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진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진은 본진 발생 전에 일어나는 지진을 의미하며, 본진으로 오인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큰 경우도 있다. 전진은 본진이 발생하기 수 분 전에서 수 일, 심지어 수 년 전에 발생하기도 하며, 모든 감지 가능한 중형 이상의 지진 중 40%, 규모 M7.0 이상의 모든 지진 중 70%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진 활동은 단층핵형성 과정의 준비 과정이나 단층 주변의 응력 완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지진 예측의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오경보 가능성이 높아 유용성은 낮다. 1960년 발디비아 지진,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등에서 전진 사례가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진의 종류 - 해구형 지진
    해구형 지진은 섭입대에서 판 경계면의 충상단층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지진으로,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하고 긴 시간 동안 강한 진동을 일으키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섭입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 지진의 종류 - 심발지진
    심발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200km를 초과하는 지진으로, 표면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실체파는 크게 느껴지며, 섭입하는 해양판의 움직임 등 여러 원인으로 판의 경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넓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지진이다.
  • 지진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진학 - 진앙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지표면의 지점을 의미하며, 지진파 분석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지진 규모 및 피해 예측에 활용한다.
전진 (지진)
지진
정의본진 발생 전에 발생하는, 규모가 더 작은 지진
관련 정보
영어Foreshock
일본어前震 (Zenshin, 젠신)
참고 자료진도 5약 이상을 관측한 현저한 지진이 전진이었던 사례에 대하여
지진 발생 확률과 전진 활동
전진의 특징

2. 발생

대부분의 지진은 갑자기 큰 본진이 발생하고 그 이후 여진이 발생하는 "본진-여진형" 지진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발생하는 지진의 규모가 다양하고 때로는 전진이 본진으로 혼동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동일본대진재를 일으킨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Mw9.1)은 본진 발생 이틀 전에 M7.3, 최대진도 5약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의 경우에는 규모 M6.5, 최대진도 7의 지진 발생 이틀 뒤에 M7.3, 최대진도 7의 지진이 발생했다.[26] 이 두 지진은 본진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본진'이라고 부르다가 나중에 본진이 발생한 후에는 전진이었다고 수정했다.

전진 활동은 감지 가능한 중형 이상 지진 중 40%,[27] 규모 M7.0 이상 지진 중 70%에서 보고되었다.[29] 전진은 본진이 일어나기 수 분 전에서 수 일 전에 일어나기도 한다. 극단적인 예로는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의 전진으로 기록된 2002년 수마트라 지진은 본진이 일어나기 2년 전에 일어났다.[28]

규모 M8.0 이상 일부 큰 지진은 전진 활동이 보이지 않는데,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전진 활동 없이 일어났다.[29]

전진 활동의 증가 여부는 개별 지진에 대해서는 정량화하기 어렵지만 여러 지진 발생 결과를 합쳐 유추할 수 있다. 이런 관측 결과 전진 이전 지진 발생 증가는 역멱법칙 형식을 따른다. 이는 전진으로 해당 지역의 응력이 변화해 본진이 발생하는 것이거나, 전진의 증가 자체가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응력 증가와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30]

3. 원리

많은 경우 전진은 단층핵형성 과정 이전 준비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이론이 있다.[27] 한 단층 파열 모델에 따르면 핵형성 과정이 매우 작은 지진에서 시작하여 더 큰 지진을 유발하고, 이 과정이 본진의 단층파열이 촉발될 때까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진이 발생한다. 하지만 일부 전진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진은 단층 주변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밝혀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진과 여진은 동일한 과정에 속한다. 이는 한 지진의 전진 비율과 여진 비율의 관계 연구를 통해 뒷받침된다.[31] 지진 촉발 과정(SOC 모델과 ETAS 유사 모델)에서는 단층 미끄러짐 과정에 있어 하중과정(핵형성 모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전진의 지진 예측 수단 가치에 대한 논쟁이 나왔는데 이는 '전진 가설'로도 알려져 있다.[32]

판구조 운동에 의한 탄성응력변형이 점차 축적되어 단층대의 암석에서 쪼개짐이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전체 부피가 늘어나 주위의 암석들로부터 미세 균열을 통해 지하수가 침투하여 불안정한 상황이 되므로 이때 작은 지진들의 횟수가 점차 늘어나게 되어 결국 큰 지진(본진)을 동반하게 된다.[33]

