 부종, 통증, 멍, 의식 상실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16] 외상 후 기억상실증과 일시적인 실어증 또한 흔하게 나타난다.[17]

시간이 지나면서 손상의 심각성이 분명해지면, 혈류 감소 또는 조직 손상으로 인해 기억상실증과 실어증이 영구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에게서 실행증이 보고되기도 한다. 기억상실증은 사람이 기억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18] 실어증은 단어 이해 또는 사용의 상실 또는 장애를 의미한다. 실행증은 뇌 손상으로 인한 운동 장애이며, 기계적 지식 상실과 함께 뇌 손상을 입은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19] 두통, 때때로의 어지럼증, 피로감은 뇌 외상의 일시적인 증상이지만, 영구적이 되거나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인간의 감정과 행동을 제어하는 뇌의 다양한 부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 변화와 같은 지속적인 심리적 영향에 대한 사례도 기록되어 있다.[20] 뇌 손상과 관련된 감정 변화를 경험한 개인은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매우 강렬하지만 지속적인 영향은 거의 없는 감정을 느낄 수 있다.[20] 감정 변화는 특정 사건에 의해 유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부상자 및 그 가족과 친구들에게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21]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담이 권장되며, 개인 또는 그룹 세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장기적인 심리적 및 생리적 영향은 개인 및 부상에 따라 다를 것이다. 예를 들어, 주산기 뇌 손상은 신경발달 장애 및 정신 질환과 관련된 사례에서 연루되어 왔다. 우려되는 증상, 징후 또는 행동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상담해야 한다.

3. 2. 손상 부위에 따른 증상

뇌 손상의 증상은 손상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병변의 크기는 심각성, 회복 및 이해력과 상관관계가 있다.[4] 뇌 손상은 종종 심각성에 큰 차이를 보이는 손상 또는 장애를 유발한다.

심각한 뇌 손상의 경우, 신경인지 결손, 망상(특히, 단일 주제 망상), 언어 또는 운동 문제, 지적 장애를 포함하여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성격 변화도 나타날 수 있으며, 가장 심각한 경우에는 혼수 또는 지속적 식물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가벼운 사고조차도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수년 후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

연구에 따르면 뇌 병변과 언어, 음성, 특정 범주의 장애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상측두이랑의 후방 부분 손상은 베르니케 실어증과 관련이 있는데,[6][7] 이는 명칭 불능증, 신조어, 이해력 문제와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브로카 영역의 손상은 무문법증, 발성 변화, 난독증, 난서증, 이해력 및 생성 문제와 같은 증상을 유발하며, 이는 뇌의 후방 하전두이랑 손상을 나타낸다.[8]

그러나 뇌의 특정 영역 손상이 반드시 해당 영역이 손상된 인지 과정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순수 실독증은 좌측 시야와 우측 시야와 언어 영역(브로카 영역베르니케 영역) 사이의 연결을 모두 손상시키는 병변에 의해 발생하지만, 작동하는 시각 피질과 언어 영역 사이에 연결이 없을 뿐, 언어 이해 능력은 유지된다.[9]

방추이랑의 병변은 안면 실인증을 유발하여 얼굴 및 기타 복잡한 물체를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10] 편도체 병변은 공포 반응과 관련된 시각 영역의 활성화를 변화시킨다.[11]

시각 피질의 병변은 손상 위치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친다. V1 병변은 블라인드사이트를 유발하고,[12] V4 병변은 색맹을 유발하며,[13] MT/V5 양측 병변은 운동 감지 능력을 상실하게 한다. 두정엽 병변은 실인증 또는 형태감각 상실증을 유발할 수 있다.[14]

3. 3. 뇌 손상 심각도에 따른 증상

3. 3. 1. 경미한 뇌 손상

경미한 뇌 손상의 증상으로는 두통, 혼란, 이명, 피로, 수면 패턴의 변화, 기분 또는 인간 행동의 변화 등이 있다. 그 외 증상으로는 기억력, 집중력, 주의력 또는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3] 정신적 피로는 흔한 쇠약 증상이며, 환자는 이를 최초의 (경미한) 사건과 연관 짓지 못할 수도 있다.

