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194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세현은 1945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대학 총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토통일원 연구관, 통일부 차관, 통일부 장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모택동의 국제정치사상》, 《담대한 여정》 등이 있으며, 청조근정훈장과 한겨레통일문화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통일부 차관 - 김기웅 (1961년)
김기웅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통일부 차관을 역임한 국민의힘 소속 제22대 국회의원이다. - 창원 정씨 - 정재석
정재석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출신으로 건설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상공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고 신한국당 당무위원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정당인이다. - 창원 정씨 - 정경희
정경희는 서울대학교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양사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수행하다 미래통합당에서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제21대 국회의원(비례대표)을 역임하며 교육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 간사,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등을 지낸 정치인으로, 현재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자무쓰시 출신 - 우다징
우다징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쇼트트랙 선수로,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입상했다. - 자무쓰시 출신 - 류웨이핑
류웨이핑은 항공 산업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관료로 활동하며 난창시 시장, 칭하이성 부성장, 간쑤성 성장을 역임하고 중국과학원 부원장을 지낸 중국의 정치인이다.
정세현 (194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책 | 국가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임기 시작 | 2019년 9월 2일 |
직책 1 | 통일부 장관 |
대통령 1 | 김대중 노무현 |
전임자 1 | 홍순영 |
임기 시작 1 | 2002년 1월 29일 |
임기 종료 1 | 2004년 6월 30일 |
후임자 1 | 정동영 |
종교 | 원불교 |
전임자 | 김덕룡 |
대통령 | 문재인 |
후임자 | 이석현 |
임기 종료 | 2021년 8월 31일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45년 5월 7일 (79세) |
출생지 | 만주국 (현재 중국 헤이룽장성) |
본관 | 창원(昌原)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 박사 |
종교 | 원불교 |
경력 | |
기타 정보 |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서훈 | 2002년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 |
호 | 우석(雨石) |
2. 학력
- 전주초등학교 졸업
- 경기중학교 졸업
- 경기고등학교 졸업
- 1971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학위 취득
- 197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국제정치 석사 학위 취득
- 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국제정치 박사 학위 취득
3. 경력
연도 | 직책 |
---|---|
1971년 |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조교 |
1977년 11월 | 국토통일원 공산권연구관실 연구관[9] |
1986년 2월 | 국토통일원 대화운영부장 |
1986년 3월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1990년 3월 | 세종연구소 기획조정실 실장 |
1991년 4월 ~ 1993년 4월 | 민족통일연구원 부원장 |
1993년 5월 ~ 1996년 12월 | 대통령비서실 통일 비서관 |
1996년 12월 | 제3대 민족통일연구원 원장 |
1998년 3월 | 제4대 민족통일연구원 원장 |
1998년 3월 ~ 1999년 5월 | 제11대 통일부 차관 |
2001년 4월 |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
2001년 5월 ~ 2002년 1월 | 국가정보원장 특별보좌관(통일)[10] |
2002년 1월 ~ 2003년 2월 | 제29대 통일부 장관 |
2003년 2월 ~ 2004년 6월 | 제30대 통일부 장관[7] |
2004년 9월 ~ 2007년 8월 |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
2004년 9월 ~ 2010년 2월 |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
2004년 10월 ~ | 평화협력원 이사장 |
2005년 2월 ~ 2009년 3월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
2006년 7월 ~ | 김대중평화센터 부이사장[11] |
2010년 12월 ~ 2014년 12월 | 제11대 원광대학교 총장[12] |
2015년 10월 ~ 2017년 9월 | 한반도평화포럼 상임공동대표[13]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 |
2017년 9월 |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
2018년 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 |
2019년 9월 ~ 2021년 9월 | 제18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부총리 급) |
2020년 11월 ~ | 제2대 사단법인 한국통일협회 회장 |
4. 저서
- 《모택동의 국제정치사상》. 형성사. 1984년.
- 《한국 통일문제의 현주소》(공저) 강광식, 이영일, 전현준 외 9명. 늘품플러스. 2009년.
- 《정세현의 정세토크》. 서해문집. 2010년.
- 《광장에서 길을 묻다》(공저). 동녘. 2011년.
- 《정세현의 통일토크》. 서해문집. 2013년.
- 《정세현의 외교토크》. 서해문집. 2016년.
- 《담대한 여정》. 메디치미디어. 2018년 8월 30일.
- 정세현, 송민순, 이종석, 김준형, 김동엽, 박영자. 《한반도 특강》. 창비. 2018년 10월 10일.
- 정세현, 황재옥, 정청래. 《정세현 정청래와 함께 평양 갑시다》. 푸른숲. 2018년 12월 3일.
- 정세현, 박인규. 《판문점의 협상가 정세현 회고록 북한과 마주한 40년》. 박인규 대담. 창비. 2020년 6월 5일.
5. 상훈
연도 | 내용 |
---|---|
1962년 | 문교부장관상 |
1968년 | 국회의장상 |
1978년 | 통일원장관상 |
2002년 | 청조근정훈장 ![]() |
2014년 | 제16회 한겨레통일문화상[14] |
참조
[1]
뉴스
Jeong Se-hyun New National Unification Advisory Council Executive Vice-chair..."unification expert"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https://www.yna.co.k[...]
[2]
뉴스인용
"팟캐스트가 낯선 나이? 6살 위 윤여준 장관도 하는데"
https://news.naver.c[...]
2015-02-02
[3]
뉴스인용
정세현 "이대로 가면 공산주의자에 백전백패"
https://news.naver.c[...]
2015-01-06
[4]
뉴스인용
국제초대석 <26> 정세현 전 통일장관(원광대 총장)
http://www.kookje.co[...]
2013-07-11
[5]
뉴스인용
정세현 "北에 틈새시간 주지말고 자주 회담해야"
https://news.naver.c[...]
2013-06-10
[6]
뉴스인용
정세현 "20년 만에 '북한붕괴론' 재연되나"
https://news.naver.c[...]
2014-01-13
[7]
뉴스인용
[참여정부 내각 장관 프로필] 정세현 통일 / 조직장악력...
https://news.naver.c[...]
2003-02-27
[8]
뉴스인용
[정전협정 60주년]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개성공단 '산파역'.. 남북 간 합의 73개 이뤄내
https://news.v.daum.[...]
2013-06-10
[9]
뉴스인용
"올림픽-AG '싹쓸이 작전'이 비극 불렀다"
https://news.naver.c[...]
2008-08-11
[10]
뉴스인용
"천안함 사태, MB정부 기조 탓 아니어도 대비 못한 책임 있어"
https://news.v.daum.[...]
2010-06-08
[11]
웹사이트
김대중평화센터 조직
http://www.kdjpeace.[...]
[12]
뉴스인용
본사 고문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원광대 총장 선임
https://news.naver.c[...]
2010-11-19
[13]
뉴스인용
한반도평화포럼,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상임공동대표 선임"
https://news.naver.c[...]
2015-10-09
[14]
뉴스인용
정세현 원광대 총장, 한겨레통일문화상 수상
http://www.kyosu.net[...]
2014-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