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음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음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양나라의 일부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145년에 제음나라가 설치되었고, 이후 제음군으로 변경되어 연주에 속했다. 왕망 시대에는 제평군으로 개칭되었으나 후한 시대에 제음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제음국으로 격상되기도 했으며, 위, 서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다. 수나라 때는 군현제가 부활하면서 제음군이 다시 설치되었으나, 당나라 시기에 조주로 개칭되면서 제음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제음군 | |
---|---|
기본 정보 | |
위치 | 현재의 산둥 성 서남부와 허난 성 동부 |
역사 | 기원전 201년: 한나라에 의해 설치 1949년: 폐지 |
역대 변화 | |
전한 | 관할: 26현 호구: 21만 838호 |
후한 | 치소: 정(定陶) 속현: 6개현 (정(定陶), 이씨현, 성양현, 구양현, 박양현, 견성현) |
주요 인물 | |
전한 시대 | 복승 (伏勝): 경학자 제음정왕 유불 (劉弗): 전한의 제후왕 양하 (揚何): 승상 광형 (匡衡): 승상 공우 (孔禹): 대사도 채의 (翟義): 왕망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킴 왕봉광 (王鳳光): 채의의 군사 사단 (師丹): 승상 |
후한 시대 | 제음공왕 유복 (劉復): 후한의 제후왕 목무 (繆肜): 자는 자계(子季) 응봉 (應奉): 자는 원례(元禮) 응창 (應瑒): 응봉의 아들, 건안칠자 중 한 명 한기 (韓暨): 자는 공지(公至) |
읍 | |
위치 | 동군(東郡) 박양(博陽) 제음군 구양(句陽) |
역사 | 채옹의 《독단(獨斷)》에 따르면, 고을에 큰 시장이 있으면 읍(邑)이라 칭하였다. |
2. 역사
한나라에서 제음군은 원래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다. 팽월 시절의 서울 정도현은 나중에 제음군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26][27] 경제 중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를 다섯으로 분할해 제음나라를 두고 유무의 아들 유불식에게 봉하면서 제음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서울은 정도현에 두었다.[26][27] 제음애왕이 후사 없이 죽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한 조정의 관할로 들어가 제음군이 되었다. 무제가 주를 설치하면서 연주에 속했다.[26][27] 감로 2년, 선제가 정도나라로 고치고 아들 유오를 정도왕에 봉했다. 건평 2년, 정도왕 유경을 신도나라로 옮겨 봉하면서 도로 제음군이 되었다.[26]
평제 시기인 원시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9만 25호, 138만 6278명이 제음군에 살고 있었다. 제음군은 다음 9개 현을 관할했다.[26]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주나라의 제후국 조나라가 있었다. |
원구현 | 寃丘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
여도현 | 呂都縣 | 허쩌시 무단구 여릉진(呂陵鎭) | |
가밀현 | 葭密縣 | 허쩌시 무단구 가밀채촌(葭密寨村) | |
성양현 | 成陽縣 | 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 |
견성현 | 甄城縣 | 허쩌시 쥐안청현 구성진(舊城鎭) | |
구양현 | 句陽縣 | 허쩌시 무단구 북 초장(楚庄) 부근 | |
투현 | 秺縣 | 허쩌시 청우현 북서 29리 당루촌(黨樓村) 일대 |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쥐예현 서남 57리 서초순둔촌(西焦順屯村) 일대 | 사수(泗水)가 남동으로 수릉(睢陵)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가니, 여섯 군(제음·산양·패·초·임회·동해)을 지나 1110리를 간다. |
[26][28]
왕망 때 제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제음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
왕망(王莽)이 신나라를 세우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26]
전한 | 신 |
---|---|
정도 | 제평(濟平) |
원구 | 제양정(濟陽亭) |
