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끝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끝별은 1964년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 평론가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추계예술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1988년 시 "칼레의 바다"로 등단했으며, 시집 《자작나무 내 인생》, 《흰책》, 《삼천갑자 복사빛》 등을 출간했다. 평론집 《패러디 시학》,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등을 통해 문학 이론을 제시하고, 2004년 유심상, 2008년 소월시문학상, 2021년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시 출신 - 나창주
나창주는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및 부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으로, 국토통일원 연구관, 제1무임소 장관실 정책조정실장, 외무부 외교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과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후 선거에서는 낙선하였다. - 나주시 출신 - 이돈명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변호사, 인권 운동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한 이돈명은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으며 주요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변호사의 대부'로 불렸고, 권위주의 정권에 맞선 변론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김정례
김정례는 대한민국 제1세대 여성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여성단체 창립 및 국회의원, 보건사회부 장관, 정당 상임고문 등을 역임하며 여성계와 정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여성 정치 진출에 기여했다. -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정끝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끝별 |
출생 | 1964년 |
출생지 | 전라남도 나주시 |
직업 | 시인, 수필가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
등단 | 1988년 |
등단작 | 《칼레의 바다》 |
작품 활동 | |
시집 | 『자작나무 내 인생』 『흰 책』 『삼천갑자 복사빛』 『와락』 『은는이가』 『봄이고 첨이고 덤입니다』 『모래는 뭐래』 |
평론집 | 『패러디 시학』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오룩의 노래』 『파이의 시학』 『시심전심』 『시론』 |
산문집 | 『여운』 『그리운 건 언제나 문득 온다』 『시가 말을 걸어요』 『행복』 『밥』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 『세계의 명시』 |
2. 생애
정끝별은 1964년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났다. 1983년 명지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에 입학하여 1987년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1989년과 1994년 같은 대학교에서 각각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
정끝별은 1988년 시 "칼레의 바다"가 문예지 《월간 문학사상》에 당선되며 등단했다.[10][11] 1989년에는 평론 "서늘한 패로디스트의 절망과 모색"으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12][13]
정끝별은 2004년 유심상(만해사상실천선양회)을 수상하였다. 2008년에는 〈크나큰 잠〉으로 제23회 소월시문학상 대상을 수상하였고, 2021년에는 제22회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하였다.
2002년부터 이화 국어국문학회 연구원, 추계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겸임교수, 모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열린사이버대학교 실용언어문학과 조교수로 재직했다. 2004년 만해사상실천선양회로부터 유심상을 수상했다. 2008년에는 시 "크나큰 잠"으로 소월시문학상을 수상했다.[6]
2014년 이화여자대학교와 명지대학교에서 국어와 국문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현재도 두 학교에서 재직하고 있다.[7][8] 2015년 동아시아 문학 포럼에 참여했다.[9]
3. 작품 활동
첫 시집 《자작나무 내 인생》(1996)은 평론가와 동료 작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14][15] 이후 《흰책》(2000),[16][17] 《삼천갑자 복사빛》(2005), 《와락》(2008), 《은는이가》(2014) 등의 시집을 출간했다. 평론집으로는 《패러디 시학》(1997)을 통해 패러디 이론을 체계적으로 논하고 현대 한국 시의 맥락에서 분석했으며,[18] 수필집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1999)에서는 문학 비평에 대한 열린 접근 방식과 시의 무한한 언어적 가능성을 제시했다.[19]
그녀의 시는 풍부한 이미지와 언어 사용으로 유명하며,[20] 특히 자연 묘사, 언어적 창의성, 시적 장치 활용 면에서 두드러진다는 평가를 받는다.[21][22] 한국어의 언어적 세부 사항을 탐구하며, 시집 《은는이가》(2014)는 한국어의 주요 네 가지 주격 조사(은, 는, 이, 가)를 활용한 실험적인 시도를 보여준다.
