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브라이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브라이디는 스코틀랜드의 극작가이자 의사였다. 그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40세부터 약 20년 동안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했으며,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기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공헌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해부학자》, 《잠자는 승려》 등이 있으며,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한 작품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또한 영화 시나리오 작업에도 참여했으며, 1946년 스코틀랜드 극장 축제를 제안하고,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 초대 의장을 역임하며 에든버러 페스티벌 설립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연극 - 존 번 (각본가)
존 번은 스코틀랜드의 극작가, 각본가, 화가로, 1970년대부터 활동하며 연극, TV 드라마, 앨범 커버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펼치다 2023년에 사망했다. - 스코틀랜드의 영화 각본가 - 데이비드 번
데이비드 번은 1952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싱어송라이터, 배우, 음악가, 미술가, 작가이며 토킹 헤즈의 프런트맨으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실험적인 시도, 독창적인 비주얼 아트, 영화 음악 작업으로도 유명하다. - 스코틀랜드의 영화 각본가 - 피터 카팔디
피터 카팔디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출신의 배우, 작가, 감독으로, 《닥터 후》의 열두 번째 닥터 역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 수상과 아카데미상 수상 경력을 가진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글래스고 대학교 동문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글래스고 대학교 동문 - 제임스 와트
제임스 와트는 뉴커먼 기관을 개량하여 현대적인 증기 기관을 개발하고 효율성을 극적으로 높여 산업 혁명의 핵심 동력이 되었으며, 그의 업적은 와트(단위)로 기념된다.
제임스 브라이디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스본 헨리 메이버 |
출생 | 1888년 1월 3일 |
출생지 | 글래스고 |
사망 | 1951년 1월 29일 (63세) |
사망지 | 에든버러 |
국적 | 영국 |
직업 |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의사 |
활동 기간 | 1928년–1951년 |
장르 | 극 |
배우자 | 로나 록하트 브라이디 |
자녀 | 로날드 브라이디 프레드릭 브라이디 조안 브라이디 |
2. 생애
그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했으며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에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 그의 주요작품인 <해부학자(解剖學者)>(1930년) <잠자는 승려(僧侶)>(1933년)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그리는 한편, 성서(聖書)에서 취재한 <토비아스와 천사>(1930년) <요나와 고래>(1930-1942년) 등을 비롯하여 희극(戱劇)·소극(笑劇)·사극(史劇)·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기고 있으며 영국의 연극사상에서도 특이한 존재가 되었다. 또한 명여우 번즈의 주연으로 호평을 얻은 <다프니>(1949년)처럼 여성의 성격묘사에 걸출한 이색작도 있다.
그는 전기 기술자이자 기업가인 헨리 알렉산더 메이보(1858–1915)와 그의 아내 자넷 오스본의 아들이었다.[6][7] 그는 글래스고 아카데미에서 학교를 다녔고, 그 후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1913년에 졸업했다.[8] 이후 일반의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의관으로 복무한 후 컨설턴트 의사이자 교수가 되었다. 프랑스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복무했다.[9] 그는 시체 도굴범 버크와 헤어에 관한 코미디 연극 ''해부학자'' (1931)로 명성을 얻었다.[10] 이 작품과 다른 코미디 연극들은 런던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그는 1938년에 전업 작가가 되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시 군대에 복귀하여 의사로 복무했다.[1]
1923년에 그는 로나 로크 브렘너(1897–1985)와 결혼했다. 그들의 아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했다.[1] 그의 다른 아들 로널드(1925–2007) 역시 의사이자 극작가였다.[11] 로널드는 의학에서 은퇴한 후 ''스코츠맨''의 드라마 평론가가 되었고,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 이사, 에든버러 페스티벌 부회장을 역임했다.[5] 그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연극 교수이자 연극학과장이었으며 C.B.E.로 임명되었다.[5]
