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는 정당, 사회단체의 통일 운동 상설 협의체로, 민족의 화해와 평화 통일을 위한 사업을 수행한다. 1998년 북한의 제안에 따라 김대중 정부에서 남북 및 해외 단체, 인사들의 교류 협력을 위해 결성되었다. 민화협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남북대화와 내부 소통을 통해 민간 차원의 통일 운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2015년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 피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설립된 단체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노동자, 사용자, 정부, 공익 대표가 노동 및 경제·사회 정책을 협의하고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로서, 노사정위원회에서 확대 개편되었으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노동시장 구조개선 등에 기여했다. - 1998년 설립된 단체 -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직업 교육 훈련 기관으로, 기능사 양성을 목표로 취업 희망자,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교육하며, 국가 기간 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쓴다. -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 - 민주화추진협의회
민주화추진협의회는 1980년대 중반 정치 억압 시대에 김영삼과 김대중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신한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야당 성장에 기여했으나, 대통령 선거 후보 단일화 실패로 분열되어 해체되었지만 한국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정치 조직이다. -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민사회운동 단체 - 참여연대
참여연대는 1994년 박원순에 의해 설립된 시민단체로, 정치 및 경제 권력 감시, 시민 권리 확대, 사회 개혁을 위한 활동을 하며, 회비와 후원금으로 재정을 운영하고, 11개의 활동 기구와 4개의 부설 기관을 운영하며 월간 참여사회 등 간행물을 발행한다. - 대한민국의 시민사회운동 단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1974년 결성되어 박정희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사회적 발언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 |
---|---|
기본 정보 | |
명칭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
영문 명칭 | Korean Council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
약칭 | 민화협 |
설립일 | 1998년 9월 3일 |
목적 | 남북 통일 문제에 대한 국민의 합의를 도출하고, 조선 민족의 화해 협력과 평화의 실현을 통해 민족의 공동 번영을 기하는 것 |
본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5 신한DM빌딩 15층 |
웹사이트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공식 웹사이트 |
2. 배경
1998년 6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통일을 희망하는 남북 및 해외 단체, 인사들과의 접촉과 왕래,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민간교류 협의체인 민족 화해 협의회를 결성하고, 평양시에서 정당, 단체 대표자 회의를 열어 같은 해 8월 15일 판문점에서 민족의 화해와 단합을 위한 대축전을 개최할 것을 남측에 제의했다.[5] 당시 김대중 정부는 이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여, 1998년 7월 민족의 화해, 평화, 통일을 위한 대축전 남측본부를 결성하였다.[5] 남측본부의 참가 원칙은 남북 기본 합의 정신에 동의하는 모든 개인, 시민사회단체, 정당은 과거 행적과 정파를 불문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5] 그러나 결성 초기 정당과 일부 보수 사회단체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비판 여론이 제기되면서 진보, 보수 사회단체와 정당을 모두 포괄하는 민족 화해 협력 범국민 협의회 결성을 추진하게 되었다.[5] 그리하여 1998년 9월 정당, 보수, 진보, 시민단체를 망라한 통일 운동 상설협의체로서 민화협이 창립되었고, 2004년 7월 민화협 회원단체는 모두 203개였다.[5]
민화협은 정당, 사회단체들의 통일 운동 상설협의체이다. 민화협 정관에는 민화협의 성격에 대해 “본회는 민간 차원에서 민족의 화해 협력과 평화통일을 위한 제반 사업을 수행하는 정당, 사회단체의 상설협의체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1] 민화협 15년 백서에서는 통일은 당리당략이나 계층적 이해를 초월하여 민족번영을 추구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민족 구성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정당, 사회단체 상설협의체가 필요하며, 통일을 추구하는 과정에서는 정파적인 이익을 배제하고 초월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통일은 민족 전체의 평화와 번영, 구성원 모두의 보다 나은 발전을 지향하기 때문에 통일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도 특정 세력과 정파의 이해관계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더불어 통일 과정에서 남북 정부 당국이 해야 할 일이 있고, 남북의 각 정당과 사회단체들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민족공동의 이익을 목표로 각자의 영역에서 공정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민족 화해와 통일을 위해 연대하는 것이 정당과 사회단체들의 역할이라고 강조하면서, 민화협은 이와 같이 정당, 사회단체들의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당, 사회단체들 간의 협의체라고 설명하고 있다.[1]
민화협은 남과 북의 정부 당국이 통일을 지향하도록 협력하고 촉구하며, 통일 과정에서 남측 민간을 대변하는 역할을 자임했다. 남북 정부 당국이 통일 과정에서 제 역할을 다하도록 협력하며, 민간의 목소리를 대변해서 통일을 지향하도록 촉구하겠다는 것이다. 통일 과정에서는 정부 당국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민간의 역할도 중요하고, 정당·사회단체 상설협의체라는 위상에 맞게 민간 차원의 통일 운동을 적극 지원해서 민간 통일 운동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민화협의 중요한 역할로 설명하고 있다.[6]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는 사단법인 형태이며 통일부 산하기관은 아니지만, 2003년부터 정부에서 3.5억원~5억원가량의 사업비를 지원받고 있다.
