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미의 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미의 난은 587년 소가노 우마코가 모노노베노 모리야를 토벌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다. 소가 씨는 킨메이 천황 시대부터 권력을 잡았으나 불교 수용을 두고 모노노베 씨와 갈등을 겪었다. 요메이 천황 사후, 황위 계승을 둘러싸고 소가 씨와 모노노베 씨의 갈등이 격화되었고, 소가노 우마코는 스이코 천황의 지원을 받아 군사를 일으켰다. 전투에서 소가 씨가 승리하면서 모노노베 씨는 몰락하고, 소가 씨는 권력을 강화하며 불교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슌 천황 - 소가노 우마코
    소가노 우마코는 아스카 시대의 호족으로, 왕실 외척으로서 권력을 휘두르고 불교 장려와 중앙 집권 체제 강화에 기여했으며, 스슌 천황 암살과 스이코 천황 옹립, 쇼토쿠 태자와의 협력을 통해 아스카 시대 정치적 격변을 이끌었다.
  • 가와치국 - 지하야성
    지하야성은 가마쿠라 시대에 구스노키 마사시게가 축조한 산성으로, 1333년 막부군의 공격을 100일간 방어하며 겐무 신정 이후 남조 측의 거성이 되었으나 1392년 함락되었고, 현재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미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 명칭소가-모노노베 분쟁
일본어 명칭丁未の乱 (테이비 노 란)
로마자 표기Teibi no ran
의미정미의 난 (丁未の乱)
시기552년 – 587년
장소일본
원인불교 수용 문제로 인한 소가 씨와 모노노베 씨의 대립
영토 변화없음
결과소가 씨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1소가 씨
교전 2모노노베 씨
지휘관 및 지도자
소가 씨소가노 우마코
모노노베 씨모노노베노 모리야
도토모리베노 요로즈
전력
소가 씨모노노베 씨보다 더 많은 수
모노노베 씨알 수 없음
주요 전투 (정미의 난)
시기요메이 천황 2년 (587년) 7월
장소가와치 국 시부카와 군
결과소가 군의 승리
정미의 난 참전 지휘관 (소가 군)
주요 인물소가노 우마코
황족우마야도 황자
하츠세베 황자
다케다 황자
나니와 황자
가스가 황자
기타 인물도미노 아카시오
가시와데노 게이다후
고세노 히라오
기노 오마로
헤구리노 가미테
사카모토노 누카테
오토모노 사쿠
가쓰라기노 가라스나라
아베노 히토시
정미의 난 참전 지휘관 (모노노베 군)
주요 인물모노노베노 모리야
기타 인물도리베노 만
사쿠라이타베노 이와쓰누
모노노베노 야사카
오이치노 미야쓰코 오사카베
누리베노 미야쓰코 아네
피해 규모
소가 군피해 없음
모노노베 군괴멸

2. 배경

킨메이 천황 치세에 소노 이나메가 황실 최초로 오미 칭호를 받으면서 소 씨 가문이 두각을 나타냈다. 이나메는 자신의 딸들을 킨메이 천황에게 시집보냈으나, 킨메이 천황의 소 씨 가문 출신이 아닌 아들인 비다쓰 천황이 황위 계승자로 선정되기 전에 사망했다. 비다쓰 천황의 첫 번째 황후는 소 씨 가문 출신이 아니었지만, 두 번째 황후(훗날의 스이코 천황)는 소 씨 가문 출신이었다. 비다쓰 천황 사후, 오시사카 황자(비다쓰 천황과 첫 번째 황후의 아들), 다케다 황자(비다쓰 천황과 두 번째 황후의 아들), 아나호베 황자(킨메이 천황과 소노 키타시히메의 아들) 지지자들 사이에 황위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 오시사카 황자는 비다쓰 천황에 의해 황태자로 지명되어 모노노베 씨의 지지를 받았고, 소가노 우마코 휘하의 소 씨 가문은 아나호베 황자를 지지했다. 오무라지 모노노베노 모리야와 오미 소노 우마코가 비다쓰 천황의 임시 매장식에서 서로 모욕을 주고받은 후, 계승 다툼은 폭력 사태로 번졌다. 결국 소 씨 가문이 승리하여 아나호베 황자가 요메이 천황으로 즉위했다.[2]

소노 우마코는 요메이 천황 치세에도 계속 오미로 활동했으며, 요메이 천황의 부인은 소 씨 가문의 또 다른 일원이었고, 이 사이에서 쇼토쿠 태자를 포함한 네 아들이 태어났다. 요메이 천황 사후 계승 위기 동안 소 씨와 모노노베 씨 간의 갈등이 재발했고, 소 씨는 시기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황실 내 가문의 영향력을 공고히 했다.