브라이디는 뇌졸중으로 에든버러에서 사망했으며 글래스고 웨스턴 묘지에 묻혔다.[5] 글래스고 대학교 유니언의 브라이디 도서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매년 12월 유니언에서 열리는 연례 브라이디 디너도 마찬가지이다.[1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제임스 브라이디는 1888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전기 기술자이자 기업가인 헨리 알렉산더 메이보와 그의 아내 자넷 오스본의 아들로 태어났다.[6][7] 그는 글래스고 아카데미에서 학교를 다녔고,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1913년에 졸업했다.[8]이후 일반의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의관으로 프랑스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복무했다.[9] 그는 시체 도굴범 버크와 헤어에 관한 코미디 연극 ''해부학자'' (1931)로 명성을 얻었다.[10] 이 작품과 다른 코미디 연극들은 런던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그는 1938년에 전업 작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시 군대에 복귀하여 의사로 복무했다.[1]
1923년에는 로나 로크 브렘너와 결혼했다. 그들의 아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했다.[1] 그의 다른 아들 로널드는 의사이자 극작가였으며, 스코츠맨의 드라마 평론가,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 이사, 에든버러 페스티벌 부회장을 역임했다.[5]
그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여, 졸업 후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했으며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에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
브라이디는 뇌졸중으로 에든버러에서 사망했으며 글래스고 웨스턴 묘지에 묻혔다.[5] 글래스고 대학교 유니언의 브라이디 도서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매년 12월 유니언에서 열리는 연례 브라이디 디너도 마찬가지이다.[12]
2. 2. 의료 및 군 복무 경력
그는 글래스고 아카데미에서 학교를 다녔고,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1913년에 졸업했다.[6][7][8] 이후 일반의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의관으로 프랑스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복무했다.[9] 그는 시체 도굴범 버크와 헤어에 관한 코미디 연극 ''해부학자'' (1931)로 명성을 얻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시 군대에 복귀하여 의사로 복무했다.[1]2. 3. 결혼과 가족
1923년에 제임스 브라이디는 로나 로크 브렘너(1897–1985)와 결혼했다.[1] 그들의 아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했다.[1] 그의 다른 아들 로널드(1925–2007)는 의사이자 극작가였다.[11] 로널드는 의학에서 은퇴한 후 ''스코츠맨''의 드라마 평론가가 되었고,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 이사, 에든버러 페스티벌 부회장을 역임했다.[5] 그는 서스캐처원 대학교의 연극 교수이자 연극학과장이었으며 C.B.E.로 임명되었다.[5]2. 4. 사망
제임스 브라이디는 뇌졸중으로 에든버러에서 사망했으며 글래스고 웨스턴 묘지에 묻혔다.[5] 글래스고 대학교 유니언의 브라이디 도서관과 매년 12월 유니언에서 열리는 연례 브라이디 디너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그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하여,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3. 극작 활동
그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했으며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에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 그의 주요작품인 1930년작 <해부학자(解剖學者)>, 1933년작 <잠자는 승려(僧侶)>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그리는 한편, 성서(聖書)에서 취재한 1930년작 <토비아스와 천사>, 1930년~1942년작 <요나와 고래> 등을 비롯하여 희극(戱劇)·소극(笑劇)·사극(史劇)·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기고 있으며 영국의 연극사상에서도 특이한 존재가 되었다. 또한 명여우 번즈의 주연으로 호평을 얻은 1949년작 <다프니>처럼 여성의 성격묘사에 걸출한 이색작도 있다.
3. 1. 주요 작품
제임스 브라이디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하여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주요 작품으로는 1930년에 발표한 〈해부학자(解剖學者)〉, 1933년에 발표한 〈잠자는 승려(僧侶)〉 등이 있다. 이 작품들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그리고 있다.
성서에서 취재한 〈토비아스와 천사〉(1930년), 〈요나와 고래〉(1930-1942년) 등을 비롯하여 희극(戱劇)·소극(笑劇)·사극(史劇)·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겼다.
영국의 연극사상에서도 특이한 존재가 되었으며, 명여우 번즈의 주연으로 호평을 얻은 〈다프니〉(1949년)처럼 여성의 성격묘사에 걸출한 이색작도 있다.
3. 2. 극작 스타일
제임스 브라이디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했으며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에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그의 주요작품인 <해부학자(解剖學者)>(1930년), <잠자는 승려(僧侶)>(1933년)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묘사하였다.
