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위 (재료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위는 결정 구조 내 원자 배열의 불규칙성으로, 재료의 소성 변형을 결정하는 선형 결함이다. 전위는 원자 배열의 급격한 변화를 포함하며, 벌거스 벡터로 특징지어진다. 전위는 날 가장자리 전위, 나사 전위, 혼합 전위 등으로 분류되며, 전위의 움직임은 재료의 강도, 연성, 경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전위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생성되며, 냉간 가공, 열처리, 합금 등을 통해 전위의 밀도와 배열을 제어하여 재료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전위는 표면 처리법, 장식법, 투과 전자 현미경(TEM), X-선 회절 등의 방법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전위의 거동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 결함 - 적층 결함
    적층 결함은 결정성 재료 내에서 형성되는 2차원 평면 결함으로, 부분 전위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며, 특히 면심입방 결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투과전자현미경 등으로 시각화할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재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 결정 결함 - 위그너 효과
    위그너 효과는 중성자가 결정 구조 내 원자와 충돌하여 격자 결함을 발생시키고 에너지를 축적하여 온도 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 현상이다.
  • 결정학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결정학 - 역격자
    역격자는 브라베 격자의 쌍대 개념으로, 해당 격자의 모든 벡터와의 내적이 정수가 되는 벡터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결정 구조 분석 및 블로흐 정리와 관련된 브릴루앙 영역 연구에 활용되는 또 다른 브라베 격자이다.
전위 (재료과학)
개요
엣지 전위의 애니메이션
엣지 전위의 애니메이션
정의결정 격자 내의 선형 결함 또는 불규칙성
유형칼날 전위
나선 전위
혼합 전위
설명
원인응고 중 원자 배열의 불일치
소성 변형
열 응력
격자 내 이종 원자 삽입
영향재료의 기계적 성질 변화 (강도, 연성)
결정 성장 및 변형 과정에 영향
재료의 전기적, 자기적 성질에 영향
관찰 방법TEM
X선 회절
AFM
전위의 종류
칼날 전위결정 격자 내에 원자면이 추가되어 발생하는 전위
나선 전위결정 격자 내에 나선형으로 원자 배열이 어긋나 발생하는 전위
혼합 전위칼날 전위와 나선 전위의 특성을 모두 갖는 전위
전위의 강화 기구
전위 강화다른 전위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강도를 증가시킴
치환형 고용 강화용질 원자가 전위 주변의 응력장을 간섭하여 전위 이동을 방해함
석출 강화석출물이 전위 이동을 방해함
결정립계 강화결정립계가 전위 이동의 장벽 역할을 함
기타
관련 용어버거스 벡터
전위 밀도
크리프
피로 파괴

2. 정의

전위는 결정 구조 내의 선형 결정학적 결함 또는 불규칙성으로, 원자 배열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포함한다. 결정 질서는 전위의 양쪽에서 회복되지만, 한쪽의 원자는 이동하거나 미끄러졌다. 전위는 재료의 미끄러진 부분과 미끄러지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를 정의하며, 격자 내에서 끝나지 않고 자유 가장자리까지 확장되거나 결정 내에서 루프를 형성해야 한다.[1] 전위는 격자 내의 원자에 의해 발생되는 이동 거리 및 방향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를 벌거스 벡터라고 한다. 전위의 벌거스 벡터는 전위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양한 종류의 전위가 존재하며, 이동 가능한 전위는 '글라이사일'이라고 하고, 이동 불가능한 전위는 '세사일'이라고 한다. 이동 가능한 전위의 움직임은 원자가 낮은 응력 수준에서 서로 미끄러지도록 하며, 이를 글라이드 또는 슬립이라고 한다. 전위의 움직임은 결정 내에 다른 원소의 존재에 의해 향상되거나 방해받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원소는 전위로 확산되어 코트렐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전위는 결정질 재료 내에서 독특한 실체처럼 행동하며, 일부 유형의 전위는 재료를 통해 이동하면서 구부러지고, 휘어지고, 형태를 바꾸고, 결정 내의 다른 전위 및 특징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전위는 금속과 같은 결정질 재료를 변형시켜 생성되며, 이는 표면, 특히 응력 집중 지점 또는 재료 내의 결함 및 입계에서 시작될 수 있다.

