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점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민어(Leiostomus xanthurus)는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한국에서는 홍민어(red drum)와 혼동되어 점성어로 불리기도 한다. 1802년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미국 연안에서 흔히 서식한다. 점민어는 몸이 깊고 옆으로 납작하며, 꼬리는 노란색을 띤다. 대서양 중서 및 서북 지역이 원산지이며, 미국 남부 연안에서 멕시코만 연안까지 분포한다. 잡식성으로 저생성무척추동물, 작은 갑각류 등을 먹고 살며, 가을에서 초겨울에 산란한다. 미국에서는 낚시 어업으로 이용되며, 어업 관리 계획을 통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어과 - 참조기
    참조기는 몸길이 30cm 정도의 황금색을 띤 바닷물고기로, 얕은 바다에 서식하며 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지만 굴비는 한국에서 고급 식재료로 여겨진다.
  • 민어과 - 민어 (어류)
    민어는 몸길이가 60-90cm인 어류로, 부레는 아교나 각궁 제작에 사용되며, 한국 서해와 남해, 동중국해에 분포하고 살은 흰색으로 담백하여 음식으로 활용된다.
  • 낚싯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낚싯고기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점민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점민어
점민어
학명Leiostomus xanthurus
명명자Lacépède, 1802
IUCN 보존 상태최소관심종(LC)
분포 지도점민어 분포 지도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류(Actinopterygii)
상목극기상목(Acanthopterygii)
(미분류)에우페르카리아류(eupercaria)
(미분류)
양쥐돔목(Acanthuriformes)
혹은 농어목(Perciformes)
민어과(Sciaenidae)현재 민어과의 상위 목(order)에 대한 분류가 분분하다. 기존에는 농어목(Perciformes)에 속하였으나, 최근엔 일부 학자들에 의하여 양쥐돔목(Acanthuriformes) 민어과로 분류된다. 따라서 현재 민어과는 농어목과 양쥐돔목이 속한 에우페르카리아류(eupercaria)에 속한 미분류목으로 잠정 분류된다.
점민어속(Leiostomus)
점민어 (L.xanthurus)

2. 분류 및 명칭

한국에서 흔히 점성어라 불리는 홍민어(''Sciaenops ocellatus'')는 점민어와 다른 어종이다. 그러나 점성어(홍민어)와 점민어는 모두 민어과(Sciaenidae)에 속하며, 몸에 점이 있는 특성(점성어: 꼬리지느러미 부근, 점민어: 아가미 부근) 때문에 두 어류의 명칭에 영향을 주었다. 점성어와 홍민어라는 이름이 뒤섞여 '점민어'로 불리게 되었고, 이것이 '점성어=점민어'로 잘못 통용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학계에서 '점민어'로 학명을 붙인 것은 미국 연안에 서식하는 'Spot'(''Leiostomus xanthurus'')이다.

점민어는 1802년 프랑스 박물학자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기준 산지는 캐롤라이나이다.[2] 라세페드는 이 종을 단일종 속인 ''Leiostomus''로 명명했다.[3] 이 속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아과 Sciaeninae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지만,[4] ''Fishes of the World'' 제5판에서는 Sciaenidae 내의 아과를 인정하지 않고 아칸투루스목에 포함시킨다.[5]

점민어의 속명인 ''Leiostomus''는 "매끄러운 입"을 의미하며, 이빨이 없는 아래턱을 가리킨다. 종명인 ''xanthurus''는 "노란 꼬리"를 의미하지만, 실제 꼬리가 노랗지 않아 ''Bairdiella chrysoura''(황점농어)와 혼동되었을 수 있다.[6]

2. 1. 분류

한국에서 흔히 점성어라 불리는 홍민어(red drum)는 학명이 ''Sciaenops ocellatus''로, 점민어와는 다른 어종이다. 그러나 점성어(홍민어)와 점민어는 모두 민어과(Sciaenidae)에 속하며, 몸에 점이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점성어: 꼬리지느러미 부근, 점민어: 아가미 부근) 이 때문에 두 어류의 명칭에도 영향을 주었다. 문제는 실상에서 점성어와 홍민어라는 이름이 뒤섞여서 '점민어'로 바뀌어 불리게 되었고, 이것이 관습적으로 '점성어=점민어'로 잘못 통용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학계에서 '점민어'라고 학명을 붙인 것은 미국 연안에서 흔히 서식하는 'Spot'(''Leiostomus xanthurus'')이다.