또한, 성서(聖書)에서 취재한 <토비아스와 천사>(1930년), <요나와 고래>(1930-1942년) 등을 비롯하여 희극(戱劇)·소극(笑劇)·사극(史劇)·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기고 있으며 영국의 연극사상에서도 특이한 존재가 되었다.
여성의 성격묘사에 걸출한 이색작도 있는데, 명여우 번즈의 주연으로 호평을 얻은 <다프니>(1949년)가 대표적이다.
4. 스코틀랜드 연극에 대한 기여
그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했으며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에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티즌스 극장(Citizens Theatre)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13][14] 그의 주요작품인 <해부학자(解剖學者)>(1930년) <잠자는 승려(僧侶)>(1933년)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그리는 한편, 성서(聖書)에서 취재한 <토비아스와 천사>(1930년) <요나와 고래>(1930-1942년) 등을 비롯하여 희극(戱劇)·소극(笑劇)·사극(史劇)·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기고 있으며 영국의 연극사상에서도 특이한 존재가 되었다. 또한 명여우 번즈의 주연으로 호평을 얻은 <다프니>(1949년)처럼 여성의 성격묘사에 걸출한 이색작도 있다.
토니 패터슨은 브라이디의 작품이 1960년대 초까지 스코틀랜드 연극의 기조를 설정했고, 로버트 켐프, 알렉산더 리드, 조지 먼로와 같은 다른 스코틀랜드 극작가들에게 격려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5] 앨런 리아크는 (2021년) 브라이디의 희곡을 진지하면서도 '활기찬 재미'를 제공하며, 동시대에 '상업적으로 성공'하면서도 '끊임없이 도발적'이며, 리아크가 브레히트적이라고 여기는 열린 질문을 제기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는 브라이디의 1939년 자서전 ''One Way of Living''의 문학적 질을 높이 평가하며 '현대 고전'이라고 칭했다.[16]
1946년 브라이디는 스코틀랜드 퍼스에서 스코틀랜드 극장 축제를 제안하며, 스코틀랜드 극장들이 모여 도시를 스코틀랜드 잘츠버그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17] 그는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의 초대 의장을 역임했으며 에든버러 페스티벌 설립에도 기여했다.[5] 1950년에는 오늘날 스코틀랜드 왕립 음악원의 일부인 글래스고 연극 예술 대학을 설립했다.
4. 1. 글래스고 시민극장 설립
제임스 브라이디는 글래스고에 시티즌스 극장(Citizens Theatre)을 공동 설립하였으며[13][14], 미술 감독 톰 호니먼 박사와 영화 재벌 조지 싱글턴도 함께 설립했다. 조지 싱글턴은 오늘날의 글래스고 영화 극장의 전신인 코스모 극장도 설립했다. 그의 많은 희곡이 1943년부터 1960년까지 시티즌스 극장에서 공연되었다.그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했으며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에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
1946년 브라이디는 스코틀랜드 퍼스에서 스코틀랜드 극장 축제를 제안하며, 스코틀랜드 극장들이 모여 도시를 스코틀랜드 잘츠버그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17] 그는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의 초대 의장을 역임했으며 에든버러 페스티벌 설립에도 기여했다.[5] 1950년에는 오늘날 스코틀랜드 왕립 음악원의 일부인 글래스고 연극 예술 대학을 설립했다.
4. 2. 기타 활동
제임스 브라이디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 희곡에 전념하여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13][14] 그는 글래스고 시티즌스 극장(Citizens Theatre)의 창립에 참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15] 앨런 리아크는 (2021년) 브라이디의 희곡을 진지하면서도 '활기찬 재미'를 제공하며, 동시대에 '상업적으로 성공'하면서도 '끊임없이 도발적'이며, 리아크가 브레히트적이라고 여기는 열린 질문을 제기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또한 1939년 자서전 ''One Way of Living''의 문학적 질을 높이 평가하며 '현대 고전'이라고 칭했다.[16]1946년 브라이디는 스코틀랜드 퍼스에서 스코틀랜드 극장 축제를 제안하며, 스코틀랜드 극장들이 모여 도시를 스코틀랜드 잘츠버그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17] 그는 스코틀랜드 예술 위원회의 초대 의장을 역임했으며 에든버러 페스티벌 설립에도 기여했다.[5] 1950년에는 오늘날 스코틀랜드 왕립 음악원의 일부인 글래스고 연극 예술 대학을 설립했다.
