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관광공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 진흥을 위해 2008년 설립된 기관이다. 제주 관광의 글로벌 마케팅 강화, 지역 주도형 질적 성장 견인, 글로벌 제주 관광 경쟁력 제고, 면세 사업 운영 활성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1본부 4실, 13팀, 감사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세점 운영을 통해 관광 마케팅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시의 기업 - 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은 1971년에 설립되어 2005년 롯데그룹에서 분리되었으며, 제주 드림타워 호텔 및 카지노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2020년에 일반에 공개했다. - 제주시의 기업 - 제주항공
제주항공은 애경그룹과 제주특별자치도의 합작으로 200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저비용항공사로, 국내선과 국제선 운항을 통해 성장하여 국내 LCC 최초로 상장되었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LCC 연합 가입 및 일본 노선 확장에 주력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역대 도지사들이 재임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기당미술관
기당미술관은 강구범씨의 소장품 기탁으로 1987년 개관한 개인 소장품 기반의 미술관으로, 변시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 등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공기업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 대한민국의 지방공기업 -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도 지방공기업으로, 시설 관리, 물류 시스템 구축, 활성화 사업 개발, 배후단지 개발,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며 평택항을 무역항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제주관광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주관광공사 |
원어 | Jeju Tourism Organization |
![]() | |
설립 | 2008년 |
형태 | 지방 공기업 |
본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선덕로 23 (제주웰컴센터) |
사업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224 (중문면세점) |
산업 | 제주관광산업 육성 발전 |
주주 | 제주특별자치도 100%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연도 | 사건 |
---|---|
1946년 | 제주국제공항 운영 시작 |
1959년 | 서귀포관광호텔 개업 |
1963년 | 제주-목포 간 여객선 운항 시작 |
1973년 | 제주관광사무소 설립 |
1980년 | 외국인 무비자 입국(15일) 프로그램 시작 |
1985년 | 제주국제공항에 제주관광정보센터 개설 |
1992년 | 한국-중국 우호 관계 증진 |
1996년 | 일본 영사관 개설 |
1998년 | 세계섬문화축제 개최 |
2002년 |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
2004년 | 유엔환경계획(UNEP), 태평양아시아관광협회(PATA), 아시아개발은행(ADB) 제주회의 개최 |
2007년 | 세계자연유산(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정 및 제주올레 걷기길 시스템 개설 |
2008년 | 제주관광공사 설립 |
2010년 |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지정 |
2012년 | 제주에 중국 영사관 개설 |
2013년 | 연간 방문객 1천만 명 돌파 |
2015년 | 연간 방문객 1천3백만 명 돌파 |
2016년 |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청 설립 |
2. 1. 제주 관광의 태동 (1946년 ~ 1979년)
1946년 제주국제공항 운영이 시작되었고, 1959년에는 서귀포관광호텔이 개업하였다. 1963년에는 제주-목포 간 여객선 운항이 시작되었으며, 1973년에는 제주관광사무소가 설립되었다.[1]2. 2. 국제 관광지로의 도약 (1980년 ~ 2007년)
1980년 외국인을 대상으로 15일 동안 비자 없이 제주도에 입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985년에는 제주국제공항에 제주관광정보센터가 문을 열었다. 1992년에는 한국과 중국 간의 우호 관계가 증진되면서, 양국 간 관광 교류가 활발해졌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제주 관광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했다. 1996년에는 일본 영사관이 제주에 설치되었다. 1998년에는 세계섬문화축제가 제주도에서 개최되었다.2002년 유네스코는 제주도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했다. 2004년에는 유엔환경계획(UNEP), 태평양아시아관광협회(PATA),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제주 회의가 열렸다.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제주올레 걷기 길이 만들어졌다.
2. 3. 제주관광공사 출범과 성장 (2008년 ~ 현재)
2008년 6월 26일 제주관광공사 법인 설립 등기가 이루어졌다.[1] 2008년 7월 2일 제주관광공사가 공식 출범하면서 초대 박영수 사장이 취임했다.[2]2010년에는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에 지정되었고, 2012년에는 제주에 중국 영사관이 개설되면서 중국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중국과의 우호 관계를 강조하며 제주 관광 산업 발전을 꾀했다.
2013년에는 연간 방문객이 1천만 명을 돌파했고, 2015년에는 1천3백만 명을 돌파했다. 2016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광청을 설립했다.