여도 | 기도(祈都) |
견성 | 견량(甄良) |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제음군은 11성 133,715호 657,554명을 거느렸다.[29] 제음군은 정도, 원구, 성양, 승씨, 구양, 권성, 이호, 름구, 단보, 성무, 기씨의 11개 현을 관할했다.[18] 212년(후한 헌제 건안 17년), 헌제의 아들 유희(劉熙)가 제음왕으로 책봉되면서 제음국으로 격상되었다.[30][19]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현내에 자조성(煮枣城)이 있었다. |
성양현 | 成陽縣 | 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 현 경내에 요총(堯冢), 영태(靈台), 뇌택(雷澤)이 있었다. |
승씨후국 | 乘氏候國 | 허쩌시 쥐예현 서남 57리 서초순둔촌(西焦順屯村) 일대 | 현 경내에 사수(泗水), 녹성향(鹿城鄕)이 있었다. |
구양현 | 句陽縣 | 허쩌시 무단구 북 초장(楚庄) 부근 | 현 경내에 수정(垂亭)이 있었다. |
견성현 | 甄城縣 | 허쩌시 쥐안청현 구성진(舊城鎭) |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
늠구현 | 廩丘縣 | 허쩌시 쥐안청현 수보향(水堡鄕) 일대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현 경내에 고어성(高魚城), 운성(運城)이 있었다. |
단부후국 | 單父候國 | 허쩌시 산현 | 본래 산양군의 속했다.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 본래 산양군의 속했다. |
기씨현 | 己氏縣 | 허쩌시 차오현 초천집촌(楚天集村) 일대 | 본래 양군의 속현이었다. |
왕망 때 제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제음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 72년(영평 15년), 유장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4] 84년(원화 원년), 제음왕 유장이 사망하자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5] 124년(연광 3년), 황태자유보가 폐위되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6] 125년(연광 4년), 제음왕 유보(순제)가 황위에 오르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7]
영가의 난이후 석륵이 연주전역을 점령하면서 제음군은 진나라의 권역에서 벗어났다. 이후 남연주가 설치되자 강남 일대에서 교치되었다.[31]
서진대 제음군은 9현 7,600호를 거느렸다.[3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쥐예현 서남 57리 서초순둔촌(西焦順屯村) 일대 | |
구양현 | 句陽縣 | 허쩌시 무단구 북 초장(楚庄) 부근 |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진서》 지리지에는 완구현(宛丘縣)으로 기록되어있다. |
기씨현 | 己氏縣 | 허쩌시 차오현 초천집촌(楚天集村) 일대 |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 |
단부현 | 單父縣 | 허쩌시 산현 | |
성양현 | 成陽縣 | 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
서진 때 제음군은 정도, 승씨, 구양, 이호, 원구, 기씨, 성무, 단보, 성양의 9개 현을 관할했다.[21]
비수대전이후 동진은 후연을 공격하여 옛 연주를 수복했고 옛 제음군 자리에 군을 다시 두었고 서주로 편입되었다.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북제음군이 신설되었다.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하비군의 속현이었던 수릉현 지역으로 옮겨졌다. 유송대 교치된 연주는 3현 2,305호 11,928명을 거느렸다.[32]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경 북위의 침공으로 인해 송나라가 회수이북 전역을 상실하면서 회남지방으로 옮겨졌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민정 | 비고 |
---|---|---|---|---|
수릉현 | 睢陵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 령(令) | 457년 이후 제음군의 치소가 되었다. |
정도현 | 定陶縣 | 미상 | 461년(유송 효무제 대명 5년) 쑤이닝현 일대로 옮겨졌다. | |
돈구현 | 頓丘縣 | 돈구군의 속현이다. 유랑민들이 정착하여 설치되었다. |
남조 송 시대에, 제음군이 북위에 빼앗기자, 서주에 僑置(교치)했다. 수릉(睢陵)・정도(定陶)・돈구(頓丘) 3개 현을 관할했다.