2. 1. 권력 투쟁과 종교 갈등

긴메이 천황 시대에 소가노 이나메가 대신(大臣, 오오미)에 임명되면서 소가 씨가 권력의 중심에 등장했다. 소가 씨는 한반도에서 전래된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반면, 군사권을 담당하던 모노노베 씨는 전통 신앙을 고수하며 소가 씨와 대립했다. 비다쓰 천황 사후, 황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었다. 소가 씨는 아나호베 황자를, 모노노베 씨는 오시사카 황자를 지지하며 대립했다. 이 과정에서 소가노 우마코와 모노노베노 모리야는 서로를 모욕하며 갈등을 심화시켰다.[2] 요메이 천황 즉위 후에도 소가 씨와 모노노베 씨의 갈등은 계속되었고, 요메이 천황 사후 황위 계승 분쟁이 재발하며 정미의 난으로 이어졌다.

2. 2. 한반도와의 관계

당시 한반도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정립하여 치열하게 경쟁하던 시기였다. 백제일본에 불교를 전파하며 동맹 관계를 강화하고자 했고, 소가 씨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모노노베 씨는 백제와의 관계가 소가 씨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원했으며, 신라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소가 씨와 모노노베 씨의 대립 구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3. 정미의 난 발발

587년 7월, 소가노 우마코는 모노노베노 모리야 토벌을 결심하고, 우마야도 황자, 하쓰세베 황자, 다케다 황자 등 황족과 호족들의 군사를 이끌고 모리야의 저택으로 진군했다. 야마토국에서 가와치국으로 들어온 소가 군은 에카가와 강가에서 모노노베 군과 교전했고, 양측 합쳐 전사자가 수백 명에 달했다.[14]

모리야는 일족을 모아 이나기를 쌓고 방어했다. 모노노베 씨의 군세는 강력했고, 모리야는 나무 위에 올라가 화살을 비처럼 쏘아댔다. 토벌군은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우마야도 황자는 불교의 가호를 얻고자 사천왕 상을 만들고 승리하면 불탑을 세워 불법을 널리 알리겠다고 맹세했다. 우마코는 군대를 재정비하여 진군시켰다.[14]

토미노 아카타케가 모리야를 쏘아 죽이자, 총대장을 잃은 모노노베 군은 궤멸되었다. 토벌군은 모리야의 일족을 몰살시켰다.[14] 살아남은 모노노베 씨 일족은 이름을 바꾸거나 행방불명되었다.[14]

야오시 미나미타이시도에는 토미노 아카타케가 모노노베 모리야를 쏜 화살을 묻었다고 전해지는 카부라야즈카와 그 남서쪽에 활을 묻었다고 전해지는 유미시로즈카가 있다.[14][15]

3. 1. 소가노 우마코의 결단

587년 7월, 소가노 우마코는 여러 신하들과 모의하여, 모노노베노 모리야 토벌군의 파견을 결정했다. 우마코는 비다쓰 천황의 비였던 누카타베 황녀의 윤허를 받아 모리야가 지원하던 아나호베 황자를 주살하고, 우마야도 황자[16], 하쓰세베 황자[17], 다케다 황자[18] 등 황족과 여러 호족들의 군병을 이끌고 가와치국 시부카와군에 있는 모리야의 저택으로 진군했다.

3. 2. 전투의 전개

소가 군은 에가노 강(일본어: 荏胡川|에가노카와일본어)에서 모노노베 군과 격돌했다.[2] 초기 전투에서 모노노베 군은 이나키(稲城)라는 볏짚 요새를 쌓고 강력하게 저항했다.[3] 모리야는 직접 나무 위에 올라가 화살을 쏘며 분전했으나,[2] 토미노 이치이(일본어: 迹見赤檮)가 쏜 화살에 맞아 전사했다.[2] 총대장을 잃은 모노노베 군은 궤멸되었고, 소가 군은 승리했다. 살아남은 모노노베 씨 일족은 뿔뿔이 흩어졌다.[6][7][8]

4. 정미의 난 이후

587년 정미의 난에서 승리한 소가 씨는 정적 모노노베 씨를 제거하고 권력을 확고히 했다. 우마야도 황자와의 협력을 통해 권세를 강화했으며, 불교 도입을 둘러싼 숭불파와 폐불파의 다툼에서 모노노베 씨를 중심으로 한 폐불파의 발언력이 쇠퇴하고 불교의 국내 침투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19]

모노노베 씨의 영지와 노예는 양분되어 절반은 소가노 우마코의 것이 되었다. 우마코의 아내가 모리야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모노노베 씨의 상속권이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나머지 절반은 시텐노지(四天王寺)에 기부되었다.