전위선의 주변 원자의 불일치 방향은 벌거스 벡터로 표시된다. 전위는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날 가장자리 전위''' (edge dislocation):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가 수직이며, 전위가 없는 결정에 여분의 면을 억지로 밀어 넣은 형태의 결정 결함이다.
  • '''나사 전위''' (screw dislocation):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가 평행하며, 전위선에 대해 평행하게 결정면이 어긋난 것을 말한다.
  • '''혼합 전위''':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가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고, 날 가장자리 전위와 나사 전위의 두 가지가 혼합되어 양쪽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3. 역사

1907년 비토 볼테라가 원자 수준 결함의 탄성장을 설명하는 이론을 개발했다.[4] 1934년 G. I. 테일러가 '전위'라는 용어를 만들었다.[5]

1930년대 이전에는 재료 과학에서 미시적 관점에서 소성을 설명하는 것이 큰 과제였다. 완벽한 결정에서 인접한 원자 면이 서로 미끄러지는 전단 응력을 계산하려는 단순한 시도는, 전단 탄성 계수 G를 가진 재료의 경우 전단 강도 \tau_m이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주어진다고 제안한다.

:: \tau_m = \frac {G} {2 \pi}.

금속의 전단 탄성 계수는 일반적으로 20000MPa ~ 150000MPa 범위 내에 있는데, 이는 3000MPa ~ 24000MPa의 예측 전단 응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측정된 전단 응력은 0.5MPa ~ 10MPa 범위로, 예측값과 큰 차이를 보였다.

1934년, 에곤 오로완, 마이클 폴라니, 그리고 G. I. 테일러는 소성 변형이 전위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독립적으로 제안했다.

4. 전위의 종류

전위는 전위선과 버거스 벡터의 상대적인 방향에 따라 분류된다.[1]


  • 칼날 전위 (Edge Dislocation): 버거스 벡터가 전위선에 수직인 전위이다. 인상전위 또는 쐐기전위라고도 한다. 결정 중간에 원자의 여분의 반평면이 도입되어 인접한 원자 평면을 왜곡하는 결함이다.[1]

오른쪽

  • 나선 전위 (Screw Dislocation): 버거스 벡터가 전위선에 평행한 전위이다. 결정 격자의 원자 평면이 선형 결함(전위선) 주위로 나선형 경로를 추적하는 구조로 구성된다.[16]

  • 혼합 전위 (Mixed Dislocation): 칼날 전위와 나선 전위의 특성이 혼합된 전위이다. 전위선 방향과 버거스 벡터가 수직도 평행도 아닌 곳에서 발견된다.

  • 부분 전위 (Partial Dislocation): 적층 결함을 남기는 전위이다.

5. 전위의 성질

전위는 결정 구조 내의 선형 결정학적 결함 또는 불규칙성으로, 원자 배열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포함한다. 결정 질서는 전위의 양쪽에서 회복되지만, 한쪽의 원자는 이동하거나 미끄러졌다. 전위는 재료의 미끄러진 부분과 미끄러지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를 정의하며, 격자 내에서 끝나지 않고 자유 가장자리까지 확장되거나 결정 내에서 루프를 형성해야 한다.[1]

전위선의 주변 원자의 불일치 방향은 벌거스 벡터로 표시된다. 전위는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날 가장자리 전위 (edge dislocation):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가 수직이며, 전위가 없는 결정에 여분의 면을 억지로 밀어 넣은 형태의 결정 결함이다.
  • 나사 전위 (screw dislocation):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가 평행하며, 전위선에 대해 평행하게 결정면이 어긋난 것을 말한다.
  • 혼합 전위: 전위선과 벌거스 벡터가 평행하지도 수직하지도 않고, 날 가장자리 전위와 나사 전위의 두 가지가 혼합되어 양쪽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전위는 결정 내부에서 끝점을 가질 수 없으며, 루프 형태가 되거나 끝점이 결정 표면에 나와야 한다.[28]

전위 밀도(단위 부피당 전위선의 길이)는 일반적인 금속에서 풀림 상태일 때 1010 - 1012 m-2 정도, 소성 가공 후에는 1014 - 1016 m-2 정도이다.[28]

전위 주변에는 탄성 변형장이 존재하므로 에너지적으로 높은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전위선에는 그 길이를 줄이려는 장력이 작용한다. 전위의 에너지(E) (이것은 장력의 크기와 같다)는 벌거스 벡터(b)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28]

: E \simeq \frac{1}{2}Gb^2

여기서 G는 전단 탄성 계수이다. 또한 이 에너지 때문에, 근처에 있는 전위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부호가 다른 두 개의 날 가장자리 전위 사이에는 그들을 잇는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6. 전위의 생성 메커니즘

금속이 냉간 가공과 같이 낮은 온도에서 변형될 때, 새로운 전위가 생성되어 전위 밀도가 증가한다. 인접한 전위들의 변형장 사이의 중첩이 증가하면서 전위 이동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이는 금속의 경화를 유발한다. 이를 가공 경화 또는 변형 경화라고 한다.

소성 변형에 따라 전위 밀도가 증가하므로, 재료 내에서 전위 생성 메커니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전위 형성의 주요 메커니즘으로는 균일 핵 생성, 결정립계 개시, 그리고 격자와 표면, 석출물, 분산상 또는 보강 섬유 사이의 계면 등이 있다.