3. 3. 2. 중등도/중증 뇌 손상

인지 증상으로는 혼란, 공격성, 비정상적인 행동, 어눌한 발음, 혼수 또는 기타 의식 장애가 있다. 신체 증상으로는 악화되거나 사라지지 않는 두통, 구토 또는 메스꺼움, 경련, 뇌 박동, 비정상적인 동공 산대, 잠에서 깨어나지 못함, 사지 쇠약, 협응력 상실 등이 있다.[3]

3. 4. 어린이 뇌 손상 증상

어린이에게 나타나는 뇌 손상 증상으로는 식습관 변화, 지속적인 짜증이나 슬픔, 주의력 변화, 수면 습관 장애 등이 있다.[3]

4. 진단

글래스고 혼수 척도(GCS)는 뇌 손상의 심각도 수준을 평가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점수 시스템이다. 이 방법은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의 세 가지 특성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뇌 손상의 심각도를 결정한다.[35] 글래스고 혼수 척도에 따른 심각도 분류는 다음과 같다. 3~8점은 심각한 뇌 손상, 9~12점은 중간 뇌 손상, 13~15점은 경미한 뇌 손상이다.[35]

뇌 손상의 진단 및 범위를 평가하는 데에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확산 텐서 영상(DTI), 자기 공명 분광법(MRS),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SPECT) 등 여러 영상 기술이 사용된다. CT 스캔과 MRI는 널리 사용되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CT 스캔은 뇌 출혈, 두개골 골절, 뇌 내 체액 축적(두개 내압 증가 유발)을 보여줄 수 있다.[36]

MRI는 더 작은 부상, 뇌 내 손상, 미만성 축삭 손상, 뇌간, 후두와, 측두하 및 전두하 부위의 부상을 더 잘 감지한다. 그러나 심장 박동기, 금속 임플란트 등 체내 금속이 있는 환자는 MRI를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다른 영상 기술은 비용, 이용 가능성 부족 등의 이유로 임상 환경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37]

5. 치료

5. 1. 급성기 치료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응급 치료는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정상 혈압을 유지하여 머리나 목의 추가적인 손상을 막는 데 중점을 둔다.[38] 응고된 혈액을 제거하거나 두개골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두개골에 구멍을 내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38] 외상성 손상에는 이뇨제, 항발작제, 혼수 유도 약물 등이 사용된다.[38] 이뇨제는 조직의 체액을 줄여 뇌의 압력을 낮추고, 항발작제는 외상성 뇌 손상 후 첫 주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발작의 위험을 예방한다.[38] 혼수 유도 약물은 손상을 줄이고 혈류를 회복시키기 위한 수술 중에 사용될 수 있다.[38] 생쥐 NGF는 2003년부터 중국에서 뇌내 출혈을 포함한 다양한 뇌 손상의 신경학적 회복을 촉진하는 데 사용 허가되었다.[38]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한 뇌 손상의 경우, 덱사메타손 및/또는 만니톨을 사용할 수 있다.[39]

5. 2. 만성기 치료

신경과 의사, 신경외과 의사, 재활의학과 전문의는 뇌 손상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이다. 신경심리학자(특히 임상신경심리학자)는 뇌 손상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심리학자이며, 손상 정도를 평가하거나 재활 전략을 수립하는 데 관여할 수 있다. 작업 치료사는 손실된 기능을 회복하거나 필수 기술을 다시 배우도록 돕기 위해 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관여할 수 있다. 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글래스고 혼수 척도를 포함하여 약물 투여 및 신경학적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은 환자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의료 전문가들이 방향 감각의 정도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한다.

물리 치료사 또한 뇌 손상 후 재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상성 뇌 손상(TBI)의 경우, 급성기 이후 물리 치료에는 감각 자극, 일련의 캐스팅 및 부목, 피트니스 및 유산소 운동, 기능적 훈련이 포함될 수 있다. 감각 자극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감각 인식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련의 캐스팅 및 부목은 연조직 구축 및 근육 긴장을 줄이는 데 자주 사용된다. 증거 기반 연구에 따르면 일련의 캐스팅을 사용하여 수동 운동 범위(PROM)를 늘리고 경직을 줄일 수 있다.

기능적 훈련은 TBI 환자를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더 강도 높은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TBI 환자는 기능적 기술에서 더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뇌 손상의 다른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 정신 요법, 신경심리 재활, 수술 등이 있다.

