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표시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목 표시줄은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시스템 표준 버튼, 창 위치 이동 기능 등을 제공하는 GUI 요소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창 닫기, 최소화, 최대화 버튼이 있으며, 운영체제에 따라 버튼의 위치와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에서는 제목 표시줄 오른쪽, macOS에서는 왼쪽에 시스템 버튼이 위치한다. 또한, 제목 표시줄을 드래그하여 창을 이동하거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블 클릭 시 동작도 운영체제 설정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메트로 (디자인 언어)
마이크로소프트가 스위스 그래픽 디자인과 런던 지하철 표지판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메트로 디자인 언어는 큰 텍스트, 간결한 타이포그래피, 라이브 타일 등의 특징을 가지며 Windows, Xbox, Microsoft Office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었고, 상표권 문제와 함께 명칭 변경 및 MDL2로 진화하며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작업 표시줄
작업 표시줄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화면 하단에 위치하여 프로그램 실행, 창 관리, 시스템 상태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이며, 윈도우 95부터 도입되어 다양한 사용자 정의 설정을 지원하며 발전해 왔다.
제목 표시줄 |
---|
2. 주요 기능
제목 표시줄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에서 창 맨 위에 나타나는 가로 막대이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창 제목 표시: 현재 열려 있는 문서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이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창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돕는다. 텍스트 편집기나 이미지 뷰어 등에서는 편집 중인 파일 이름을, 단일 문서 인터페이스(SDI) 형식의 응용 프로그램은 파일 이름과 함께 응용 프로그램 이름을 표시한다. 다중 문서 인터페이스(MDI) 형식은 자식 창에 문서 제목, 부모 창에 활성 문서 제목과 응용 프로그램 이름을 함께 표시한다. 문서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별표(*)를 표시하여 변경 사항이 있음을 알리기도 한다.
- 창 관리: 창 닫기, 최소화, 최대화/원래 크기로 복원 등 기본적인 창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이러한 버튼을 '캡션 버튼'이라고 부른다.[13][14]
- 창 이동 및 크기 조정: 제목 표시줄을 드래그하여 창 위치를 이동하고, 창 가장자리를 드래그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윈도우 7 이후에는 에어로 스냅을 통해 드래그 조작으로 윈도우를 최대화하거나 정렬할 수 있다.[10]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제목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면 창 메뉴(시스템 메뉴)가 표시된다. macOS에서는 일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며, 윈도우처럼 창 제어를 위한 컨텍스트 메뉴는 표시되지 않는다.
2. 1. 운영 체제별 특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가진 운영 체제(OS)나 윈도우 매니저는 대부분 창이나 대화 상자 맨 위에 제목 표시줄을 가지고 있다. 제목 표시줄은 창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닫기", "최소화", "최대화" 같은 시스템 명령 버튼을 표시한다.각 운영 체제별 제목 표시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윈도우에서는 '캡션 바'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며[5], ChromeOS에서는 "윈도 컨트롤 바"[7]나 "톱 바"[8]와 같은 명칭을 사용한다.
텍스트 편집기나 이미지 뷰어 등에서는 편집 중인 파일 이름을 표시하기도 한다. 단일 문서 인터페이스(SDI) 형식의 응용 프로그램은 파일 이름과 함께 응용 프로그램 이름을 표시하고, 다중 문서 인터페이스(MDI) 형식은 자식 창에 문서 제목, 부모 창에 활성 문서 제목과 응용 프로그램 이름을 함께 표시한다. 문서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별표(*)를 표시하여 변경 사항이 있음을 알리기도 한다. 과거 웹 브라우저는 표시 중인 웹 페이지의 HTML 요소 중 `title` 요소 내용을 표시했다.
대부분의 운영 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은 창의 제목 표시줄에 제목 문자열을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메인 창에는 애플리케이션 이름이나 제조사 이름이 표시되는 경우가 많고, 대화 상자 창에는 대화 상자 내용과 관련된 문자열이 표시되기도 한다. Windows에서는 최상위 수준 창 제목과 작업 표시줄 버튼 제목이 연동된다.
2. 1. 1. Microsoft Window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제목 표시줄에 '최소화', '최대화/원래대로', '닫기' 버튼이 있어 기본적인 시스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창에 따라 표시되지 않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13][14] 최소화 및 최대화 버튼은 각각 개별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둘 다 비활성화하면 함께 숨겨진다.[12]제목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면 창 메뉴(시스템 메뉴)가 나타나며, 여기에는 위 버튼들과 같은 기능을 하는 시스템 명령이 있다.
Windows 95 이후에는 Marlett이라는 시스템 폰트가 설치되어 제목 표시줄의 각 버튼 아이콘을 그렸다.[15] Windows XP에서는 비주얼 스타일(Luna)을 채택하여 이 폰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영어, 일본어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LTR 언어에서는 캡션 버튼이 오른쪽에, 아랍어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RTL 언어에서는 왼쪽에 배치된다.