송말 회남으로 옮겨진 제음군은 남제 시기 북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3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돈구현 | 頓丘縣 | 미상 | 483년(남제 무제 영명 원년) 정도현이 통폐합되었다. |
수릉현 | 睢陵縣 | 추저우시 밍광시 구현촌(舊縣村) 일대 | |
낙평현 | 樂平縣 | 미상 | 483년 종리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제안현 | 濟安縣 |
527년(북위 효명제 효창 3년) 서연주로 분리되자 서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서연주가 분리된 직후 제음군에 서연주의 치소를 두었으나 후에 주 치소가 좌성(左城)으로 옮겨졌다. 위나라 때 제음군은 4현 29,836호 83,580명을 거느렸다.[3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군의 치소가 있었다. 현 경내에 정도성(定陶城)이 있었다.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현 경내에 이호성(離狐城), 도성(桃城)이 있었다.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원구성(冤句城)에 치소를 두었다. 현 경내에 남양성(南陽城)이 있었다.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무단구 | 현 경내에 대향성(大鄕城), 양구성(梁丘城), 늠성(廩城)이 있었다. |
북위 때 제음군은 서연주에 속했으며, 정도, 이호, 원구, 승씨의 4개 현을 관할했다.[22]
북주 말년, 서연주는 조주로 개칭되었고, 제음군은 조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제음군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다.[23]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제음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수나라 때 제음군은 제음, 외황, 제양, 성무, 원구, 승씨, 정도, 단보, 금향의 9개 현을 관할했다.[3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제음현 | 濟陰縣 | 허쩌시 차오현 서북 녹묘촌(鹿廟村) 일대 |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황현(黃縣)이 분리 신설되었다. 이 황현은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몽택현(蒙澤縣)으로 개명되었다가 대업 초기 통폐합되었다.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북제 때 성안현(成安縣)이 통폐합되었다. 598년 수성현(首城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기 폐지되었다.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고정집(郜鼎集) → 허쩌시 청우현 | 개황 초기 영창군(永昌郡)이 조주에 통폐합되면서 본주로 편입되었다.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재주(戴州)로 분리되었다가 대업 초기 재주가 조주에 통폐합되면서 본주로 편입되었다.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청우현 고정집에 있던 치소가 청우현으로 옮겨졌다.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
단부현 | 單父縣 | 허쩌시 산현 | 북제 때 북제음군과 이호현(離狐縣)이 폐지되었다. 586년 이호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재설치되었다. |
금향현 | 金鄕縣 | 지닝시 진샹현 | 596년 창읍현(昌邑縣)이 분리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에 폐지되었다. |
621년(무덕 4년), 당에 의해 제음군은 조주로 개칭되었다.[24] 742년(천보 원년), 조주는 제음군으로 개칭되었다.[24] 758년(건원 원년), 제음군은 조주로 개칭되면서 제음군의 명칭은 사라졌다.[24]
2. 1. 전한
한나라에서 제음군은 원래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다. 팽월 시절의 서울 정도현은 나중에 제음군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26][27] 경제 중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를 다섯으로 분할해 제음나라를 두고 유무의 아들 유불식에게 봉하면서 제음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서울은 정도현에 두었다.[26][27] 제음애왕이 후사 없이 죽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한 조정의 관할로 들어가 제음군이 되었다. 무제가 주를 설치하면서 연주에 속했다.[26][27] 감로 2년, 선제가 정도나라로 고치고 아들 유오를 정도왕에 봉했다. 건평 2년, 정도왕 유경을 신도나라로 옮겨 봉하면서 도로 제음군이 되었다.[26]평제 시기인 원시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9만 25호, 138만 6278명이 제음군에 살고 있었다. 제음군은 다음 9개 현을 관할했다.[26]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주나라의 제후국 조나라가 있었다. |
원구현 | 寃丘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
여도현 | 呂都縣 | 허쩌시 무단구 여릉진(呂陵鎭) | |
가밀현 | 葭密縣 | 허쩌시 무단구 가밀채촌(葭密寨村) | |
성양현 | 成陽縣 | 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 |