6. 예후

뇌 손상의 예후는 뇌 손상의 성격, 위치 및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외상성 뇌 손상, 국소 및 미만성 뇌 손상, 1차 및 2차 뇌 손상 참조).[48]

일반적으로 신경 재생은 말초 신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중추 신경계(뇌 또는 척수)에서는 드물다. 그러나 인간의 신경 발달에서 뇌의 특정 영역은 손상된 다른 영역을 보상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크기와 복잡성이 증가하고 심지어 기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는 감각을 잃은 사람이 다른 감각에서 예민함을 얻는 것과 같은 신경 가소성이라 한다.[48]

뇌 손상과 관련된 많은 오해가 있는데, 뇌 손상을 입은 사람은 완전히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이 그중 하나이다. 회복은 심각도와 위치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모든 사람이 뇌 손상에서 완전히 회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완전한 회복이 가능하다. 뇌 손상의 결과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고, 가벼운 뇌 손상을 입은 사람도 쇠약해지는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49] 뇌 손상의 부작용은 위치와 신체의 손상 반응에 따라 다르다.[49] 심지어 가벼운 뇌진탕도 해결되지 않을 수 있는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50] 어린이는 성숙도가 부족하여 부상의 위험이 더 크며, 미래의 발달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든다.[50] 예를 들어, 전두엽 뇌 손상을 입은 어린이의 경우, 손상의 영향은 그 어린이가 십 대 후반과 이십 대 초반에 정상적인 집행 기능을 개발하지 못할 때까지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51]

7. 뇌 손상에 대한 오해

8. 역사

인간 행동과 뇌 손상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피니어스 게이지폴 브로카의 사례 연구에서 비롯되었다.[52] 1848년, 피니어스 게이지는 철도 노선 건설 중 사고로 전두엽을 관통하는 부상을 입었다. 이 사건은 뇌 손상 연구 역사상 가장 놀라운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게이지는 지적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부상 후 행동 결함을 보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2]

10년 후, 폴 브로카는 전두엽 손상으로 인해 언어 장애를 보이는 두 환자를 검사했다. 브로카의 첫 번째 환자는 생산적인 언어를 구사하지 못했는데, 브로카는 이를 언어 국소화를 연구할 기회로 삼았다. 르보르뉴(비공식적으로 "탄") 사망 후 부검을 통해 전두엽 병변을 확인했다. 두 번째 환자 역시 유사한 언어 장애를 보였으며, 이는 언어 국소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뒷받침했다. 두 사례는 언어와 좌뇌 반구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부위는 현재 브로카 영역 및 브로카 실어증으로 알려져 있다.[53]