6. 1. 균일 핵 생성 (Homogeneous Nucleation)

균일 핵 생성에 의한 전위의 생성은 격자 내의 선을 따라 원자 결합이 파괴된 결과이다. 격자 내의 평면이 전단되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반평면 또는 전위가 생성된다. 이러한 전위는 격자를 통해 서로 멀어진다. 균일 핵 생성은 완벽한 결정에서 전위를 형성하고 많은 결합을 동시에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에너지가 높다. 예를 들어, 구리에서 균일 핵 생성에 필요한 응력은 \frac{\tau_{\text{hom}}}{G}=7.4\times10^{-2}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G는 구리의 전단 탄성 계수(46GPa)이다. \tau_{\text{hom}}\,\!을 구하면 필요한 응력은 3.4GPa인데, 이는 결정의 이론적 강도에 매우 가깝다. 따라서, 일반적인 변형에서 균일 핵 생성은 집중된 응력을 필요로 하며,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다. 결정립계 개시 및 계면 상호 작용이 더 일반적인 전위의 원천이다.[1]

6. 2. 결정립계 개시 (Grain Boundary Initiation)

금속이 냉간 가공 (재료의 절대 용융 온도 T_m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즉 일반적으로 0.4T_m 미만에서 변형)을 받으면 새로운 전위가 형성되어 전위 밀도가 증가한다. 소성 변형에 따라 전위 밀도가 증가하므로 재료 내에서 전위 생성 메커니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전위 형성 메커니즘 중 하나는 결정립계 개시이다.

6. 3. 프랭크-리드 소스 (Frank-Read Source)

프랭크-리드 소스는 고정된 전위 세그먼트에서 전위 흐름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이다. 응력은 전위 세그먼트를 구부리고 확장하여 소스에서 벗어나는 전위 루프를 생성한다.[1]

6. 4. 표면 (Surfaces)

결정 표면은 결정 내에 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결정 표면에는 작은 단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 일부 영역에서 응력은 격자 내 평균 응력보다 훨씬 크다. 이러한 응력은 전위를 유발한다.[1] 전위는 결정립계 생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격자 내로 전파된다.[1] 단결정에서 대부분의 전위는 표면에서 형성된다.[1] 재료 표면으로부터 200um 깊이에서의 전위 밀도는 벌크 밀도보다 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그러나 다결정 재료에서는 대부분의 결정립이 표면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기원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

6. 5. 계면 (Interfaces)

금속과 산화물 사이의 계면은 생성되는 전위의 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산화물 층은 산소 원자가 격자 내로 압착되고 산소 원자는 압축을 받기 때문에 금속 표면에 인장을 가한다. 이는 금속 표면의 응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표면에 형성되는 전위의 양을 증가시킨다. 표면 단계에 대한 응력 증가량은 계면에서 형성되고 방출되는 전위의 증가로 이어진다.[6]

전위는 또한 두 결정 사이의 계면 평면에서 형성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두 결정의 격자 간격이 일치하지 않아 계면에서 격자 부조화가 발생할 때 발생한다. 격자 부조화로 인한 응력은 규칙적으로 간격을 둔 부조화 전위를 형성하여 해소된다. 부조화 전위는 전위선이 계면 평면에 있고 버거스 벡터가 계면 수직 방향인 가장자리 전위이다. 부조화 전위를 갖는 계면은 예를 들어 기판 위에 에피택셜 결정 성장의 결과로 형성될 수 있다.[7]

6. 6. 방사선 조사 (Irradiation)

금속이 고에너지 조사를 받으면 손상으로 인해 전위 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8][9] 각기둥 전위 루프는 원자들이 추가되거나 누락되어 붕괴된 디스크 형태로 이해할 수 있으며, 간극 원자 또는 공공(空孔)이 함께 모일 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단일 또는 다중 충돌 연쇄의 결과로 직접 발생할 수 있으며,[10] 간극 원자와 공공의 국부적으로 높은 밀도를 초래한다. 대부분의 금속에서 각기둥 전위 루프는 자기 간극 원자의 에너지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클러스터이다.

6. 7. 슬립 (Slip)

전위는 전위선과 버거스 벡터를 모두 포함하는 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데, 이를 활주면이라고 한다.[13] 나사 전위의 경우, 전위선과 버거스 벡터가 평행하므로 전위를 포함하는 모든 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가장자리 전위의 경우, 전위와 버거스 벡터가 수직이므로 전위가 미끄러질 수 있는 면은 하나이다. glide영어 또는 슬립은 낮은 응력 수준에서 원자가 서로 미끄러지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전위의 움직임이다.