점민어는 1802년 프랑스 박물학자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에 의해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술되었으며, 기준 산지는 캐롤라이나로 지정되었다.[2] 라세페드는 이 새로운 종을 새로운 단일종 속인 ''Leiostomus''로 명명했다.[3] 이 속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아과 Sciaeninae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지만,[4] ''Fishes of the World'' 제5판에서는 Sciaenidae 내의 아과를 인정하지 않고, 이를 아칸투루스목에 포함시킨다.[5]

2. 2. 명칭

한국에서 흔히 점성어라 불리는 홍민어(red drum)는 학명이 *Sciaenops ocellatus*로, 점민어와는 다른 어종이다. 그러나 점성어(홍민어)와 점민어는 모두 민어과(Sciaenidae)에 속하며, 몸에 점이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점성어: 꼬리지느러미 부근, 점민어: 아가미 부근). 이 점이 두 어류의 명칭에도 영향을 주었다. 문제는 실상에서 점성어와 홍민어라는 이름이 뒤섞여 '점민어'로 바뀌어 불리게 되었고, 이것이 관습적으로 '점성어=점민어'로 잘못 통용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학계에서 '점민어'라고 학명을 붙인 것은 미국 연안에서 흔히 서식하는 'Spot'(*Leiostomus xanthurus*)이다.[6]

점민어의 속명인 *Leiostomus*는 "매끄러운 입"을 의미하며, 이는 이빨이 없는 아래턱을 가리킨다. 종명인 *xanthurus*는 "노란 꼬리"를 의미하지만, 꼬리가 노랗지 않다는 점에서 잘못된 이름이며, 이는 *Bairdiella chrysoura*(황점농어)와 혼동되었을 수 있다.[6]

3. 형태

점민어는 비교적 몸이 깊고 옆으로 납작하며 등이 굽어 있다.[7] 입은 거의 수평이며 작은 이빨 띠가 있다. 턱에는 수염이 없지만, 턱, 주둥이, 옆면, 앞쪽에 각각 5개의 구멍이 있다. 아가미 덮개 윗부분은 움푹 들어가 있고, 아가미 덮개 앞부분 가장자리는 매끄럽고 톱니 모양이 아니다. 등지느러미는 깊게 파여 있으며, 11개의 가시가 있는 앞쪽 가시 부분과 29~35개의 연조가 받쳐주는 뒤쪽 연조 부분으로 분리된다. 뒷지느러미에는 두 개의 가시와 12~13개의 연조가 있으며, 두 번째 가시는 첫 번째 연조 길이의 절반이다. 꼬리지느러미는 잘려져 있으며, 때로는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이다. 눈 아래와 머리 아래쪽을 제외하고는 큰 빗비늘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부분은 원린이다. 연조가 있는 등지느러미 기저부를 따라 비늘 줄이 한두 개 뻗어 있다.[8] 이 종은 최대 전장 36cm에 이르지만, 25cm가 더 일반적이다.[9] 몸 윗부분은 푸른 회색이고 아랫부분은 노란색 또는 금색을 띤다. 어린 물고기는 등에서 옆구리 중간까지 대각선으로 이어지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는데, 이 줄무늬는 물고기가 나이가 들면서 흐려진다. 아가미 덮개 윗부분 위 몸통에는 큰 검은 반점이 있다.[1]

4. 분포 및 서식

점민어는 대서양 중서 및 서북 지역이 원산지이다. 미국 남부 연안 메사추세츠주에서 멕시코 캄페체(Campeche)에 이르는 멕시코만 연안과 플로리다주 남부, 플로리다 키즈(Florida Keys), 혹은 코드 곶(Cape Cod) 부근에서 발견된다.[1]

보통 수심 6미터 이내에서 발견되지만, 최대 50미터 깊이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점민어는 염수, 특히 기수에서 주로 모래 및 펄질 해저 위에서 서식한다. 봄까지 강어귀와 만에서 살다가 산란을 위해 더 깊은 물로 이동한다. 여름에는 염도가 더 높은 물로 이동하고, 가을이 시작되어 물이 차가워지면 해안에서 멀어진다.[1]

5. 생태

점민어는 염수에서만 살며, 특히 모래나 진흙펄 위의 해수에 서식한다. 봄에는 강 하구나 만에서 살다가 깊은 물로 이주하여 산란한다. 여름에는 염도가 높은 해수로 이동하고 초가을에는 연안으로 옮겨 살다가 겨울을 난다.