브라이디는 1940년대 후반, 연출가 알프레드 히치콕과 함께 ''파라딘 부인''(1947), ''카프리콘의 춘정''(1949), ''무대 공포증''(1950) 등의 영화 작업도 하였다.[1]
5. 영화 활동
제임스 브라이디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도 희곡에 전념하여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13][14][15]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 그의 주요 작품인 <해부학자(解剖學者)>(1930년)와 <잠자는 승려(僧侶)>(1933년)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묘사했다. 또한 성서(聖書)에서 취재한 <토비아스와 천사>(1930년), <요나와 고래>(1930-1942년) 등을 비롯하여 희극(戱劇)·소극(笑劇)·사극(史劇)·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겼다. 영국 연극사에서도 특이한 존재로 평가받으며, <다프니>(1949년)처럼 여성의 성격 묘사에 뛰어난 작품도 있다.
1940년대 후반, 브라이디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과 함께 영화 작업도 하였다.
- ''파라딘 부인''(1947): 브라이디가 원래 시나리오를 썼고, 벤 헤크트가 몇몇 대사를 추가했다. 그러나 캐스팅으로 인해 등장인물들이 변경되어 데이비드 O. 셀즈닉이 다른 시나리오를 써야 했다.
- ''카프리콘의 춘정''(1949)[1]
- ''무대 공포증''(1950)[1]
6. 평가
제임스 브라이디는 의료업에 종사하면서도 희곡에 전념하여 40세 경부터 약 20년 동안 30여 편의 희곡을 발표하였다. 그는 글래스고 시민극장의 창립에도 관여하여 스코틀랜드 극계에 크게 공헌했다. 그의 주요 작품인 《해부학자》(1930년), 《잠자는 승려》(1933년)에서 볼 수 있듯이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여 엄격한 퓨리터니즘의 세계와 악마적 인물과의 갈등을 과학자다운 날카로운 솜씨로 그렸다. 한편, 《토비아스와 천사》(1930년), 《요나와 고래》(1930-1942년) 등 성서에서 취재한 작품을 비롯하여 희극, 소극, 사극, 발라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품을 남겨 영국 연극사상 특이한 존재가 되었다. 또한 명여우 번즈의 주연으로 호평을 얻은 《다프니》(1949년)처럼 여성의 성격 묘사에 걸출한 이색작도 있다.
7. 작품 목록
- ''알렉산더에 관한 이야기'' (1926), 책, 군의관으로서의 경험
- ''선라이트 소나타'' 또는 ''일곱 가지 대죄를 만나다'' (1928), 존 브랜데인의 도움을 받아, 타이론 거스리가 연출했으며, 메리 헨더슨이라는 필명으로 출판됨
- ''스위치백'' (1929), 제임스 브랜데인과 함께
- ''젊어진다는 것'' (1929)
- ''쿠알라룸푸르에 가고 싶지 않은 소녀'' (1930)
- ''죄인의 이야기'' (1930)
- ''토비아스와 천사'' (1930)
- ''놀라운 복음 전도자'' (1931)
- ''해부학자'' (1931) (역사적인 버크와 헤어 살인 사건의 극화)
- ''춤추는 곰'' (1931)
- ''요나와 고래'' (1932)
- ''잠자는 성직자'' (1933)
- ''결혼은 농담이 아니다'' (1934)
- ''윌더스푼 대령'' 또는 ''위대함의 네 번째 길'' (1934)
- ''메리 리드'' (클로드 거니와 함께) (1934)
- ''비극의 여신'' (1934)
- ''검은 눈'' (1935)
- ''티컵 속의 폭풍'' (각색) (1936) 브루노 프랑크의 ''Sturm im Wasserglas''를 바탕으로 함
- ''수산나와 장로들'' (1937)
- ''어디에도 없는 왕'' (1938)
- ''숲속의 아기들'' (1938)
- ''마지막 트럼펫'' (1938)
- ''주방 코미디'' 라디오 연극 (1938)
- ''편지함이 덜컹거린다'' (1938)
- ''살아가는 한 가지 방법'' (1939) - 자서전
- ''그들은 무슨 말을 할까?'' (1939)
- ''예언자 요나의 표적'' 라디오 연극 (1942) 요나와 고래 각색
- ''용과 비둘기'' 또는 ''수도사 아브라함이 조카를 위해 악마와 싸운 방법'' (1943)
- ''요나 3'' (1942) ''요나와 고래'' 개정판
- ''홀리 아일'' (1942)
- ''더 나쁜 쪽으로의 변화'' 1943
- ''볼프리 씨'' 1943
- ''지루하고 짧음'' (1944)
- ''랜슬롯'' 1945
- ''파라다이스 에노'' 1945
- ''해적의 소굴'' (1946) 미발표, 아치볼드 P. 켈록이라는 필명으로 작성됨
- ''고그와 마고그'' 1948