6. 8. 클라임 (Climb)

전위 클라임은 가장자리 전위가 슬립면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전위 이동 방식이다. 클라임의 주된 원동력은 결정 격자를 통한 공공의 이동이다. 예를 들어, 공공이 가장자리 전위를 이루는 원자들의 추가 반평면 경계 옆으로 이동하면, 공공에 가장 가까운 반평면의 원자가 '점프'하여 공공을 채울 수 있다. 이 원자 이동은 원자 반평면에 맞춰 공공을 '이동'시켜 전위가 이동하는, 즉 양의 클라임을 일으킨다.[1] 원자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원자 반평면 경계에서 공공이 흡수되는 과정은 음의 클라임이라고 한다. 전위 클라임은 개별 원자가 공공으로 '점프'하는 결과이므로, 클라임은 단일 원자 지름 단위로 발생한다.[1]

양의 클라임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원자가 반평면에서 제거되므로, 결정은 원자 추가 반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축한다. 음의 클라임은 반평면에 원자를 추가하므로, 결정은 반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성장한다. 따라서 반평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축 응력은 양의 클라임을 촉진하고, 인장 응력은 음의 클라임을 촉진한다. 이는 슬립과 클라임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인데, 슬립은 전단 응력에 의해서만 발생하기 때문이다.[1]

전위 슬립과 클라임의 또 다른 차이점은 온도 의존성이다. 클라임은 공공 이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저온보다 고온에서 훨씬 더 빠르게 발생한다. 반면에 슬립은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작다.[1]

6. 9. 전위 눈사태 (Dislocation Avalanches)

여러 전위가 동시에 이동하는 현상을 전위 눈사태라고 한다.[1]

6. 10. 전위 속도 (Dislocation Velocity)

전위 속도는 전단 응력과 온도에 크게 의존하며, 종종 다음과 같은 멱함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14]

::v = A\tau^m

여기서 A는 재료 상수, \tau는 가해진 전단 응력, m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상수이다. 전단 응력이 증가하면 전위 속도가 증가하는 반면, 온도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전위 속도가 감소한다. 높은 온도에서 더 큰 폰온 산란이 전위의 움직임을 늦추는 증가된 감쇠력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7. 전위의 상호 작용 및 배열

전위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재료 내에서 배열을 형성한다.

결정질 재료에 소성 굽힘을 가하면, 기하학적 필수 전위라고 불리는 전위 배열이 나타난다. 변형 초기에는 전위들이 얽혀 명확한 경계가 없는 형태로 나타나지만, 동적 회복 과정을 거치면서 15° 미만의 방위 차이를 갖는 저각 결정립계를 형성하며 세포 구조를 이룬다.

결정질 재료는 규칙적인 원자 배열, 즉 격자 평면으로 구성된다. 가장자리 전위는 이 격자 중간에 원자의 여분의 반평면이 삽입되어 주변 원자 평면을 왜곡시키는 결함이다. 충분한 힘이 가해지면, 이 여분의 평면이 원자 평면을 따라 이동하며 결합을 끊고 다시 연결하여 결정립 경계에 도달한다. 전위는 선 방향과 버거스 벡터라는 두 가지 속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선 방향은 여분의 반평면 아래 방향이며, 버거스 벡터는 격자 왜곡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낸다. 가장자리 전위에서 버거스 벡터는 선 방향에 수직이다.

가장자리 전위 주변의 응력은 복잡하고 비대칭적이며,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15]


  • \sigma_{xx} = \frac {-\mu \mathbf{b}} {2 \pi (1-\nu)} \frac {y(3x^2 +y^2)} {(x^2 +y^2)^2}
  • \sigma_{yy} = \frac {\mu \mathbf{b}} {2 \pi (1-\nu)} \frac {y(x^2 -y^2)} {(x^2 +y^2)^2}
  • \tau_{xy} = \frac {\mu \mathbf{b}} {2 \pi (1-\nu)} \frac {x(x^2 -y^2)} {(x^2 +y^2)^2}


여기서 \mu는 재료의 전단 탄성 계수, \mathbf{b}버거스 벡터, \nu푸아송 비, xy는 좌표이다.

이 방정식들은 전위 주변에 수직 방향으로 덤벨 형태의 응력이 발생함을 보여준다. "여분" 평면 근처의 원자는 압축 응력을, "누락" 평면 근처의 원자는 인장 응력을 받는다.[15]

합금 원소를 첨가하면 전위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핀 고정(pin point)이 생성될 수 있다. 핀 고정은 응력장을 유발하며, 전위가 움직이려면 더 큰 응력이 필요하므로 재료가 강화된다.[1]

재료에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면, 지속 슬립 밴드(PSB)라는 독특한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 PSB는 전위가 밀집된 영역과 전위가 거의 없는 영역이 번갈아 나타나는 사다리 형태의 구조이다.[11] PSB 벽은 주로 가장자리 전위로 구성되며, 벽 사이에서는 나사 전위에 의해 소성 변형이 전달된다. PSB가 재료 표면에 도달하면 돌출 및 침입부가 형성되고, 이곳에서 피로 균열이 시작될 수 있다.[12]

7. 1. 기하학적 필수 전위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s)

기하학적 필수 전위는 결정질 재료에서 제한된 정도의 소성 굽힘을 수용할 수 있는 전위의 배열이다. 전위의 얽힘은 변형의 초기 단계에서 발견되며, 잘 정의되지 않은 경계로 나타난다. 동적 회복 과정은 결국 15° 미만의 방위 차이를 갖는 경계(저각 결정립계)를 포함하는 세포 구조의 형성을 이끈다.