몇 년 후, 독일 신경과학자 카를 베르니케는 뇌졸중 환자를 진찰했다. 이 환자는 언어 및 청각 장애는 없었지만,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적힌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등의 뇌 기능 결함을 보였다. 사망 후 부검 결과 좌측 측두엽에 위치한 병변이 발견되었고, 이 부위는 베르니케 영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베르니케는 이후 베르니케 영역과 브로카 영역의 관계를 가설로 제시했고, 이는 사실로 입증되었다.[54]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n Acquired Brain Injury? http://www.headway.i[...] Headway 2016-09-19
[2] 웹사이트 Traumatic Brain Injury Information Pag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https://www.ninds.ni[...] 2018-11-09
[3] 웹사이트 Traumatic brain injury Symptoms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2016-11-15
[4] 논문 The neural and neurocomputational bases of recovery from post-stroke aphasia 2019
[5] 웹사이트 Traumatic Brain Injury Signs and Symptoms https://www.brainlin[...] 2020-01-23
[6] 웹사이트 Superior Temporal Gyrus :: DNA Learning Center https://www.dnalc.or[...] 2016-12-09
[7] 뉴스 Wernicke's Aphasia http://www.aphasia.o[...] 2016-12-09
[8] 웹사이트 Broca's and Wernicke's Aphasia http://www-rohan.sds[...] 2016-12-09
[9] 문서 More Brain Lesions, Kathleen V. Wilkes
[10] 논문 Lesions of the Temporal Association Cortex: Deficits of Recognition https://www.ncbi.nlm[...] 2020-01-23
[11] 논문 Amygdala Response to Emotional Stimuli without Awareness: Facts and Interpretations 2017
[12] 논문 Visual Perception and Awareness 2010-01-01
[13] 논문 Cerebrale Achromatopsie (Symptomatik, Verlauf, Differentialdiagnose und Strategie der Untersuchung) 1988-12-01
[14] 문서 "Amorphosynthesis from Left Parietal Lesion" 1954-03
[15] 논문 The Effect of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BI) on Different Aspects of Memory: A Selective Review 2005-11-01
[16] 웹사이트 What Happens Immediately After the Injury? http://www.brainline[...] 2016-11-12
[17] 뉴스 Aphasia Definitions http://www.aphasia.o[...] 2016-11-12
[18] 웹사이트 Definition of Amnesia http://www.merriam-w[...] 2016-11-12
[19] 논문 Tool use disorders after left brain damage 2014-01-01
[20] 웹사이트 Emotional Problem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http://www.msktc.org[...] 2016-11-12
[21] 서적 Assessment & Management of Emotional Reactions to Brain Damage & Aphasia Far Communications Ltd
[22] 웹사이트 TBI: Causes of Traumatic Brain Injury http://www.traumatic[...] 2016-11-15
[23] 웹사이트 Birth Hypoxia and Brain Damage to Newborns http://www.duffyduff[...] Michael E. Duffy 2013-07-27
[24] 뉴스 Overview of Brain Dysfunction – Brain, Spinal Cord, and Nerve Disorders http://www.merckmanu[...] 2016-12-09
[25] 논문 Rotenone exerts developmental neurotoxicity in a human brain spheroid model 2018-09-01
[26] 논문 Impact of Sleep Disturbances on Neurodegeneration: Insight from Studies in Animal Models 2020-06
[27] 웹사이트 Possible Side Effects of Radiation Treatment for Brain Tumors {{!}} OncoLink https://www.oncolink[...] 2016-09-22
[28] 웹사이트 Long Term Side Effects of Brain Tumour Radiotherapy http://www.cancerres[...] 2016-09-22
[29] 논문 Effects of Thiamine Deficiency on Brain Metabolism: Implications for the Pathogenesis of the Wernicke-Korsakoff Syndrome https://academic.oup[...] 2022-11-26
[30] 웹사이트 Wernicke-Korsakoff syndrom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16-11-15
[31] 논문 Diffuse Axonal Injury: Epidemiology, Outcom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2016-10-20
[32] 웹사이트 Diffuse axonal injury https://radiopaedia.[...] Radiopaedia 2018-01-07
[33] 논문 Cytokines and Perinatal Brain Damage 2016-11-12
[34] 논문 Cytokines, Inflammation and Pain 2007-01-01
[35] 웹사이트 What Is the Glasgow Coma Scale? http://www.brainline[...] 2016-11-15
[36] 서적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McGraw-Hill Education 2014
[37] 서적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McGraw-Hill Education 2014
[38] 논문 Mouse nerve growth factor promotes neurological recovery in patients with 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 A proof-of-concept study https://doi.org/10.1[...] 2020-11
[39] 논문 Corticosteroids in acute traumatic brain injury: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40] 웹사이트 Glasgow Coma Scale: Technique and Interpretation http://www.clinicsin[...] 2017-08-03
[41] 논문 Physiotherapy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8-02
[42] 논문 Do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benefit from physiotherapy? A review of the evidence
[43]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intensive sit-to-stand training after recent traumatic brain injury on sit-to-stand performance
[44] 논문 Ambulation training with or without partial weightbearing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Results of a controlled trial
[45] 논문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for acquired brain injury in adults of working age 2015-12-22
[46] 논문 Cognitive Impairment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2016
[47] 웹사이트 Traumatic brain injury -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www.mayoclin[...] 2023-03-17
[48] 논문 Static and Dynamic Factors Promoting Resilience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A Brief Review 2015
[49] 뉴스 10 Myths About Traumatic Brain Injury http://taskandpurpos[...] 2015-06-09
[50] 웹사이트 Myths & Facts About TBI http://cbirt.org/tbi[...]
[51] 논문 The effect of pediatric traumatic brain injury on behavioral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2013
[52] 논문 Phineas Gage and the Science of Brain Localisation
[53] Webarchive Paul Broca's Historic Cases: High Resolution MR Imaging of the Brains of Leborgne and Lelong https://academic.oup[...] 2007
[54] 논문 The Disappearing Lesion: Sigmund Freud, Sensory-Motor Physiology, and the Beginnings of Psychoanalysis https://www.cambridg[...] 2013-11-01
[55] 웹사이트 What is an Acquired Brain Injury? http://www.headway.i[...] Headway 2016-09-19
[56] 웹인용 TBI: Causes of Traumatic Brain Injury http://www.traumatic[...] 2016-11-15
[57] 문서 Differential Fos Expression Following Aspiration, Electrolytic, or Excitotoxic Lesions of the Perirhinal Cortex in Ra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