- ''그것은 당신이 의미하는 바에 달려있다'' 1949
- ''포리건 릴'' 발라드 오페라 1949
- ''안젤루스 박사'' 1949
- ''존 녹스'' 1949
- ''다프네 로렐라'' 1949
- ''슐츠의 황금 전설'' 1949 - 거기 꼬부랑 할아버지 있었네 (영화)로 노먼 위즈덤에 의해 각색됨
- ''길리 씨'' 1950
- ''여왕의 코미디'' 1950
- ''어리석은 것이 현명하다'' 1952
- ''바이키 차리바리 또는 일곱 예언자'' 1953
- ''밤의 만남 (아치볼드 배티와 함께)'' 1954
- (각색) ''들오리''. 헨리크 입센의 비르덴을 바탕으로 함
- (각색) ''릴리옴'' 페렌츠 몰나르의 동명 희곡을 바탕으로 함
- (각색) ''헤다 가블러'' 헨리크 입센
- (각색) ''인간 혐오자'' 몰리에르의 ''르 미잔트로프''를 바탕으로 함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Modern British Dramatists 1900-1945
Gale, Detroit
1982
[2]
서적
James Bridie (Osborne Henry Mavor)
Twayne Publishers, Boston
1980
[3]
서적
James Bridie and His Theatre: a study of James Bridie's personality, his stage plays, and his work for the foundation of a Scottish national theatre
Rockliff
1955
[4]
서적
James Bridie: Clown and Philosoph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5
[5]
서적
Dr. Mavor and Mr. Bridie: Memories of James Bridie
Canongate and The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1988
[6]
웹사이트
Mavor, Osborne Henry
[7]
웹사이트
Henry Alexander Mavor - Graces Guide
https://www.gracesgu[...]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Glasgow :: Story :: Biography of Osborne Henry Mavor
https://www.universi[...]
2019-02-04
[9]
웹사이트
Captain Osborne Henry Mavor
http://www.universit[...]
Glasgow University
2014-05-16
[10]
웹사이트
James Bridie
https://www.oxfordre[...]
[11]
웹사이트
Literature – Dr Osborne Henry Mavor CBE – Heroes Centre
http://www.heroescen[...]
[12]
뉴스
James Bridie Memorial. University Ceremonies
https://news.google.[...]
2017-10-25
[13]
웹사이트
The Citizens Theatre, 119 Gorbals Street, Glasgow
http://www.arthurllo[...]
[14]
웹사이트
TheGlasgowStory: Citizens' Theatre
https://www.theglasg[...]
[15]
간행물
Four Decades of Drama
1981
[16]
뉴스
Perennially provocative
https://www.thenatio[...]
2021-09-27
[17]
서적
The Edinburgh Festivals: Culture and Society in Post-war Britain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18]
서적
James Bridie's "Tobias and the Angel"
Andrew Brodie Publications, London
1960
[19]
간행물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Part 1.
Library of Congress
1940
[20]
뉴스
Glasgow First Night of Bridie's "Best Play"
https://news.google.[...]
2017-11-15
[21]
간행물
Billboard
1950-09-30
[22]
뉴스
Bridie Play Premier
https://news.google.[...]
2018-05-05
[23]
뉴스
Bridie Wit and Philosophy Among the Gods
https://news.google.[...]
2018-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