3. 조직
제주관광공사 조직 구성 | |
---|---|
사장 | |
본부 | |
경영기획실 | |
관광마케팅실 | |
관광산업실 | |
수익사업실 | |
감사팀 |
4. 주요 사업
제주관광공사는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며, 면세 사업을 통해 제주 관광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주요 사업 목표로 삼고 있다. 세부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주 관광 글로벌 브랜드 확립, FIT, SIT 중심 고부가가치 마케팅 강화, 시장 다변화 및 외국인 관광객 접근성 개선, 관광 상품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통해 제주 관광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한다.
- 지역 밀착형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와 주민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제주형 농촌융복합산업 육성으로 농업과 관광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며, 지역 기반 문화콘텐츠 발굴 및 상품 개발, 관광 중심 산업 간 융복합 활성화를 통해 지역 주도형 질적 성장을 견인한다.
- 선진형 스마트 관광 기반 체계 구축, 글로벌 수준의 관광 환대 분위기 조성, 제주 관광 질적 성장을 위한 조사 연구 사업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제주 관광 경쟁력을 제고한다.
- 지정 면세점(내국인 면세점)과 시내 면세점 운영 활성화를 통해 제주 관광 마케팅 재원을 마련하고, 제주 관광 진흥에 기여하며, 면세 사업은 제주 관광 재정 자립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세 사업 운영 활성화를 추진한다.[1]
4. 1. 제주 관광 글로벌 마케팅 강화
- 제주 관광 글로벌 브랜드 확립
- FIT, SIT 중심 고부가가치 마케팅 강화
- 시장 다변화 및 외국인 관광객 접근성 개선
- 관광 상품의 고급화, 다양화
4. 2. 지역 주도형 질적 성장 견인
- 지역 밀착형 지역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주민 소득 증대에 이바지한다.
- 제주형 농촌융복합산업 육성을 통해 농업과 관광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 지역 기반 문화콘텐츠 발굴 및 상품 개발을 통해 제주만의 특색있는 관광 상품을 개발한다.
- 관광 중심 산업 간 융복합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관광 시장을 개척한다.
4. 3. 글로벌 제주 관광 경쟁력 제고
선진형 스마트 관광 기반 체계를 구축하여 관광객에게 편리하고 혁신적인 관광 경험을 제공한다. 글로벌 수준의 관광 환대 분위기를 조성하여 제주를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로 만든다. 제주 관광 질적 성장을 위한 조사 연구 사업을 활성화하여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기여한다.[1]4. 4. 면세 사업 운영 활성화
제주관광공사는 지정 면세점(내국인 면세점)과 시내 면세점 운영 활성화를 통해 제주 관광 마케팅 재원을 마련하고, 제주 관광 진흥에 기여한다.[1] 면세 사업은 제주 관광 재정 자립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연도 | 내용 |
---|---|
2009년 3월 30일 | 제주관광공사 지정 면세점(제주중문컨벤션센터점) 개점[1] |
2013년 2월 14일 | 인터넷 기반 온라인 면세점 개점[1] |
2013년 3월 30일 | 모바일 기반 온라인 면세점 개점[1] |
2013년 12월 24일 | 제주관광공사 성산포항 면세점 개점[1] |
2015년 | 지정 면세점 매출 550억원 달성[1] |
2016년 2월 12일 | 시내 면세점(제주중문롯데호텔점) 개점[1] |
참조
[1]
웹사이트
The philosophy of promoting Korea's tourist destinations - JEJU WEEKLY
http://www.jejuweekl[...]
2021-09-29
[2]
웹사이트
제주관광공사 2008년 9월께 출범
https://www.joongang[...]
2007-11-07
[3]
웹사이트
제주관광 중심 ‘웰컴센터’ 준공
https://www.hani.co.[...]
2009-02-17
[4]
웹사이트
JTO on lookout for tourism startups
https://www.kctvjeju[...]
2021-09-29
[5]
웹사이트
JTO opens Jeju seaport store amid moves to double duty free allowance
https://www.moodieda[...]
2014-01-14
[6]
웹사이트
(MUST READ) Entry Restriction and Visa Restriction due to COVID-19 (updated on 18. May. 2021) 상세보기Visa Issuance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https://overseas.mof[...]
2021-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