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SU(2)의 유한 부분군을 통해 ADE 분류를 가지는 4차원 초켈러 다양체의 일종이다. 이 공간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며, 복소 아핀 대수다양체의 최소 분해를 통해 분류된다. A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기번스-호킹 구성을 통해 표현되며, 초켈러 몫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 개념은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순간자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에구치-핸슨 공간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피터 크론하이머에 의해 분류되었으며, 초끈 이론에서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 | |
---|---|
개요 | |
정의 | |
정의 | 리만 다양체(M,g)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면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영어: Asymptotically Locally Euclidean space, ALE space)이라고 한다. |
1. 완비성 | (M,g)는 완비 공간이다. |
2. 점근적 성질 | (M,g) 밖에는 콤팩트 집합 K⊂M이 존재하여 M∖K는 유한 개의 서로 소인 부분집합 U1,…,Uk로 분리되며, 각 Ui는 어떤 Γi⊂O(n)에 대한 몫공간 Rⁿ/Γi와 미분 동형이다. 여기서 Γi는 회전군 O(n)의 유한 부분군이며, Γi의 작용은 자유롭다. 또한, Ui 위의 좌표를 x라고 하면, 계량 텐서 g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
계량 텐서 꼴 | gij=δij+O(|x|−τ) |
계량 텐서 꼴 설명 | 여기서 τ>0은 상수이며, O는 점근 표기법이다. 즉, x가 무한대로 갈수록 g는 유클리드 공간의 계량 텐서와 같아진다. |
예 | |
예시 | "해석적 접속(영어: resolvent)이 주어진다. 이는 4차원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을 이룬다." "A_n-클라인 특이점(영어: Kleinian singularity)의 최소 해소는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을 이룬다." |
2. 정의
SU(2)의 유한 부분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매케이 화살집을 통해 ADE 분류를 갖는다.
4차원 초켈러 다양체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이라고 한다.[2][1]
- 어떤 콤팩트 집합 을 제외하면, 는 와 미분 동형이며, 적절한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 *
- *
- 여기서 는 의 원소의 L2 노름이며, 는 충분히 큰 임의의 상수이다.
3. 분류
SU(2)의 유한 부분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매케이 화살집을 통해 ADE 분류를 갖는다.) 그렇다면, 복소수 아핀 대수다양체
:
의 최소 분해
:
를 생각하자. 즉, 그 예외 인자 는 사영 직선들의 합집합이며, 특히 그 2차 특이 호몰로지는 (예외 인자를 구성하는 사영 직선들로 생성되므로) 유한 생성 자유 아벨 군이다.
:
여기서 은 을 구성하는 사영 직선의 수이다.
:
또한, 이 사영 직선 들의 교차 형식은 의 매케이 화살집의 카르탕 행렬의 -1배와 같다.[1]
이 경우, 의 2차 드람 코호몰로지류
:
가운데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인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에 어떤 표준적인 초켈러 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 개의 켈러 구조의 드람 코호몰로지류는 각각 이다.
또한, 반대로, 임의의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위와 같이 의 데이터로 결정된다.[2]
4. 구성
A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로 주어지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좌표
:
:
를 정의한다. 그렇다면, A''n''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의 계량은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
는 위의 1차 미분 형식 가운데
:
인 것이다.
인 경우는 평탄 공간과 같으며,[3] 인 경우는 에구치-핸슨 공간이다.[3] 즉, A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여러 개의 에구치-핸슨 공간들을 겹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초켈러 몫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4]
4. 1. 기번스-호킹 구성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로 주어지는 A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좌표:
:
를 정의한다. 그렇다면, A''n''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의 계량은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
는 위의 1차 미분 형식 가운데
:
인 것이다.
이 경우 인 경우는 평탄 공간과 같으며,[3] 인 경우는 에구치-핸슨 공간이다.[3] 즉, A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여러 개의 에구치-핸슨 공간들을 겹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2. 초켈러 몫 구성
초켈러 몫으로 구성될 수 있다.[4]5. 역사
이러한 공간들은 원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의 ‘순간자’로서 최초로 거론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자체를 제외하면) 에구치-핸슨 공간이다. 이후 1989년에 피터 크론하이머가 이들을 모두 분류하였다.[4][2]
6. 응용
초끈 이론에서 자주 등장한다.[5]
참조
[1]
저널
A survey of Einstein metrics on 4-manifolds
2009
[2]
저널
A Torelli‐type theorem for gravitational instantons
1989
[3]
저널
Gravitation, gauge theories and differential geometry
1980-12
[4]
저널
The construction of ALE spaces as hyper-Kähler quotients
1989
[5]
저널
Aspects of type ⅡB theory on ALE space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