견성현 | 甄城縣 | 허쩌시 쥐안청현 구성진(舊城鎭) | |
구양현 | 句陽縣 | 허쩌시 무단구 북 초장(楚庄) 부근 | |
투현 | 秺縣 | 허쩌시 청우현 북서 29리 당루촌(黨樓村) 일대 |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쥐예현 서남 57리 서초순둔촌(西焦順屯村) 일대 | 사수(泗水)가 남동으로 수릉(睢陵)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가니, 여섯 군(제음·산양·패·초·임회·동해)을 지나 1110리를 간다. |
[26][28]
왕망 때 제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제음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
2. 2. 신
왕망(王莽)이 신나라를 세우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26]전한 | 신 |
---|---|
정도 | 제평(濟平) |
원구 | 제양정(濟陽亭) |
여도 | 기도(祈都) |
견성 | 견량(甄良) |
2. 3. 후한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제음군은 11성 133,715호 657,554명을 거느렸다.[29] 제음군은 정도, 원구, 성양, 승씨, 구양, 권성, 이호, 름구, 단보, 성무, 기씨의 11개 현을 관할했다.[18] 212년(후한 헌제 건안 17년), 헌제의 아들 유희(劉熙)가 제음왕으로 책봉되면서 제음국으로 격상되었다.[30][19]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현내에 자조성(煮枣城)이 있었다. |
성양현 | 成陽縣 | 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 현 경내에 요총(堯冢), 영태(靈台), 뇌택(雷澤)이 있었다. |
승씨후국 | 乘氏候國 | 허쩌시 쥐예현 서남 57리 서초순둔촌(西焦順屯村) 일대 | 현 경내에 사수(泗水), 녹성향(鹿城鄕)이 있었다. |
구양현 | 句陽縣 | 허쩌시 무단구 북 초장(楚庄) 부근 | 현 경내에 수정(垂亭)이 있었다. |
견성현 | 甄城縣 | 허쩌시 쥐안청현 구성진(舊城鎭) |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
늠구현 | 廩丘縣 | 허쩌시 쥐안청현 수보향(水堡鄕) 일대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현 경내에 고어성(高魚城), 운성(運城)이 있었다. |
단부후국 | 單父候國 | 허쩌시 산현 | 본래 산양군의 속했다.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 본래 산양군의 속했다. |
기씨현 | 己氏縣 | 허쩌시 차오현 초천집촌(楚天集村) 일대 | 본래 양군의 속현이었다. |
왕망 때 제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제음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 72년(영평 15년), 유장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4] 84년(원화 원년), 제음왕 유장이 사망하자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5] 124년(연광 3년), 황태자유보가 폐위되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6] 125년(연광 4년), 제음왕 유보(순제)가 황위에 오르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7]
2. 4. 진 (서진, 동진)
영가의 난이후 석륵이 연주전역을 점령하면서 제음군은 진나라의 권역에서 벗어났다. 이후 남연주가 설치되자 강남 일대에서 교치되었다.[31]서진대 제음군은 9현 7,600호를 거느렸다.[3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쥐예현 서남 57리 서초순둔촌(西焦順屯村) 일대 | |
구양현 | 句陽縣 | 허쩌시 무단구 북 초장(楚庄) 부근 |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진서》 지리지에는 완구현(宛丘縣)으로 기록되어있다. |
기씨현 | 己氏縣 | 허쩌시 차오현 초천집촌(楚天集村) 일대 |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 |
단부현 | 單父縣 | 허쩌시 산현 | |
성양현 | 成陽縣 | 허쩌시 무단구 호집진(胡集鎭) |
서진 때 제음군은 정도, 승씨, 구양, 이호, 원구, 기씨, 성무, 단보, 성양의 9개 현을 관할했다.[21]
2. 5. 남북조 시대
비수대전이후 동진은 후연을 공격하여 옛 연주를 수복했고 옛 제음군 자리에 군을 다시 두었고 서주로 편입되었다.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북제음군이 신설되었다.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하비군의 속현이었던 수릉현 지역으로 옮겨졌다. 유송대 교치된 연주는 3현 2,305호 11,928명을 거느렸다.[32]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경 북위의 침공으로 인해 송나라가 회수이북 전역을 상실하면서 회남지방으로 옮겨졌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민정 | 비고 |
---|---|---|---|---|
수릉현 | 睢陵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 령(令) | 457년 이후 제음군의 치소가 되었다. |
정도현 | 定陶縣 | 미상 | 461년(유송 효무제 대명 5년) 쑤이닝현 일대로 옮겨졌다. | |
돈구현 | 頓丘縣 | 미상 | 돈구군의 속현이다. 유랑민들이 정착하여 설치되었다. |
남조 송 시대에, 제음군이 북위에 빼앗기자, 서주에 교치(僑置)했다. 수릉(睢陵)・정도(定陶)・돈구(頓丘) 3개 현을 관할했다.
