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크 스몰린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이크 스몰린스키는 은퇴한 미국의 야구 선수로,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워싱턴 내셔널스에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14년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5시즌 동안 234경기에 출전, 타율 0.235, 16홈런, 67타점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에서 활동하며 55경기에서 타율 0.229, 9홈런, 42타점을 기록했으며,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퍼드 (일리노이주) 출신 - 고든 털럭
고든 털럭은 공공 선택 이론의 선구자로서 제임스 M. 뷰캐넌과 함께 해당 분야를 개척하고 지대 추구 개념을 정립하여 정치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 NC 다이노스 - 창원 다이노스
창원 다이노스는 NC 다이노스의 퓨처스리그 팀으로, 고양에서 활동하며 퓨처스리그 상위권 성적을 기록, 스폰서십 마케팅과 유료 관중제를 도입하는 등 노력했으나, 2017년 시즌 후 창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NC 다이노스 - 창원NC파크
창원NC파크는 2019년 개장한 NC 다이노스의 야구장으로, 파퓰러스가 설계에 참여하여 124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으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편리한 접근성을 갖춘 창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2019년 야구 - 이영하 (야구 선수)
이영하는 1997년생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두산 베어스 투수이며, 고교 시절 강속구로 주목받아 1차 지명으로 입단, 2019년 17승을 기록하고 한국 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학교 폭력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받고 복귀했다. - 2019년 야구 - 고영민
고영민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2루수이자 빠른 발과 넓은 수비 범위를 갖춘 선수, 꼼꼼한 타격 분석으로 평가받았으며 현재는 롯데 자이언츠 코치이다.
제이크 스몰린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이크 스몰린스키 |
영어 이름 | Jacob Michael Smolinski |
출생일 | 1989년 2월 9일 |
출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위네바고군 록퍼드 |
신장 | 5피트 11인치 (약 180cm) |
체중 | 215파운드 (약 97.5kg) |
타석 | 우타 |
투구 | 우투 |
포지션 | 좌익수 |
선수 경력 | |
고등학교 | 보일란 가톨릭 고등학교 |
드래프트 | 2007년 MLB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70위, 워싱턴 내셔널스) |
프로 입단 연도 | 2007년 |
메이저 리그 데뷔 | 2014년 7월 7일, 텍사스 레인저스 |
KBO 리그 데뷔 | 2019년 7월 11일, 사직야구장 대 롯데전 |
메이저 리그 최종 출장 | 2018년 6월 20일 |
KBO 리그 최종 출장 | 2019년 10월 3일, 잠실 대 LG전 |
소속팀 | 텍사스 레인저스 (2014년 ~ 2015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5년 ~ 2018년) NC 다이노스 (2019년) |
계약 정보 (KBO) | |
계약금 | 50,000 달러 |
연봉 | 250,000 달러 |
기록 (MLB) | |
타율 | 0.235 |
홈런 | 16 |
타점 | 67 |
기록 (KBO) | |
타율 | 0.226 |
홈런 | 14 |
타점 | 59 |
2. 선수 경력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워싱턴 내셔널스에 2라운드 지명을 받고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14년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2019년에는 탬파베이 레이스 산하 마이너리그 트리플A 팀인 더럼 불스에서 활동했다.[14]
2019년 7월 4일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와 계약했으나,[7] 같은 해 NC 다이노스에서 퇴단하며 선수 경력에서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경력
일리노이주 록포드에서 태어나고 자란 스몰린스키는 보일란 가톨릭 고등학교에 재학했으며, 그곳에서 쿼터백으로 미식축구 선수로도 활약했다.[1] 야구 선수로서 스몰린스키는 유격수이자 투수였다. 12학년 때 스몰린스키는 타율 .441, 홈런 13개, 타점 49점을 기록했다.[2]2. 2. 프로 경력
2007년 워싱턴 내셔널스에 지명된 후, 2014년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메이저 리그 데뷔 경기를 가졌다. 2019년에는 탬파베이 레이스 산하 마이너리그 트리플A 팀인 더럼 불스에서 타율 0.270, 12홈런, 9도루를 기록했다.[14]2019년 7월 4일,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와 계약했으나,[7] 같은 해에 퇴단하며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1. 미국 프로야구 시절
스몰린스키는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워싱턴 내셔널스에 좌익수와 3루수로 지명되었다.[3] 계약 후, 산하 루키급 걸프 코스트 리그 내셔널스에서 프로 데뷔하여 28경기에 출전, 타율 0.305, 1홈런, 16타점, 7도루를 기록했다. 2008년에는 A급 헤이거스타운 선스에서 50경기에 출전, 타율 0.261, 4홈런, 22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8월부터는 루키급 걸프 코스트 리그 내셔널스와 A-급 버몬트 레이크 몬스터스에서 뛰었다. A-급 버몬트에서는 2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06, 9타점, 4도루를 기록했다.2008년 11월 11일, 조쉬 윌링햄, 스콧 올슨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에밀리오 보니파시오, P.J. 딘과 함께 마이애미 말린스로 이적했다.[8]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마이애미 말린스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활동했다.