4. 수상 내역
5. 저서
5. 1. 시집
정끝별 시인은 《자작나무 내 인생》(1996), 《흰책》(2000), 《삼천갑자 복사빛》(2005), 《와락》(2008), 《은는이가》(2014) 등의 시집을 발표했다.
5. 2. 평론집
정끝별은 《패러디 시학》(1997),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1999), 《파이의 시학》(2010) 등의 평론집을 출간했다.
참조
[1]
문서
[2]
블로그
정끝별 시 50편 모음
https://blog.naver.c[...]
[3]
뉴스
"Hot Release: ''The Poetics of Parody'' by Jeong Kkeutbyeol"
국민일보
1997-07-08
[4]
뉴스
정끝별
http://terms.naver.c[...]
2017-08-24
[5]
웹사이트
Jung Kkeutbyeol(정끝별)
https://library.ltik[...]
2022-07-17
[6]
웹사이트
작가&작품-정끝별
https://www.kyoboboo[...]
2022-07-17
[7]
웹사이트
정끝별(鄭끝별) 교수 - 국어국문학과/호크마교양대학
http://www.ewha.ac.k[...]
2022-07-17
[8]
웹사이트
정끝별 ::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
2017-08-24
[9]
뉴스
무기연기 '중한일 동아시아문학포럼' 5년만에 다시 개최
http://news1.kr/arti[...]
뉴스1
2017-08-24
[10]
뉴스
"Jeong Kkeutbyeol's Featured Essay on 'Destroying Genre...' in the September Issue of ''Monthly Literature and Thought''"
국민일보
1997-09-12
[11]
문서
"Young Poets Pursuing the Privacy of Existence: [[Na Huideok]], Heo Hyejeong, Jeong Kkeutbyeol, Kim Suyeong, Yi Sunyeong"
현대시
1996-09
[12]
뉴스
"Jeong Kkeutbyeol's Poetry Collection, ''White Book''"
한겨레
1999-08-19
[13]
뉴스
"Poets Earning Doctorates One After Another: Yi Seungha, Jeong Kkeutbyeol, Maeng Munjae Say They're 'Honored'"
대한매일
1997-07-08
[14]
뉴스
"Jeong Kkeutbyeol's First Poetry Collection, ''My Life, a Birch Tree'', Published"
국민일보
1996-02-27
[15]
문서
"Self-Portrait of a Forest: ''My Life, a Birch Tree'' by Jeong Kkeutbyeol"
현대시학
1996-07
[16]
문서
"How To Contemplate the World: ''White Book'' by Jeong Kkeutbyeol"
문학사상
2000-10
[17]
뉴스
"Jeong Kkeutbyeol's Second Poetry Collection, ''White Book''"
조선일보
2000-06-10
[18]
뉴스
"'Alumni Hwang Dogyeong's and Jeong Kkeutbyeol's Different 'Styles of Criticism'"
한겨레
1999-04-27
[19]
문서
"'Jeong Kkeutbyeol' in ''Dictionary of Korean Women Writers'', quoted in ''Naver Encyclopedia''"
2006-11-28
[20]
뉴스
정끝별
http://terms.naver.c[...]
2017-08-24
[21]
뉴스
와락
http://book.naver.co[...]
2017-08-24
[22]
뉴스
은는이가
http://book.naver.co[...]
2017-08-24
[23]
뉴스
"Jeong Kkeutbyeol's Second Poetry Collection Released: 'Poetry That Sounds Like a Song'"
경향신문
2000-06-17
[24]
뉴스
"Jeong Kkeutbyeol's Second Poetry Collection, ''White Book'', Released"
세계일보
2000-06-21
[25]
웹사이트
Jung Kkeutbyeol
http://library.ltiko[...]
[26]
웹사이트
A Galaxy of Whale Poems
http://library.ltiko[...]
[27]
웹인용
Jung Kkeutbyeol(정끝별)
https://library.ltik[...]
2022-07-17
[28]
뉴스인용
정끝별
http://terms.naver.c[...]
2017-08-24
[29]
블로그
정끝별 시 50편 모음
https://blog.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