결정질 재료는 격자 평면으로 배열된 원자의 규칙적인 배열로 구성된다. 가장자리 전위는 결정 중간에 원자의 여분의 반평면이 도입되어 인접한 원자 평면을 왜곡하는 결함이다. 결정 구조의 한쪽에서 충분한 힘이 가해지면 이 여분의 평면이 원자 평면을 통과하여 결합을 끊고 연결하여 결정립 경계에 도달한다. 전위는 두 가지 속성, 즉 여분의 반평면 아래로 이어지는 방향인 선 방향과 격자에 대한 왜곡의 크기와 방향을 설명하는 버거스 벡터를 가진다. 가장자리 전위에서 버거스 벡터는 선 방향에 수직이다.

가장자리 전위로 인한 응력은 고유한 비대칭성으로 인해 복잡하다. 이러한 응력은 다음 세 가지 방정식으로 설명된다.[15]

  • \sigma_{xx} = \frac {-\mu \mathbf{b}} {2 \pi (1-\nu)} \frac {y(3x^2 +y^2)} {(x^2 +y^2)^2}
  • \sigma_{yy} = \frac {\mu \mathbf{b}} {2 \pi (1-\nu)} \frac {y(x^2 -y^2)} {(x^2 +y^2)^2}
  • \tau_{xy} = \frac {\mu \mathbf{b}} {2 \pi (1-\nu)} \frac {x(x^2 -y^2)} {(x^2 +y^2)^2}


여기서 \mu는 재료의 전단 탄성 계수, \mathbf{b}버거스 벡터, \nu푸아송 비이고, xy는 좌표이다.

이러한 방정식은 전위를 둘러싼 수직 방향의 덤벨 형태의 응력을 시사하며, "여분" 평면 근처의 원자는 압축을, "누락" 평면 근처의 원자는 인장을 경험한다.[15]

7. 2. 핀 고정 (Pinning)

합금 원소를 첨가하면 전위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핀 포인트(pin point)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응력장을 유발하며, 핀 고정 응력을 극복하고 전위의 움직임을 계속하려면 더 높은 응력이 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재료가 강화된다.[1]

7. 3. 지속 슬립 밴드 (Persistent Slip Bands, PSB)

재료에 반복적인 사이클링 하중이 가해지면, 비교적 전위가 없는 영역에 둘러싸인 전위들이 생성되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패턴은 ''지속 슬립 밴드(PSB)''라고 불리는 사다리 모양의 구조를 형성한다.[11] PSB는 표면을 연마하여 제거해도 사이클링이 계속되면 같은 위치에 다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PSB 벽은 주로 엣지 전위로 구성된다. 벽 사이에서는 스크류 전위에 의해 소성 변형이 전달된다.[11]

PSB가 표면에 닿는 곳에는 돌출부와 침입부가 형성되며, 반복적인 사이클 하중에서 피로 균열이 시작될 수 있다.[12]

8. 전위와 재료의 강도

1930년대에 오로완은 재료의 이론적 전단 강도를 다음과 같이 계산했다.

:\tau_m = \frac {G} {2 \pi}

여기서 ''G''는 전단 탄성 계수, τ''m''전단 강도이다.

금속의 전단 탄성 계수는 약 20GPa에서 150GPa이므로 이론적 전단 강도는 수~수십 GPa가 되는 반면, 실제 전단 강도는 0.5MPa에서 10MPa에 불과하다. 오로완 등은 금속의 전위 개념을 도입하여 금속 결정 강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이후 확립된 "파괴 역학"과 결합하여 재료 강도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전단에 의한 소성 변형을 전위의 운동으로 보고 전단 강도를 재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tau_m=\frac{2G}{1-\nu}\exp\left(-\frac{2\pi a}{(1-\nu)b}\right)[29]

여기서 ν 는 푸아송 비, ''b'' 는 버거스 벡터, ''a'' 는 슬립면의 원자간 거리이다. 이 τm 를 파이얼스-나바로 응력이라고 한다.

