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말 (의병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말은 1552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난 조선 중기의 의병장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 김해, 정암 등지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전투에서 전사했다.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충의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의병장 - 이축 (1538년)
    이축은 조선 시대 왕족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가 임진왜란 때 접반사로 명나라 외교를 성공시키고 왜군과 교전했으며, 정여립 모반 사건 고변과 유영경의 죄상 상소로 공신에 책록되어 사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제말 (의병장)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제말(諸沫)
현지어 표기알 수 없음
생애알 수 없음
설명알 수 없음
창원 제말 묘 측면
창원 제말 묘 측면
출생일1552년 (추정)
출생지경상남도 진주시
사망일1593년
사망지경상남도 진주시
국적대한민국
본관칠원 제씨
별명충의
종교알 수 없음
정당알 수 없음
부모제조겸(부), 김해 김씨(모)
배우자진주 강씨(추정)
자녀3남 (자녀 부분 참조.)
친척제문유(6대조부, 중시조), 제철손(조부)
학력성주목사
군사 경력
충성알 수 없음
복무알 수 없음
복무 기간알 수 없음
최종 계급의병장
근무알 수 없음
지휘알 수 없음
주요 참전 전투/전쟁임진왜란(진주성)
서훈 내역알 수 없음
기타 이력
기타 이력알 수 없음
서명알 수 없음
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생애

제말은 1552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제조겸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장하여 몸집과 체구가 매우 커졌다. 아내 강씨와 혼인하여 두 아이를 낳았고, 맏형 제호(諸豪)는 아들 하나를 제말에게 양자로 입적시켰다.[1]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웅천(현재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김해, 정암 등지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5]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이후 전투에서 전사하였다.[5]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의(忠毅)이다.[6]

2. 1. 출생과 가계

1552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제조겸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2. 2. 성장 과정

어른이 되자 몸집과 체구가 아주 커졌다.

2. 3. 혼인과 가족

아내 강씨와 혼인하여 두 아이를 출산하였고, 맏형 제호(諸豪)는 아들 하나를 제말에게 양자로 입적시켰다.[1]

2. 4. 임진왜란과 의병 활동

際末|제말중국어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현재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김해, 정암 등지에서 크게 승리하였다.[5]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이후 전투에서 전사하였다.[5]

2. 5. 사후 추증과 평가

제말은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의(忠毅)이다.[6]

3. 가계

제말은 조선 시대 양반 가문 출신으로, 조부 제철손과 조모 김해 김씨, 부친 제조겸과 모친 공주 황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수원 황씨와 혼인하여 세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다. 제말의 후손들은 찰방공파, 주부공파, 별좌공파, 정현공파, 충장공파 등 여러 분파를 형성하며 가문을 번성시켰다.

3. 1. 직계 가계

관계이름
조부제철손(諸哲孫)
조모김해 김씨(金海金氏)
부친제조겸(諸祖謙)
모친공주 황씨(公州黃氏)
부인수원 황씨(水原黃氏)
장남제몽신(諸夢信)
차남제몽량(諸夢亮)
삼남제홍정(諸弘禎)
장녀허팽노의 처(許亨勞 妻)


3. 2. 형제 및 친인척

관계이름비고
조부제철손(諸哲孫)
조모김해 김씨(金海金氏)
부친제조겸(諸祖謙)
모친공주 황씨(公州黃氏)
제호(諸灝)
조카제홍록(諸弘綠)
강개의 처(姜玠 妻)
최진호의 처(崔振琥 妻)
최훈의 처(崔塤 妻)
종손제여량(諸汝亮)
제연석(諸聯錫)
제험석(諸驗錫)
종증손제명서(諸命瑞)
제명구(諸命球)
조민의 처(趙珉 妻)
전도후의 처(田道厚 妻)
누나황낙생의 처(黃樂生 妻)
어침의 처(漁沈 妻)
내질황도병(黃道秉)
어영수(漁泳洙)
어영기(漁泳沂)
제탁(諸濯)
제숙(諸淑)
제낙(諸洛)
내외종손최정호(崔廷琥)
내외종손조신중의 처(趙信中 妻)
조카제홍복(諸弘福)
조카제홍우(諸弘祐)
조카제홍조(諸弘祚)
제홍유(諸弘裕)
류득배의 처(柳得拜 妻)
이산립의 처(李山立 妻)
종손제한주(諸翰周)
제수주(諸壽周)
제위주(諸衛周)
종증손제시망(諸時望)
제시정(諸時廷)
제시징(諸時徵)
종증손이억의 처(李檍 妻)
종증손제처걸(諸處杰)
종증손정창도의 처(鄭昌道 妻)
정운엽의 처(鄭雲燁 妻)
권극우의 처(權極宇 妻)
종손제익주(諸翊周)
종증손제명황(諸命璜)
증손제처막(諸處膜)
본인제말(諸沫)
부인수원 황씨(水原黃氏)
장남제몽신(諸夢信)
차남제몽량(諸夢亮)
삼남제홍정(諸弘禎)
손자제억(諸億)
제광해(諸光海)
제여상(諸汝尙)찰방공파
손자제여회(諸汝恢)주부공파
손자제여근(諸汝謹)별좌공파
손자제여원(諸汝元)
제여각(諸汝恪)
제여첨(諸汝瞻)정현공파
제여백(諸汝伯)충장공파
증손제춘상(諸春上)
제중상(諸仲上)
증손제우상(諸于上)
증손제명장(諸命璋)
김안윤의 처(金安潤 妻)
진현모의 처(陳顯模 妻)
증손제명각(諸命珏)
제명민(諸命敏)
제명우(諸命友)
제명일(諸命逸)
증손제명환(諸命桓)
증손제명석(諸命錫)
증손제명철(諸命喆)봉사손장령공파
증손제경창(諸慶昌)진사공파
제경달(諸慶達)태사공파
제경의(諸慶懿)학포공파
제경립(諸慶立)참의공파
제경한(諸慶漢)판관공파
제경진(諸慶搢)부사공파
증손제경발(諸慶發)통덕랑파
증손제명인(諸命仁)선교랑파
증손제명종(諸命宗)
제명대(諸命大)
장녀허팽노의 처(許亨勞 妻)
외손자허석순(許石純)
허상순(許上純)


참조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정보
[5] 백과사전 제말(諸沫)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백과사전 제말(諸沫)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