데스크톱 앱의 경우, 제목 표시줄 왼쪽에 앱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아이콘을 싱글 클릭하면 시스템 메뉴(컨텍스트 메뉴)가 표시되고, 더블 클릭하면 창이 닫힌다.
윈도우 7부터는 에어로 스냅을 통해 제목 표시줄 드래그로 창을 최대화하거나 정렬할 수 있다.[10]
2. 1. 2. macOS
macOS의 제목 표시줄에는 "'''닫기'''", "'''최소화'''", "'''전체 화면'''"/"'''전체 화면 해제'''" 버튼이 왼쪽에 있으며, 각 버튼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기능 아이콘이 표시된다.[11] 이러한 버튼은 창에 따라 표시되지 않거나 비활성화되어 사용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macOS에서는 닫기 버튼을 눌러도 응용 프로그램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메뉴 막대의 응용 프로그램 메뉴에서 종료해야 한다.[11]제목 표시줄을 더블클릭했을 때의 동작은 설정에 따라 다르다. OS X El Capitan (10.11)부터는 기본적으로 확대/축소 동작을 하며, Dock 설정에서 "숨김", "확대/축소", "아무것도 하지 않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11]
제목 표시줄의 오른쪽 클릭은 일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지만, 윈도우처럼 창 제어를 위한 상황에 맞는 메뉴는 표시되지 않는다.
2. 1. 3. ChromeOS
ChromeOS에서는 각 앱 창 상단에 표시되는 바에 제목 문자열이 표시되지 않고, "윈도 컨트롤 바"[7]나 "톱 바"[8]와 같은 명칭이 사용된다. ChromeOS에서는 주요 시스템 버튼이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안드로이드의 뒤로 가기 버튼에 해당하는 화살표 버튼 "←"가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2. 1. 4. 기타
일부 응용 프로그램(예: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은 제목 표시줄에 검색 상자 등을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하기도 한다.[1] 과거 웹 브라우저들은 제목 표시줄에 HTML 요소 중 `title` 요소의 내용을 표시하기도 했다.3. 운영 체제별 이용 현황 (표)
참조
[1]
웹사이트
Nonclient Area - Win32 app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2]
웹사이트
About Windows - Win32 app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3]
웹사이트
Change colors in Windows | Windows support
https://support.micr[...]
[4]
웹사이트
"[色の変更] Windows | Windows サポート"
https://support.micr[...]
[5]
웹사이트
最小化、最大化ボタン、および閉じるボタンが消えた、または Windows 8.1 および Windows Server 2012 R2 で正しく表示されません。
https://support.micr[...]
Microsoft
2019-04-29
[6]
웹사이트
CMFCCaptionBar Class
https://docs.microso[...]
マイクロソフト
2022-01-15
[7]
웹사이트
Google Developers Japan: Chromebook 向け Android アプリの最適化
https://developers-j[...]
[8]
웹사이트
Chrome OS 向けのアプリの最適化 | Android デベロッパー | Android Developers
https://developer.an[...]
[9]
웹사이트
Windows でタイトルのない「タイトルバー」とは - パソコン用語解説
https://www.724685.c[...]
2019-04-30
[10]
웹사이트
Windows 7でウィンドウのAeroスナップ機能を無効にする:Tech TIPS - @IT
https://atmarkit.itm[...]
[11]
웹사이트
タイトルバーをダブルクリックしたときの挙動を変更する|MacFan
https://book.mynavi.[...]
[12]
웹사이트
Window Styles (Winuser.h) - Win32 app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13]
웹사이트
WindowChrome Class (System.Windows.Shell)
https://docs.microso[...]
マイクロソフト
2022-01-15
[14]
웹사이트
Title bar customization - Windows app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15]
웹사이트
「Marlett」フォントのは何のためにある? - ITmedia エンタープライズ
https://www.itmedia.[...]
[16]
웹사이트
"[Windows 9x] ウィンドウの「最小化」「最大化」「閉じる」ボタンが別の記号に変わったり、表示や選択できるフォントの数が減ったりしています。 - FMVサポート : 富士通パソコン"
https://www.fmworld.[...]
[17]
웹사이트
Form.HelpButton Property (System.Windows.Forms)
https://docs.microso[...]
マイクロソフト
2022-01-15
[18]
웹사이트
Extended Window Styles (Winuser.h) - Win32 app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19]
웹사이트
MessageBox function (winuser.h) - Win32 apps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20]
웹사이트
"[Windows Vista] ドライバのバージョンを確認する方法を教えてください。 - FMVサポート : 富士通パソコン"
https://www.fmworld.[...]
[21]
웹사이트
できるオンラインFAQ Windows 7 | パソコンに接続されている周辺機器や、周辺機器のデバイスドライバーを確認したい
https://www.frontier[...]
[22]
웹사이트
他のファイル形式でブックを保存する - Excel
https://support.offi[...]
Microsoft
2019-04-30
[23]
웹사이트
ブックをテンプレートとして保存する
https://support.micr[...]
Microsoft
2022-01-15
[24]
웹사이트
Ribbon Designer (MFC)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