이동 가능한 전위의 움직임은 원자가 낮은 응력 수준에서 서로 미끄러지도록 하며, 이를 글라이드 또는 슬립이라고 한다. 전위의 움직임은 결정 내에 다른 원소의 존재에 의해 향상되거나 방해받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원소는 전위로 확산되어 코트렐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소로부터의 고정 및 이탈은 강철에서 관찰되는 일부 특이한 항복 거동을 설명한다. 수소와 전위의 상호 작용은 수소 취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전위의 수와 배열은 연성, 경도, 항복 강도와 같은 금속의 많은 특성을 나타낸다. 열처리, 합금 함량 및 냉간 가공은 전위 개체군의 수와 배열, 그리고 그들이 이동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하여 유용한 특성을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의 전위 시뮬레이션. 비결정 원자만 표시됨.

9. 전위 관찰 방법

전위를 관찰하는 방법에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


  • '''표면처리법''': 전위는 높은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표면을 부식시키면 주변보다 더 쉽게 부식되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 '''장식법''': 전위선을 따라 석출물을 생기게 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 '''TEM(투과전자현미경)''': 높은 전압으로 가속시킨 전자를 재료에 쏴서 투과된 전자선을 전자렌즈로 확대하여 관찰한다.
  • '''X-선 회절''': 재료에 X선을 쏘면 전위 주변의 격자 뒤틀림에 의해 회절이 일어나 전위가 관찰된다.[1]


이 외에도 전계 이온 현미경 및 원자 탐침 기술을 이용하여 원자 수준에서 전위를 관찰할 수도 있다.

9. 1. 표면 처리법

전위는 높은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표면을 부식시키면 주변보다 더 쉽게 부식되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금속 재료의 표면과 전위선이 교차하면 관련된 변형장으로 인해 해당 재료의 산성 에칭에 대한 상대적인 감수성이 국소적으로 증가하고 규칙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에칭 핏이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실리콘의 전위는 간섭 현미경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결정 방향은 전위와 관련된 에칭 핏의 모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료가 변형되고 반복적으로 재에칭되면 일련의 에칭 핏이 생성되어 해당 전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9. 2. 장식법

전위선을 따라 석출물을 생기게 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9. 3. 투과 전자 현미경 (TEM)

투과 전자 현미경은 높은 전압으로 가속시킨 전자를 재료에 쏴서 투과된 전자선을 전자렌즈로 확대하여 전위를 관찰하는 방법이다.[23] 재료의 미세 구조 내의 전위를 관찰하기 위해, 전자 빔이 투과될 수 있도록 얇은 박막을 준비한다. 전자 빔은 규칙적인 결정 격자 평면에 의해 회절되어 회절 패턴을 형성하며, 이 회절(및 두께 변화, 변형 변화 및 기타 메커니즘)에 의해 이미지에서 대비가 생성된다. 전위는 다른 국소적인 원자 구조를 가지며 변형장을 생성하므로 현미경의 전자가 다른 방식으로 산란될 것이다.

전위는 무작위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국소적인 원자 구조는 버거스 벡터에 의해 결정된다. 전위 이미징에서 TEM의 매우 유용한 응용 분야 중 하나는 버거스 벡터를 실험적으로 결정하는 능력이다. 버거스 벡터의 결정은 \vec{g} \cdot \vec{b} ("g dot b") 분석이라고 알려진 방법을 통해 수행된다.[24] TEM을 이용한 암시야 현미경을 수행할 때,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회절된 점이 선택된다. 해당 회절점을 담당하는 평면에 의해 회절된 전자만을 사용하여 이미지가 형성된다. 투과된 점으로부터 회절된 점까지의 회절 패턴의 벡터는 \vec{g} 벡터이다. 전위의 대비는 이 벡터와 버거스 벡터의 내적 (\vec{g} \cdot \vec{b})의 계수로 조정된다. 결과적으로, 버거스 벡터와 \vec{g} 벡터가 수직이면 전위로부터 신호가 없으며 전위는 이미지에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g 벡터를 가진 점으로부터 형성된 다른 암시야 이미지를 검사함으로써 버거스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9. 4. X-선 회절

재료에 X선을 쏘면 전위 주변의 격자 뒤틀림에 의해 회절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전위를 관찰할 수 있다.[1]

9. 5. 기타 방법

전위는 높은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표면을 부식시키면 주변보다 더 쉽게 부식되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금속 재료 표면에 전위선이 교차하면 관련된 변형장으로 인해 산성 에칭에 대한 감수성이 국소적으로 증가하고 규칙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에칭 핏이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실리콘의 전위는 간섭 현미경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결정 방향은 전위와 관련된 에칭 핏의 모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료가 변형되고 반복적으로 재에칭되면 일련의 에칭 핏이 생성되어 해당 전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전계 이온 현미경 및 원자 탐침 기술은 훨씬 더 높은 배율(일반적으로 300만 배 이상)을 제공하며 원자 수준에서 전위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표면 굴곡이 원자 단계 수준으로 분해될 수 있는 경우, 나선 전위는 독특한 나선형 특징으로 나타나며, 결정 성장의 중요한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표면 단계가 있는 경우, 원자가 결정에 더 쉽게 추가될 수 있으며, 나선 전위와 관련된 표면 단계는 아무리 많은 원자가 추가되어도 파괴되지 않는다.

