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올로지 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올로지 군도는 남극 아스트롤라베 빙설 북쪽에 위치한 군도로, 1840년 프랑스 쥘 뒤몽 뒤르빌에 의해 제올로지곶으로 명명된 지역이다. 1950년부터 1952년 사이에 프랑스 탐험대에 의해 군도로 명명되었으며, 1952년 페트렐섬에 마레 기지가 건설되었다. 1956년 뒤몽 뒤르빌 기지가 건설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제올로지 군도는 황제펭귄을 포함한 다양한 조류와 해양 포유류의 서식지이며, 남극 특별보호지역 제120호 및 중요조류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델리랜드 - 뒤몽 뒤르빌 기지
    뒤몽 뒤르빌 기지는 프랑스의 남극 과학 연구 기지로서 아델리 해안 페트렐 섬에 위치하며, 콩코르디아 기지로 물품을 수송하고 기상 및 지구물리학, 남극 생태계를 연구하며 대한민국과의 남극 연구 협력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 남극해의 군도 - 오클랜드 제도
    오클랜드 제도는 뉴질랜드 남섬 남쪽에 위치한 화산섬들로, 폴리네시아인 거주, 물개잡이 기지 이용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국립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해양 조류를 보호한다.
  • 남극해의 군도 - 앤티퍼디스 제도
    뉴질랜드 스튜어트 섬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화산 제도인 앤티퍼디스 제도는 런던의 대척점에 가장 가까운 육지이며 다양한 바닷새와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해양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제올로지 군도
위치 정보
아델리랜드 내 제올로지 군도 위치
아델리랜드 내 제올로지 군도 위치
일반 정보
위치남극 아델리랜드
좌표66°40′ 남위 139°51′ 동경
종류군도
구성약 12개의 작은 섬
다수의 암초
지리
면적약 8km²
가장 높은 지점0m
역사
발견1951년
발견자프랑스 남극 탐험대
명명 유래프랑스의 지질학자와 광물학자

2. 역사

제올로지 군도는 1840년 1월 쥘 뒤몽 뒤르빌이 이끄는 프랑스 탐험대가 처음으로 도달하여 일부 지역에 '푸앵트 제올로지'라는 이름을 붙인 것에서 시작된다.[4][1] 이후 1946년 미 해군의 하이점프 작전 중 항공 사진 촬영과 1950년대 초 프랑스 남극 탐험대의 조사를 통해 군도의 존재가 명확해졌으며, '푸앵트제올로지 군도'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부여되었다.[4][1]

1952년에는 황제펭귄 연구를 위해 페트렐섬에 소규모 마레 기지가 건설되었으나, 같은 해 주요 기지였던 포르 마르탱이 화재로 소실되면서 마레 기지가 임시 월동 기지로 사용되었다.[4][1] 이후 포르 마르탱을 대체할 새로운 본기지로 뒤몽 뒤르빌 기지가 1956년 페트렐섬에 건설되었다. 이 기지는 기존 포르 마르탱 기지로부터 서쪽으로 약 6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1]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을 기점으로 프랑스의 주요 남극 연구 거점으로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4][1]

2. 1. 초기 탐험

1840년 1월 22일, 쥘 뒤몽 뒤르빌 선장이 이끄는 프랑스 남극 원정대가 뒤물랭섬의 데바르크망 암초에 도달하였다. 원정대는 이곳에서 암석 표본을 채취하고 남쪽 해안 지형에 'Pointe Géologie|푸앵트 제올로지fra'(제올로지곶)라는 이름을 붙였다.[4][1]

이후 1946년부터 1947년까지 미 해군이 진행한 하이점프 작전 중 항공 사진 촬영을 통해 군도의 모습 일부가 확인되었다. 1950년부터 1952년 사이에는 프랑스 남극 탐험대가 이 지역을 다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아스트롤라베 빙하 북쪽에 위치한 섬 무리를 확인하고 이 군도 전체에 'Archipel de Pointe Géologie|아르시펠 드 푸앵트 제올로지fra'(푸앵트제올로지 군도)라는 명칭을 부여하기로 결정하였다.[4][1]

2. 2. 연구 기지 건설과 운영

1952년, 페트렐섬에는 인근의 황제펭귄 서식지를 연구하기 위한 소형 연구 기지인 마레 기지(Base Marret)가 건설되었다.[4][1] 그러나 같은 해 1월 23일 밤, 프랑스의 주요 기지였던 포르 마르탱(Port Martin)이 화재로 소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4][1] 이로 인해 프랑스 연구원들은 1952년부터 1953년까지의 월동 기간을 마레 기지에서 보내야 했다.[4][1]