송말 회남으로 옮겨진 제음군은 남제 시기 북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3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돈구현 | 頓丘縣 | 미상 | 483년(남제 무제 영명 원년) 정도현이 통폐합되었다. |
수릉현 | 睢陵縣 | 추저우시 밍광시 구현촌(舊縣村) 일대 | |
낙평현 | 樂平縣 | 미상 | 483년 종리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제안현 | 濟安縣 |
527년(북위 효명제 효창 3년) 서연주로 분리되자 서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서연주가 분리된 직후 제음군에 서연주의 치소를 두었으나 후에 주 치소가 좌성(左城)으로 옮겨졌다. 위나라 때 제음군은 4현 29,836호 83,580명을 거느렸다.[3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군의 치소가 있었다. 현 경내에 정도성(定陶城)이 있었다.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현 경내에 이호성(離狐城), 도성(桃城)이 있었다.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원구성(冤句城)에 치소를 두었다. 현 경내에 남양성(南陽城)이 있었다.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무단구 | 현 경내에 대향성(大鄕城), 양구성(梁丘城), 늠성(廩城)이 있었다. |
북위 때 제음군은 서연주에 속했으며, 정도, 이호, 원구, 승씨의 4개 현을 관할했다.[22]
2. 5. 1. 유송
비수대전이후 동진은 후연을 공격하여 옛 연주를 수복했고 옛 제음군 자리에 군을 다시 두었고 서주로 편입되었다.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북제음군이 신설되었다.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하비군의 속현이었던 수릉현 지역으로 옮겨졌다. 유송대 교치된 연주는 3현 2,305호 11,928명을 거느렸다.[32]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경 북위의 침공으로 인해 송나라가 회수이북 전역을 상실하면서 회남지방으로 옮겨졌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민정 | 비고 |
---|---|---|---|---|
수릉현 | 睢陵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 령(令) | 457년 이후 제음군의 치소가 되었다. |
정도현 | 定陶縣 | 미상 | 461년(유송 효무제 대명 5년) 쑤이닝현 일대로 옮겨졌다. | |
돈구현 | 頓丘縣 | 돈구군의 속현이다. 유랑민들이 정착하여 설치되었다. |
남조 송 시대에, 제음군이 북위에 빼앗기자, 서주에 僑置(교치)했다. 수릉(睢陵)・정도(定陶)・돈구(頓丘) 3개 현을 관할했다.