잡식성이며, 저생성무척추동물, 작은 갑각류, 동식물의 유기분해물을 먹고 산다. 다모류, 벌레, 작은 물고기, 플랑크톤, 연체동물 등을 먹는다.[1]

가을에서 초겨울에 산란한다. 강 하구나 만에서 연안 심해로 이동하여 최대 170만 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체외수정되어서 해안으로 밀려간다. 새끼 단계에서는 따뜻한 연안 해수에서 자라며 겨울에는 해안과 만의 얕은 곳에서 서식한다.[1]

6. 인간과의 관계

점민어는 레크리에이션 낚시와 상업적 어업 모두에 매우 중요한 어종이다. 2021년 미국 남대서양 지역에서 점민어 총 어획량은 322ton이었으며, 이 중 71%는 레크리에이션 낚시로, 29%는 상업적 어업으로 잡혔다. 상업적 어획량의 64%는 버지니아주에서 이루어졌다.[10]

뉴저지주에서는 수산양식 프로젝트를 통해 점민어의 상업 생산 양식을 시도하고 있다.[16] 1991년 체서피크만 대서양 점민어 및 점민어 어업 관리 계획에 따라 미국에서 점민어는 보호 및 감시를 받고있다. 대서양 연안 해양 수산 위원회(Atlantic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의 1987년 어업 관리 계획은 새우잡이 어선에 혼획된 새끼 점민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5]

6. 1. 어업

미국에서는 여가나 상업용 낚시로 점민어가 자주 잡힌다. 미국은 1991년 체사피크만 대서양점민어 어업관리 계획(Chesapeake Bay Atlantic Croaker and Spot Fishery Management Plan of 1991)에 따라 점민어를 보호관리하고 있다. 대서양연해주 해양어업위원회(Atlantic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의 1987년 어업관리 계획은 새우잡이배에 함께 잡힌 새끼 점민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5]

뉴저지주에서는 수산양식 프로젝트를 통해 점민어의 상업 생산 양식을 시도하고 있다.[16] 점민어는 레크리에이션 낚시와 상업적 어업 모두에 매우 중요한 어종이다. 2021년 미국 남대서양 지역에서 점민어 총 어획량은 322ton이었으며, 이 중 71%는 레크리에이션 낚시로, 29%는 상업적 어업으로 잡혔다. 상업적 어획량의 64%는 버지니아주에서 이루어졌다.[10]

6. 2. 양식

뉴저지주에서는 수산양식 프로젝트를 통해 점민어의 상업 생산 양식을 시도하고 있다.[16] 1991년 체서피크만 대서양점민어 어업관리 계획에 따라 미국에서 점민어는 보호관리되고 있다. 대서양 연안 해양 수산 위원회(Atlantic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의 1987년 어업관리 계획은 새우잡이배에 혼획된 새끼 점민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5]

6. 3. 축제

노스캐롤라이나 스폿 축제는 9월 마지막 주말에 노스캐롤라이나주 햄프스턴에서 열린다.[11]

7. 보존

미국의 경우, 1991년 체사피크만 대서양점민어 어업관리 계획(Chesapeake Bay Atlantic Croaker and Spot Fishery Management Plan of 1991)에 따라 보호 및 관리되고 있다. 대서양 연안 해양 수산 위원회(Atlantic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의 1987년 어업관리 계획은 새우잡이배에 혼획된 새끼 점민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5]

뉴저지주에서는 수산양식 프로젝트를 통해 점민어의 상업적 생산 양식을 시도하고 있다.[16]

참조

[1] IUCN Leiostomus xanthurus 2020
[2] 속 2023-05-21
[3] 과 2023-05-21
[4] 학술지 Phylogeny of the family Sciaenidae, with notes on its Zoogeography (Teleostei, Peciformes) https://eprints.lib.[...]
[5]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6] 웹사이트 Series Eupercaria (Incertae sedis): Families Callanthidae, Centrogenyidae, Dinopercidae, Emmelichthyidae, Malacanthidae, Monodactylidae, Moronidae, Parascorpididae, Sciaenidae and Sillag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3-03-09
[7] 웹사이트 Leiostomus xanthurus Lacepède, 1802 https://irlspecies.o[...] Smithsonian Marine Station at Fort Pierce and the Indian River Lagoon National Estuary Program 2023-05-21
[8] 웹사이트 Species: Leiostomus xanthurus, Spot croaker, the Spot https://biogeodb.str[...] Smithsonian Tropical Research Institute 2023-05-21
[9] FishBase
[10] 웹사이트 Spot http://www.asmfc.org[...] Atlantic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 2023-05-21
[11] 웹사이트 North Carolina Spot Festival http://www.ncspotfes[...] 2008-12-04
[12] 문서
[13] 문서
[14] 웹인용 North Carolina Spot Festival http://www.ncspotfes[...] 2008-12-04
[15] 콘퍼런스 2010 Maryland FMP Report Section 3.Atlantic croaker (Micropogonias undulates) and Spot (Leiostomus xanthurus) http://www.dnr.state[...] 2011-07
[16] webarchive Opportunities & Potential for Aquaculture in New Jersey: An Update of the Aquaculture Development Plan https://web.archive.[...] New Jersey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