2015년 3월 5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주최한 조찬 강연회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가 김기종에게 피습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7] 김기종은 민화협 창립 초기 회원 단체 대표 자격으로 초청받아 참석했으며, 사건 이후 민화협은 해당 단체를 제명하고 조직 쇄신 노력을 기울였다.[7][8]
3. 성격
4. 역할
또한 민화협은 민족의 화해를 이루기 위해서는 남북대화와 함께 우리 사회 내부의 남남 대화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민화협 구성 자체가 보수와 진보가 협의하는 조직이므로 우리 사회 내부에서 통일 문제에 대한 다양한 세력들 사이의 의사소통의 장으로 역할을 하겠다고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6]
5. 정부의 지원
6. 사건
6. 1.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 피습 사건
2015년 3월 5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주최한 조찬 강연회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가 김기종에게 피습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7] 당시 김기종은 민화협 창립 초기 '서울시민문화단체 연석회의' 대표 자격으로 회원단체에 가입했고, 그 단체로 초청장이 발송되어 참석할 수 있었다.[7] 사건 이후 민화협은 해당 단체를 즉각 제명하고 '민화협 쇄신특위'를 통해 조직 쇄신에 힘썼으며, 같은 해 12월 18일 마크 리퍼트 대사를 다시 초청하여 중단되었던 강연회를 재개했다.[7][8]
7. 역대 의장
이름 | 직함 | 재임 기간 |
---|---|---|
한광옥 |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 1998년 9월 3일 ~ 1999년 11월 |
강만길 | 경실련통일협회 이사장 | 1999년 11월 ~ 2000년 10월 24일 |
한완상 | 경실련통일협회 이사장 | 2000년 10월 24일 ~ 2001년 3월 |
이돈명 | 변호사 | 2001년 4월 13일 ~ 2003년 3월 26일 |
이수성 | 전 국무총리 | 2003년 3월 26일 ~ 2005년 2월 22일 |
정세현 | 전 통일부 장관 | 2005년 2월 22일 ~ 2009년 3월 19일 |
김덕룡 | 전 국회의원 | 2009년 3월 19일 ~ 2013년 10월 2일 |
홍사덕 | 전 국회의원 | 2013년 10월 2일 ~ 2017년 6월 30일 |
김홍걸 | 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 | 2017년 11월 28일 ~ 2020년 8월 6일 |
이종걸 | 전 국회의원 | 2020년 8월 6일 ~ 2023년 4월 21일[9] |
손명원 | 대한민국ESG위원회 위원장 | 2023년 4월 21일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민화협 소개
https://www.kcrc.or.[...]
民族和解協力汎国民協議会
2018-08-13
[2]
웹사이트
民族和解協力汎国民協議会の金弘傑議長
https://www.jiji.com[...]
2017-12-13
[3]
웹사이트
北朝鮮にコメ支援すると言って10億ウォンもらっておきながら「なしのつぶて」民和協、保管料・人件費のみ5000万ウォン支出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10-02
[4]
웹사이트
임원구성
https://www.kcrc.or.[...]
民族和解協力汎国民協議会
2018-08-13
[5]
논문
한국의 평화운동과 평화 거버넌스 : 사회적 네트워크 평화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2013-03-17
[6]
서적
민화협 15년사
https://www.kcrc.or.[...]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2013-12
[7]
뉴스
민주평통 자문위원·통일교육위원…김기종 미스터리
https://news.naver.c[...]
TV조선
2015-03-06
[8]
뉴스
'리퍼트, 약속지켰다'…피습 9개월만에 민화협 토론회 참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2-18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kcrc.or.[...]
2015-03-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최교진 “음주운전은 평생의 가장 잘못된 일, 사과드린다”…천안함 유족·부산시민에도 사과
민화협 대표상임의장에 김삼열 회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