이후 포르 마르탱을 대체할 새로운 본기지로 뒤몽 뒤르빌 기지가 페트렐섬에 건설되었다.[4][1] 이 기지는 기존 포르 마르탱 기지로부터 서쪽으로 약 6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1] 1957년~1958년 남극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을 앞두고 프랑스의 과학 연구 센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1956년 1월 12일에 문을 열었다.[4][1] 뒤몽 뒤르빌 기지는 이후 현재까지 계속 운영되고 있다.[4][1]

3. 환경 보호

제올로지 군도의 일부 지역은 남극의 독특한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특히 군도 남동부 중심부와 페트렐섬 인근 지역은 남극조약에 따라 남극 특별보호지역 (ASPA) 제120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5] 이는 남극 육상 생태계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또한 이 구역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조류지역 (IBA)으로도 지정되어 조류 서식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6][3] 이 지역은 특히 황제펭귄아델리펭귄의 중요한 번식지 역할을 하고 있다.[6]

3. 1. 남극 특별 보호 구역 (ASPA) 지정

제올로지 군도의 남쪽 및 동쪽 중심부와 페트렐 섬 인근의 로스탕 섬, 카렐 섬, 베르나르 섬, 라마르크 섬, 봉 도크퇴르 누나탁, 그리고 그 사이의 해빙에 위치한 황제펭귄 서식지를 포함하는 지역은 남극 육상 생태계의 대표적인 사례로 인정받아 남극조약에 따라 남극 특별 보호 구역(ASPA) 제12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특히 뒤몽 뒤르빌 기지 인근의 황제펭귄 서식지는 남극 대륙 전체에 약 30여 곳밖에 없는 황제펭귄 서식지 중 영구 연구 기지와 가장 가까운 곳 중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지역에는 황제펭귄 외에도 아델리펭귄, 남극도둑갈매기, 흰풀마갈매기(흰날개바다갈매기), 남방큰풀마갈매기, 비둘기바다제비(케이프바다제비), 남방큰바다제비, 눈새 등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며, 웨들해물범도 발견된다.[5]

남극 특별 보호 구역 제120호에 해당하는 이 보호구역의 면적은 37ha이며,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조류지역(IBA)으로도 지정되었다. 2013년 조사 기준으로 이곳에는 약 3,600쌍의 황제펭귄과 약 54,000쌍의 아델리펭귄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6]

3. 2. 중요 조류 보호 지역 (IBA) 지정

남극 특별보호지역(ASPA) 제120호와 일치하는 37ha 면적의 이 보호구역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조류보호지역 (IBA)으로 지정되었다.[6][3] 2013년 추정치에 따르면 이곳에는 약 3,600쌍의 황제펭귄과 약 54,000쌍의 아델리펭귄이 서식하고 있다.[6][3]

3. 3. 서식 생물

제올로지 군도에는 다양한 남극 생물이 서식하며, 특히 남쪽과 동쪽 중심부, 페트렐섬 인근 지역(장 로스트랑, 르 모강, 클로드 베르나르, 라마르크 제도, 봉 독퇴르 누나타크 등)은 남극 육상 생태계를 대표하는 중요 지역으로 인정받아 남극조약에 따라 남극 특별보호지역 (ASPA) 제12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보호구역의 면적은 0.37km2이며,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조류지역 (IBA)으로도 지정되었다.[6]

이곳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황제펭귄아델리펭귄의 주요 서식지 중 하나이다. 2013년 기준으로 황제펭귄은 약 3,600쌍, 아델리펭귄은 약 54,000쌍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6] 특히 뒤몽 뒤르빌 기지 인근의 황제펭귄 서식지는 남극 대륙 전체 약 30여 곳의 서식지 중 연구기지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5]

펭귄 외에도 흰풀마갈매기, 남방큰풀마갈매기, 비둘기바다제비, 남극도둑갈매기, 눈새, 케이프바다제비 등 여러 종류의 새들이 둥지를 틀고 서식한다. 또한 포유류인 웨들해물범도 이곳에서 발견된다.[5]

참조

[1] 간행물 2012-04-19
[2] 웹사이트 Pointe Géologie Archipelago, Terre Adélie http://www.ats.aq/do[...] Antarctic Treaty Secretariat 2013-01-31
[3] 웹사이트 Pointe-Géologie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15
[4] 간행물
[5] 웹인용 Pointe Géologie Archipelago, Terre Adélie http://www.ats.aq/do[...] Antarctic Treaty Secretariat 2013-01-31
[6] 웹인용 Pointe-Géologie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0-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