9. 5. 1. 화학적 에칭

전위는 높은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표면을 부식시키면 주변보다 더 쉽게 부식되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금속 재료의 표면과 전위선이 교차하면 관련된 변형장으로 인해 해당 재료의 산성 에칭에 대한 상대적인 감수성이 국소적으로 증가하고 규칙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에칭 핏이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실리콘의 전위는 간섭 현미경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결정 방향은 전위와 관련된 에칭 핏의 모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료가 변형되고 반복적으로 재에칭되면 일련의 에칭 핏이 생성되어 해당 전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9. 5. 2. 전계 이온 현미경 (Field Ion Microscopy) 및 원자 탐침 (Atom Probe)

전계 이온 현미경 및 원자 탐침 기술은 훨씬 더 높은 배율(일반적으로 300만 배 이상)을 제공하며 원자 수준에서 전위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표면 굴곡이 원자 단계 수준으로 분해될 수 있는 경우, 나선 전위는 독특한 나선형 특징으로 나타나며, 결정 성장의 중요한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표면 단계가 있는 경우, 원자가 결정에 더 쉽게 추가될 수 있으며, 나선 전위와 관련된 표면 단계는 아무리 많은 원자가 추가되어도 파괴되지 않는다.

10. 전위의 힘

전위는 결정 격자에 가해지는 외부 응력에 의해 움직이며, 이는 전위선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내부 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피치-쾰러 방정식[25][26][27]을 사용하여 버거스 벡터(\(\mathbf{b}\)), 응력(\(\sigma\)), 방향 벡터(\(\mathbf{s}\))의 함수로 전위에 작용하는 단위 길이당 힘을 계산할 수 있다.

:\(\mathbf{f} = (\mathbf{b}\cdot \sigma)\times \mathbf{s}\)

전위의 단위 길이당 힘은 일반적인 응력 상태(\(\mathbf{F}\))와 방향 벡터(\(\mathbf{s}\))의 함수로도 표현 가능하다.

:\(\mathbf{f} = \mathbf{F} \times \mathbf{s} =

\begin{vmatrix}

\hat\imath & \hat\jmath & \hat k \\

F_x & F_y & F_z \\

s_x & s_y & s_z

\end{vmatrix}\)

여기서 응력장의 성분은 버거스 벡터, 수직 응력(\(\sigma\)), 전단 응력(\(\tau\))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begin{aligned}

F_x &= b_x\sigma_{xx} + b_y\tau_{xy} + b_z\tau_{xz} \\

F_y &= b_x\tau_{yx} + b_y\sigma_{yy} + b_z\tau_{yz} \\

F_z &= b_x\tau_{zx} + b_y\tau_{zy} + b_z\sigma_{zz}

\end{aligned}\)

10. 1. 전위에 작용하는 힘

결정 격자에 가해지는 외부 응력으로 인해 전위가 움직이는 것은 전위선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가상의 내부 힘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피치-쾰러 방정식[25][26][27]버거스 벡터, \(\mathbf{b}\), 응력, \(\sigma\), 그리고 방향 벡터, \(\mathbf{s}\)의 함수로 전위에 작용하는 단위 길이당 힘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mathbf{f} = (\mathbf{b}\cdot \sigma)\times \mathbf{s}\)

전위의 단위 길이당 힘은 일반적인 응력 상태, \(\mathbf{F}\), 그리고 방향 벡터, \(\mathbf{s}\)의 함수이다.

:\(\mathbf{f} = \mathbf{F} \times \mathbf{s} =

\begin{vmatrix}

\hat\imath & \hat\jmath & \hat k \\

F_x & F_y & F_z \\

s_x & s_y & s_z

\end{vmatrix}\)

응력장의 성분은 버거스 벡터, 수직 응력, \(\sigma\), 그리고 전단 응력, \(\tau\)로부터 얻을 수 있다.

:\(\begin{aligned}

F_x &= b_x\sigma_{xx} + b_y\tau_{xy} + b_z\tau_{xz} \\

F_y &= b_x\tau_{yx} + b_y\sigma_{yy} + b_z\tau_{yz} \\

F_z &= b_x\tau_{zx} + b_y\tau_{zy} + b_z\sigma_{zz}

\end{aligned}\)

10. 2. 전위 간의 힘

전위 간의 힘은 전위 상호작용 에너지 U_{\rm int}에서 유도될 수 있다. 한 전위의 응력장에서 다른 전위 변위를 생성하는, 선택된 축에 평행한 절단면을 변위시킴으로써 수행된 일이다. xy 방향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U_{\rm int} &= \int_{x}^{\infty} (b_x\tau_{xy} + b_y\sigma_{yy} + b_z\sigma_{zy})\, dx \\

U_{\rm int} &= \int_{y}^{\infty} (b_x\sigma_{xx} + b_y\tau_{yx} + b_z\sigma_{zx})\, dy

\end{aligned}

힘은 미분을 통해 구할 수 있다.