4. 지진 예측

한 지역의 지진 활동 증가는 지진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예시로 1975년 하이청 지진에서 급격한 지진 활동 증가를 증거로 사전에 사람들을 대피시킨 사례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진에는 '전진'이라고 볼 수 있는 특징적인 증거를 찾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미소지진은 큰 지진의 전진이 아니기 때문에 이 방법은 유용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오경보 가능성이 높다.[34] 다만 해상의 주향이동단층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어느 정도 반복되는 전진의 특성을 보여 지진 발생 확률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35]

과학적으로 전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수일에서 10일이 넘는 지진 활동 분석이 필요하며, 어떤 지진이 본진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진 발생 횟수의 감쇠와 그 분포를 알아야 한다.[26] 여진 횟수의 감쇠 정도는 통계적 모델인 수정 오모리 공식을 이용하지만, 지진 활동의 감쇠율이 매우 낮더라도 이것이 더 큰 본진의 징조가 아니라 군발지진일 가능성도 높다.[24] 즉 현대 과학으로는 군발지진과 전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24]

5. 주요 전진 사례

전진은 본진이 일어나기 수 분 전에서 수 일, 심지어는 수 년 전에도 발생할 수 있다.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의 전진으로 기록된 2002년 수마트라 지진은 본진 2년 전에 발생했다.[28]

다음은 주요 전진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

전진 날짜
(지연)
규모
(전진)
위치본진 날짜규모
(본진)
이름
1960년 5월 21일 (1일)7.9칠레1960년 5월 22일9.51960년 발디비아 지진
2002년 11월 2일 (2년)7.3인도네시아 수마트라2004년 12월 26일9.2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11년 3월 9일 (2일)7.3일본 미야기현2011년 3월 11일9.02011년 도호쿠 지진 및 쓰나미
2014년 3월 16일 (15일)6.7칠레 타라파카 주2014년 4월 1일8.22014년 이키케 지진
2019년 7월 4일 (1일)6.4미국 캘리포니아2019년 7월 5일7.12019년 리지크레스트 지진
2021년 3월 5일 (2시간)7.4뉴질랜드 케르마데크 제도2021년 3월 5일8.12021년 케르마데크 제도 지진



1960년 칠레 지진에서는 본진 약 33시간 전에 M8.2, 약 9시간 전에 M7.1과 M6.8, 약 15분 전에 M7.9의 전진이 발생했다.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서는 발생 2일 전인 3월 9일부터 M7.3(진도 5약)을 시작으로 지진이 다수 관측되었으나, 후에 이것들은 전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되었다.

5. 1. 대한민국 관련 주요 전진 사례

2016년 구마모토 지진(M7.3)의 경우, 본진 발생 28시간 전인 4월 14일에 M6.5(최대진도 7) 지진을 포함한 다수의 지진이 관측되었으나, 이후 전진으로 판명되었다.[21]

2024년 노토반도 지진(M7.6)에서는 본진 약 4분 전인 16시 6분경에 M5.7 지진이 발생, 이시카와현 스즈시에서 진도 5강을 관측하였다.