2. 5. 2. 남제
송말 회남으로 옮겨진 제음군은 남제 시기 북서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3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돈구현 | 頓丘縣 | 미상 | 483년(남제 무제 영명 원년) 정도현이 통폐합되었다. |
수릉현 | 睢陵縣 | 추저우시 밍광시 구현촌(舊縣村) 일대 | |
낙평현 | 樂平縣 | 미상 | 483년 종리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제안현 | 濟安縣 |
2. 5. 3. 북위
527년(북위 효명제 효창 3년) 서연주로 분리되자 서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서연주가 분리된 직후 제음군에 서연주의 치소를 두었으나 후에 주 치소가 좌성(左城)으로 옮겨졌다. 위나라 때 제음군은 4현 29,836호 83,580명을 거느렸다.[34]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군의 치소가 있었다. 현 경내에 정도성(定陶城)이 있었다. |
이호현 | 離狐縣 | 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 현 경내에 이호성(離狐城), 도성(桃城)이 있었다.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원구성(冤句城)에 치소를 두었다. 현 경내에 남양성(南陽城)이 있었다.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무단구 | 현 경내에 대향성(大鄕城), 양구성(梁丘城), 늠성(廩城)이 있었다. |
북위 때 제음군은 서연주에 속했으며, 정도, 이호, 원구, 승씨의 4개 현을 관할했다.[22]
2. 6. 수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제음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수나라 때 제음군은 제음현, 외황현, 제양현, 성무현, 원구현, 승씨현, 정도현, 단부현, 금향현의 9현 140,948호를 거느렸다.[35]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제음현 | 濟陰縣 | 허쩌시 차오현 서북 녹묘촌(鹿廟村) 일대 |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황현(黃縣)이 분리 신설되었다. 이 황현은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몽택현(蒙澤縣)으로 개명되었다가 대업 초기 통폐합되었다. |
외황현 | 外黃縣 | 상추시 민취안현 내황서촌(內黃西村) 일대 | 북제 때 성안현(成安縣)이 통폐합되었다. 598년 수성현(首城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기 폐지되었다. |
제양현 | 濟陽縣 | 카이펑시 란카오현 고양진(固陽鎭) | |
성무현 | 成武縣 | 허쩌시 청우현 고정집(郜鼎集) → 허쩌시 청우현 | 개황 초기 영창군(永昌郡)이 조주에 통폐합되면서 본주로 편입되었다.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재주(戴州)로 분리되었다가 대업 초기 재주가 조주에 통폐합되면서 본주로 편입되었다.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청우현 고정집에 있던 치소가 청우현으로 옮겨졌다. |
원구현 | 寃句縣 | 허쩌시 둥밍현 팽장촌(彭庄村) 일대 | |
승씨현 | 乘氏縣 | 허쩌시 | |
정도현 | 定陶縣 | 허쩌시 딩타오구 북서 이선장(李綫庄) | |
단부현 | 單父縣 | 허쩌시 산현 | 북제 때 북제음군과 이호현(離狐縣)이 폐지되었다. 586년 이호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재설치되었다. |
금향현 | 金鄕縣 | 지닝시 진샹현 | 596년 창읍현(昌邑縣)이 분리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에 폐지되었다. |
583년(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제음군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다.[23]
2. 7. 당
전한 초, 양군의 일부였다. 기원전 144년(경제 중6년), 유불식이 제음왕에 봉해져 '''제음국'''이 설치되었다. 이듬해 제음왕 유불식이 사망하고 제음국은 폐지되어 제음군이 설치되었다[11].[ 기원전 52년] (감로 2년), 황자 유개가 정도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정도국으로 개명되었다[12].[ 기원전 5년] (건평 2년), 정도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 제음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정도, 원구, 려도, 가밀, 성양, 권성, 구양, 저, 승씨의 9개 현을 관할했다. 전한 말에는 29만 25호, 138만 6278명이 있었다[13]왕망 때 제평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이 건국되면서 제음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
72년 (영평 15년), 유장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4].[ 84년] (원화 원년), 제음왕 유장이 사망하자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5].[ 124년] (연광 3년), 황태자유보가 폐위되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6].[ 125년] (연광 4년), 제음왕 유보(순제)가 황위에 오르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7].[ 212년] (건안 17년), 황자 유희가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9]
조위가 건국되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 태화 연간에 팽성왕 조거가 제음왕으로 개봉되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 231년] (태화 5년), 제음왕 조거가 정도왕으로 강등되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20]
서진 때 제음군은 정도, 승씨, 구양, 이호, 원구, 기씨, 성무, 단보, 성양의 9개 현을 관할했다[21]
북위 때 제음군은 서연주에 속했으며, 정도, 이호, 원구, 승씨의 4개 현을 관할했다[22]
북주 말년, 서연주는 조주로 개칭되었고, 제음군은 조주에 속했다.