::\begin{aligned}

F_x &= - \frac{\partial U_{\rm int}}{\partial x} \\

F_y &= - \frac{\partial U_{\rm int}}{\partial y}

\end{aligned}

10. 3. 자유 표면 힘

전위는 변형 에너지 감소로 인해 자유 표면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가상 힘은 y영어 성분이 0인 나사 전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_x = b\tau_{zy} = -\frac{Gb^2}{4\pi d}

여기서 d영어는 x영어 방향의 자유 표면까지의 거리이다. y영어 = 0인 칼날 전위에 대한 힘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_x = b\tau_{xy} = -\frac{Gb^2}{4\pi (1 - \nu)d}

11. 2차원 (2D)에서의 전위

분할에 의한 전위 쌍의 분리 (빨간색 화살표). 2D에서 육각형 결정의 전위. 2D의 전위는 다섯 겹(녹색)과 일곱 겹(주황색)의 배위수를 갖는 결합된 쌍으로 구성된다.


2차원(2D)에서는 에지 전위만 존재하며, 이는 2D 결정의 용융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스크류 전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전위는 위상학적 점 결함으로, 육각형 결정을 무한대까지(또는 적어도 경계까지) 잘라내지 않고는 아핀 변환에 의해 고립되어 생성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반평행 버거스 벡터를 가진 쌍으로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전위가 열적으로 여기되면 결정의 이산 병진 순서가 파괴된다. 동시에, 전단 탄성률과 영률이 사라지는데, 이는 결정이 유체상으로 용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향 순서는 아직 파괴되지 않고 (한 방향으로 격자선으로 표시됨) 액정과 매우 유사한, 일반적으로 6배향성 디렉터 필드를 갖는 유체상이 발견된다. 이른바 육방정상(hexatic phase)은 여전히 배향 강성을 갖는다. 등방성 유체상은 전위가 고립된 다섯 겹 및 일곱 겹 분선(disclination)으로 분해될 때 나타난다.[22] 이 2단계 용융은 Kosterlitz-Thouless형의 두 가지 전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른바 Kosterlitz-Thouless-Halperin-Nelson-Young 이론(KTHNY 이론) 내에서 설명된다.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dislocations Butterworth-Heinemann
[2] 서적 Theory of Dislo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Dislocations in FCC materials https://www.slidesha[...] 2014-05-24
[4] 간행물 Sur l'équilibre des corps élastiques multiplement connexes https://eudml.org/do[...] 1907
[5] 논문 The Mechanism of Plastic Deformation of Crystals. Part I. Theoretical
[6] 서적 Mechanical Behaviors of Materials. Prentice Hall
[7] 논문 Quantitative observation of misfit dislocation arrays in low and high angle twist grain boundaries 1970-01-01
[8] 논문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udies of point defect clusters in fcc and bcc metals 1973-02-01
[9] 논문 Dislocation loops in irradiated iron 1965-05-01
[10] 논문 The collapse of defect cascades to dislocation loops https://digital.libr[...] 1987-06-01
[11] 서적 Fatigue of Materi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논문 Exudation of material from slip bands at the surface of fatigued crystals of an aluminium-copper alloy
[13] 서적 The physics of semiconductors : an introduction including nanophysics and applications Springer 2010
[14] 서적 Mechanical properties of engineered materials Marcel Dekker 2003
[15] 서적 Physical Metallurgy Principles PWS Publishing Company 1994
[16] 서적 Introduction to Materials Science for Engineers Pearson Prentice Hall
[17] 서적 Introduction to Materials Science for Engineers Pearson Prentice Hall
[18] 웹사이트 Defects in Crystals http://dtrinkle.mats[...] 2019-11-09
[19] 웹사이트 Reaction Forming a Stair-Rod Dislocation https://www.tf.uni-k[...] 2019-11-26
[20] 서적 Imperfections in crystalline soli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Waveland
[22] 논문 Melting of crystals in two dimensions http://nbn-resolving[...] 2010
[23] 논문 Imaging dislocation cores – the way forward 2006
[24] 서적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a textbook for materials science Springer 2008
[25] 논문 The Forces Exerted on Dislocations and the Stress Fields Produced by Them 1950-11-01
[26] 서적 Dislocation Dynamics and Plasticity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1
[27] 서적 Mechanical properties of engineered materials Marcel Dekker 2003
[28] 문서 駒井、p.20
[29] 문서 駒井、p.28
[30] 논문
[31] 서적 Introduction to Dislo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