2013년 11월 18일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4] 2014년에는 AA급 프리스코 러프라이더스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6월에 AAA급 라운드록 익스프레스로 승격되었다. 7월 7일, 텍사스 레인저스와 메이저 계약을 맺고 액티브 로스터에 포함되었으며,[9] 같은 날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7회말에 레오니스 마틴의 대타로 출전했지만 삼진으로 물러났고, 8회부터 좌익수 수비를 맡았다. 이날 2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10] 7월 22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자가 타구에 발을 맞아 골절된 후, 9월에 복귀했다. 이 해 메이저 리그에서는 2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49, 3홈런, 12타점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35경기에 출전했지만 타율 .133, 1홈런, 3타점, 1도루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6월 19일에 DFA가 되었고,[11] 6월 21일 웨이버 공시를 거쳐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이적했다.[1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합류 후 4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24를 기록했다. 두 팀 통산 76경기 출전에 타율 .193, 6홈런, 26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외야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기용되어 99경기에 출전, 타율 .238, 7홈런, 27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2018년 정규 시즌 종료 후 10월 12일에 마이너 계약으로 산하 AAA급 내슈빌 사운즈로 배정되었고, 16일에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2018년 11월 7일에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2019년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 선수로 참가하게 되었다.[12] 2019년에는 AAA급 더럼 불스에서 뛰었고, 7월 2일, FA가 되었다.[6]
2. 2. 2. KBO 리그 시절
2019년 7월 4일 크리스티안 베탄코트를 대체할 야수로 총액 40만달러(옵션 10만달러)에 영입되었다.[15]7월 11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데뷔했다. 7월 17일 청주야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3번타자 우익수로 출전해, 7회초 1사 1루에서 황영국을 상대로 2점 홈런을 기록하면서 KBO 리그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6타수 4안타 3타점 3득점을 기록했다.[15]
8월 13일 대전야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는 6타점을 기록하면서, NC 다이노스의 10-2 승리에 기여했다.[16]
2019년 시즌 55경기 타율 0.229, 47안타, 9홈런, 42타점, 32득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재계약에 실패했고, NC 다이노스는 알테어를 영입했다.
3.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
2019 | NC | 0.229 | 55 | 205 | 32 | 47 | 14 | 1 | 9 | 90 | 42 | 3 | 1 | 16 | 5 | 31 | 7 | 0.439 | 0.298 | 3 |
통산 | 1시즌 | 0.229 | 55 | 205 | 32 | 47 | 14 | 1 | 9 | 90 | 42 | 3 | 1 | 16 | 5 | 31 | 7 | 0.439 | 0.298 | 3 |
연도 | 구단 | 좌익(LF) | 우익(RF) | 중견(CF) | |||||||||||||||
---|---|---|---|---|---|---|---|---|---|---|---|---|---|---|---|---|---|---|---|
시합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시합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시합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4 | 텍사스 | 12 | 17 | 0 | 0 | 0 | 1.000 | 9 | 24 | 0 | 0 | 0 | 1.000 | - | |||||
2015 | 25 | 31 | 0 | 0 | 0 | 1.000 | 6 | 10 | 0 | 0 | 0 | 1.000 | - | ||||||
오클랜드 | 27 | 34 | 1 | 0 | 0 | 1.000 | 10 | 14 | 4 | 0 | 1 | 1.000 | - | ||||||
'15계 | 52 | 65 | 1 | 0 | 0 | 1.000 | 16 | 24 | 4 | 0 | 1 | 1.000 | - | ||||||
2016 | 18 | 24 | 0 | 0 | 0 | 1.000 | 29 | 40 | 0 | 0 | 0 | 1.000 | 49 | 117 | 3 | 1 | 1 | .992 | |
2017 | 1 | 0 | 0 | 0 | 0 | .--- | 1 | 1 | 0 | 0 | 0 | 1.000 | 9 | 21 | 0 | 0 | 0 | 1.000 | |
2018 | 1 | 0 | 0 | 0 | 0 | .--- | - | 15 | 30 | 0 | 0 | 0 | 1.000 | ||||||
MLB | 84 | 106 | 1 | 0 | 0 | 1.000 | 55 | 89 | 4 | 0 | 1 | 1.000 | 73 | 168 | 3 | 1 | 1 | .994 |
연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18 | 오클랜드 | 1 | 0 | 0 | 0 | 0 | ---- | 5 | {{cvt|1.0|} | } || 2 || 1 || 0 || 0 || 0 || 0 || 0 || 0 || 2 || 2 || 18.00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