583년 (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제음군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조주는 제음군으로 개칭되었다. 제음군은 제음, 외황, 제양, 성무, 원구, 승씨, 정도, 단보, 금향의 9개 현을 관할했다[23]
621년 (무덕 4년), 당에 의해 제음군은 조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조주는 제음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제음군은 조주로 개칭되면서 제음군의 명칭은 사라졌다[24]
3. 인구 변화
왕조 | 서한 | 동한 | 서진 | 북위 | 수나라 | 당나라 |
---|---|---|---|---|---|---|
연도 | 2 | 140 | 280 | 534 | 609 | 742 |
가구 | 292,005[3] | 133,715[7] | 7,600[8] | 29,836[9] | 140,948[10] | 100,352[6] |
인구 | 1,386,278 | 657,554 | 83,580 | 716,848 |
전한 초, 양군의 일부였다가 기원전 144년 (경제 중6년) 유불식이 제음왕에 봉해져 '''제음국'''이 설치되었으나, 이듬해 제음왕 유불식이 사망하여 제음국이 폐지되고 제음군이 설치되었다.[11] 기원전 52년(감로 2년), 황자 유개가 정도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정도국으로 개명되었다.[12] 기원전 5년(건평 2년), 정도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 제음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전한 말에는 29만 25호, 138만 6278명이 있었다.[13]
왕망 때 제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제음군으로 명칭이 되돌아갔다.
72년(영평 15년) 유장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으나,[14] 84년(원화 원년) 제음왕 유장이 사망하자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5] 124년(연광 3년) 황태자유보가 폐위되어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가,[16] 125년(연광 4년) 제음왕 유보(순제)가 황위에 오르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17] 212년(건안 17년), 황자 유희가 제음왕에 봉해지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19]
조위가 건국되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 태화 연간에 팽성왕 조거가 제음왕으로 개봉되면서 제음군은 제음국으로 개칭되었다가, 231년(태화 5년) 제음왕 조거가 정도왕으로 강등되면서 제음국은 제음군으로 되돌아갔다.[20]
북위 때 제음군은 서연주에 속했다.[22] 북주 말년, 서연주는 조주로 개칭되었고, 제음군은 조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제음군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다.[23]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조주는 제음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무덕 4년), 당에 의해 제음군은 조주로 개칭되었다.[24] 742년(천보 원년), 조주는 제음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 제음군은 조주로 개칭되면서 제음군의 명칭은 사라졌다.[24]
참조
[1]
서적
Book of Han
https://s:zh:漢書/卷014
[2]
서적
Book of Han
https://s:zh:漢書/卷080
[3]
서적
Book of Han
https://s:zh:漢書/卷028[...]
[4]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s:zh:後漢書/卷50
[5]
서적
Book of Song
https://s:zh:宋書/卷35
[6]
서적
New Book of Tang
[7]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s:zh:後漢書/卷11[...]
[8]
서적
Book of Jin
[9]
서적
Book of Wei
https://s:zh:魏書/卷106[...]
[10]
서적
Book of Sui
https://s:zh:隋書/卷30
[11]
서적
史記
[12]
서적
漢書
[13]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4]
서적
後漢書
[15]
서적
後漢書
[16]
서적
後漢書
[17]
서적
後漢書
[18]
서적
後漢書
[19]
서적
後漢書
[20]
서적
三国志
[21]
서적
晋書
[22]
서적
魏書
[23]
서적
隋書
[24]
서적
旧唐書
[25]
서적
宋書
[26]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2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9]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30]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31]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32]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33]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34]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35]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