정미의 난 이후, 모노노베노 모리야의 자손 273명이 시텐노지의 노비가 되었다는 통설은 시텐노지 어수인의 연기(四天王寺御手印縁起)에 근거한다. 駆摂守屋子孫従類二百七十三人。為寺永奴婢。|구섭수옥자손종류이백칠십삼인。위사영노비。일본어

쇼토쿠 태자 전력(伝暦), 어기(御記), 태자물(太子物), 고금물어, 부상략기, 겐코 샤쿠쇼 등에서는 자손 연자(縁者)가 노비가 되었다는 설을 받아들였다. 반면, 일본 서기에서는 노(奴, 노예 등의 사용인. 노국, 왜노 등에도 사용된 멸칭)라는 기술만 있기 때문에, 후세의 각색이라는 진노 세이이치의 이설이 있지만, 일본 서기에 각색이 들어갈 가능성은 상정하지 않았다. 平乱之後、於摂津国、造四天王寺。分大連奴半与宅、為大寺奴田荘|평란지후、어섭진국、조사천왕사。분대련노반여택、위대사노전장일본어

쇼토쿠 태자 전력에서는 "자손 자재"라고 하고 있다. 통설에 따르면, 정미의 난에서 모노노베 씨의 자손이 끊이지 않고 노비로 전락하여 살아남았기 때문에 미화된 전설이 아닌 노비로서 기록에 남았다고 한다.

4. 1. 소가 씨의 권력 강화

587년 정미의 난에서 승리한 소가 씨는 정적 모노노베 씨를 제거하고 권력을 확고히 했다. 우마야도 황자와의 협력을 통해 더욱 권세를 강화해 나갔다.[19] 또한, 불교 도입을 둘러싼 숭불파와 폐불파의 세력 다툼에서도, 모노노베 씨를 중심으로 했던 폐불파의 발언력이 급격히 쇠퇴하고, 불교의 국내 침투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모노노베 씨의 영지와 노예는 양분되어 절반은 소가노 우마코의 것이 되었다. 우마코의 아내가 모리야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모노노베 씨의 상속권이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나머지 절반은 시텐노지(四天王寺)에 기부되었다.

4. 2. 불교의 확산

소가 씨는 2대에 걸쳐 대립해 온 숙적 모노노베 씨의 세력을 중앙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데 성공하고, 우마야도 황자와 연계하여 더욱 권세를 강화해 나갔다. 또한, 모노노베노 모리야를 중심으로 했던 배불파의 발언력이 급격히 쇠퇴하고, 불교의 국내 침투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19] 이 무렵, 우마야도 황자는 셋쓰국시텐노지를 건립했다. 모노노베 씨의 영지는 양분되어 절반은 우마코의 것이 되었다. 우마코의 아내가 모리야의 여동생이었고 상속권이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나머지 절반은 시텐노지에 기증되었다.

정미의 난 이후, 모노노베노 모리야의 자손 273명이 시텐노지의 노비가 되었다는 통설은, 시텐노지 어수인의 연기(四天王寺御手印縁起)에 근거하고 있다.

駆摂守屋子孫従類二百七十三人。為寺永奴婢。|구섭수옥자손종류이백칠십삼인。위사영노비。일본어

쇼토쿠 태자 전력(伝暦), 어기(御記), 태자물(太子物), 고금물어, 부상략기, 겐코 샤쿠쇼 등에서는 자손 연자(縁者)가 노비가 되었다는 설을 받아들였다. 반면, 일본 서기에서는 노(奴, 노예 등의 사용인. 노국, 왜노 등에도 사용된 멸칭)라는 기술만 있기 때문에, 후세의 각색이라는 진노 세이이치의 이설이 있지만, 일본 서기에 각색이 들어갈 가능성은 상정하지 않았다.

平乱之後、於摂津国、造四天王寺。分大連奴半与宅、為大寺奴田荘|평란지후、어섭진국、조사천왕사。분대련노반여택、위대사노전장일본어

쇼토쿠 태자 전력에서는 "자손 자재"라고 하고 있다. 통설에 따르면, 정미의 난에서 모노노베 씨의 자손이 끊이지 않고 노비로 전락하여 살아남았기 때문에 미화된 전설이 아닌 노비로서 기록에 남았다고 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ume 1: Ancient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仏教の勝利 Shogakkan
[3] 서적 Dictionary of Architecture Isha Books
[4] 서적 The Prince and the Monk: Shōtoku worship in Shinran's Buddhism Shogakkan
[5] 서적 Practically Religious: Worldly Benefits and the Common Religion of Japan University of Hawaiì Press
[6]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https://books.google[...]
[7] 서적 Himiko and Japan's Elusive Chiefdom of Yamatai: Archaeology, Histor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서적 Shotoku: Ethnicity, Ritual, and Violence in the Japanese Buddhist Tra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総合佛教大辞典 Hozokan
[10] 서적 平安時代史事典 Kadokawa Shoten
[11] 간행물 The Fujinoki Sarcophagus Sophia University 1989-Winter
[12]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13] 서적 Nichiren: Leader of Buddhist Reformation in Japan https://books.google[...] Jain Publishing Company
[14] 웹사이트 鏑矢塚 http://www.yaomania.[...] 八尾市観光データベース 2020-05-27
[15] 웹사이트 弓代塚 http://www.yaomania.[...] 八尾市観光データベース 2020-05-27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