5. 2. 그 외 주요 전진 사례


  • 1891년 노비 지진의 경우, 본진 3일 전인 10월 25일에 이비강 하류에서 M6.0 지진이 관측되었는데, 이 지진 또한 전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에서는 본진 발생 전날에 전진이 4회 관측되었다. 그러나 모두 규모가 작았고(최대 M3.3), 이는 본진 발생 후에 판정된 것이다.[19][20]
  • 미야기현 북부 지진에서는 본진 7시간 전에 진도 6약의 지진이 관측되었는데, 이 지진도 전진이었다.
  • 솔로몬 제도 지진에서는 본진 약 2주 전부터 M6.0 이상의 지진이 7회, M5.0-5.9의 지진이 16회 발생하며 진원 주변에서 현저하게 지진 활동이 활발해졌다.
  •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에서는 본진 2분 전에 후쿠시마현 앞바다 깊이 57km를 진원으로 하는 M6.1 지진이 발생하여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와 후쿠시마현 소마시에서 진도 5약을 관측했다. 이 M6.1 지진이 본진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Earthquakes and Volcano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11-29
[2] 서적 Living on an Active Earth: Perspectives on Earthquake Scienc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0-11-29
[3] 논문 Rupture Properties of the Giant Sumatra Earthquake Imaged by Empirical Green's Function Analysis http://mahabghodss.n[...] 2010-11-29
[4] 서적 Microearthquake seismology and seismotectonics of South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1-29
[5] 서적 Seismicity patterns,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physical meaning Birkhäuser 2010-11-29
[6] 논문 A Common Origin for Aftershocks, Foreshocks, and Multiplets http://128.197.153.2[...] 2010-11-29
[7] 논문 The debate on the prognostic value of earthquake foreshocks: A meta-analysis 2014-02-14
[8] 웹사이트 Earthquake Prediction http://www.ess.washi[...] The Pacific Northwest Seismic Network 2004-09-16
[9] 논문 Foreshock sequences and short-term earthquake predictability on East Pacific Rise transform faults http://www.nature.co[...] 2010-11-29
[10] 논문 Active faulting in SW Bulgaria: possible surface rupture of the 1904 Struma earthquakes 2002
[11] 웹사이트 El Sismo del 20 de Octubre de 2006 http://www.igp.gob.p[...] IGP
[12] 웹사이트 Informe de sismo sensible http://www.sismologi[...] GUC
[13] 웹사이트 Magnitude 7.3 - NEAR THE EAST COAST OF HONSHU, JAPAN https://earthquake.u[...] USGS
[14] 웹사이트 Informe de sismo sensible http://www.sismologi[...] GUC
[15] 웹사이트 M 4.0 - 11km SW of Searles Valley, C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9-07-04
[16] 간행물 震度5弱を観測するなどの顕著な地震が前震であった事例について https://www.jma.go.j[...]
[17] 논문 前震と群発地震の識別に関する一調査 https://doi.org/10.4[...]
[18] 논문 前震活動に基づく中規模地震の発生確率 https://doi.org/10.4[...]
[19] 문서 阪神.淡路大震災を体験して、今後の地震についての考察 http://www.lib.kobe-[...]
[20] 문서 兵庫県南部地震の前震に現れた初期フェイズの普遍性 http://wwwsoc.nii.ac[...]
[21] 뉴스 16日未明の震度6強が「本震」 気象庁、14日は前震 https://www.nikkei.c[...] 2016-04-16
[22] 웹인용 전진과 본진, 여진 https://www.kma.go.k[...] 온라인 지진 체험관 2023-01-14
[23] 간행물 震度5弱を観測するなどの顕著な地震が前震であった事例について https://www.jma.go.j[...]
[24] 논문 前震と群発地震の識別に関する一調査 https://doi.org/10.4[...]
[25] 서적 Encyclopedia of Earthquakes and Volcano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11-29
[26] 논문 前震活動に基づく中規模地震の発生確率 https://doi.org/10.4[...]
[27] 서적 Living on an Active Earth: Perspectives on Earthquake Science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ies Press 2010-11-29
[28] 논문 Rupture Properties of the Giant Sumatra Earthquake Imaged by Empirical Green’s Function Analysis http://mahabghodss.n[...] 2010-11-29
[29] 서적 Microearthquake seismology and seismotectonics of South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1-29
[30] 서적 Seismicity patterns,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physical meaning Birkhäuser 2010-11-29
[31] 논문 A Common Origin for Aftershocks, Foreshocks, and Multiplets http://128.197.153.2[...] 2010-11-29
[32] 논문 The debate on the prognostic value of earthquake foreshocks: A meta-analysis 2014-02-14
[33] 서적 (일반인을 위한) 한반도 동남권 지진 : 경주지진 & 포항지진을 중심으로 http://library.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8-06-20
[34] 웹인용 Earthquake Prediction http://www.ess.washi[...] The Pacific Northwest Seismic Network 2004-09-16
[35] 논문 Foreshock sequences and short-term earthquake predictability on East Pacific Rise transform faults http://www.nature.co[...] 2010-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