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국제공항은 1948년 5월 민간항공기 취항을 시작으로 설립되었으며, 1968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청사가 완공되었으며, 여객터미널 확장과 화물터미널 신축을 통해 시설을 확충했다. 2003년 연간 이용객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2009년 국내선 이용객 수 1위 공항이 되었다. 2013년에는 연간 이용객 2천만 명을 돌파했으며, 2019년에는 3천만 명을 넘어섰다. 현재 여객터미널은 연간 3,17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으며, 2개의 활주로와 다양한 항행안전시설을 갖추고 있다.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며, 2024년 10월 현재,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국제선 운항에 변동이 있다. 제주국제공항은 시설 운영의 제약과 비상 상황 대처의 한계로 인해 신공항 건설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환경 문제 및 주민 반발 등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국제공항 - 제주항공
제주항공은 애경그룹과 제주특별자치도의 합작으로 200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저비용항공사로, 국내선과 국제선 운항을 통해 성장하여 국내 LCC 최초로 상장되었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LCC 연합 가입 및 일본 노선 확장에 주력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 제주국제공항 -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는 1998년 8월 10일 제주국제공항 착륙 중 악천후와 조종사 간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발생했으며, 승객과 승무원 전원은 탈출했지만 9명이 부상을 입었다. - 1958년 개항한 공항 -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은 케냐 나이로비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동아프리카의 주요 항공 허브이자 아프리카와 세계 각국을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하며, 1958년 음바카시 공항으로 개항 후 197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1958년 개항한 공항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은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확장 공사를 거쳐 3개의 터미널과 활주로를 운영하며, 전 세계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다양한 국제선 및 국내선 노선을 갖추고 있고, 2019년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개항 이후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다. - 제주시의 교통 - 제주항
제주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위치한 항구로, 1735년 방파제 축조를 시작으로 1927년 개항하여 1978년 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제주의 관문으로 발전했으며, 2016년 민군복합항 개장과 최근 중국발 크루즈선 운항 재개로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연안 및 국제 여객선 터미널을 운영하며 해상 교통을 지원한다. - 제주시의 교통 - 금남여객
금남여객은 1970년 설립되어 제주도에서 다양한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도민과 관광객의 이동을 지원하고 여러 종류의 버스 차종을 보유한 버스 운송 회사이다.
제주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항 이름 | 제주국제공항 |
현지 이름 | 제주국제공항 |
한자 표기 | 濟州國際空港 |
영어 이름 | Jeju International Airport |
IATA 코드 | CJU |
ICAO 코드 | RKPC |
개항일 | 1968년 4월 26일 |
소유 기관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운영 기관 | 한국공항공사 |
허브 항공사 | 제주항공 |
중점 도시 | 아시아나항공 대한항공 |
운영 기지 | 이스타항공 진에어 |
웹사이트 | 제주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영문) |
웹사이트 (한국어) | 제주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
위치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항로 2 (용담동) |
해발 고도 | 36m |
운영 시간 | 06:00 ~ 23:00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방향 | 07/25 |
활주로 1 길이 | 3,180m |
활주로 1 표면 | 아스팔트 |
활주로 2 방향 | 13/31 |
활주로 2 길이 | 1,910m |
활주로 2 표면 | 아스팔트 |
통계 (2019년) | |
항공기 운항 횟수 | 175,366회 |
여객 수 | 31,316,394명 |
화물 처리량 | 258,847톤 |
통계 (2023년) | |
이용 여객 | 29,096,271명 |
운항 횟수 | 167,086회 |
처리 화물 | 54,347톤 |
기타 정보 | |
![]() | |
![]() |
2. 역사
1940년대에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면서 만들었던 활주로를 1948년 5월부터 민간항공기가 이용하기 시작했다. 1958년 1월 정부의 공식 인가를 받아 제주비행장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이후 한·일 항공 협정이 체결되면서 제주 ~ 오사카 간 항로가 신설되었고, 1968년 4월 26일에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50][51]
1979년부터 1983년까지 공항을 확장하였으며, 같은 해 현재의 청사가 완공되었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여객터미널을 확장하였다. 2000년 8월에 화물터미널이 신축되었고, 2002년 12월에는 국내 최초로 내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면세점이 개장되었다. 2006년 10월 17일에는 신 탑승동을 건설하였으며, 2007년 5월부터 5년간 확장공사와 기존 청사 리모델링을 통해 2012년 7월 여객처리능력이 2,547만 명으로 늘어났다.[52] 2019년에는 추가 증축 및 리모델링으로 3,170만 명까지 늘었다.[53]
2003년 연간 이용객이 1천만 명을 넘어섰고, 2009년에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치고 대한민국에서 국내선 이용객 수 1위 공항이 되었다.[54] 2011년에는 이용객 수 기준으로 전 세계 85위를 기록하였으며,[55] 2013년에는 연간 이용객이 2천만 명을 돌파하여 총 이용객 수에서도 김포국제공항을 앞질렀다.[56]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역사 (1940년대 ~ 1960년대)
1940년대에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면서 만들었던 활주로를 1948년 5월부터 민간항공기가 이용하기 시작했다. 1958년 1월 정부의 공식 인가를 받아 제주비행장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이후 한·일 항공 협정이 체결되면서 제주 ~ 오사카 간 항로가 신설되었고, 1968년 4월 26일에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50][51]2. 2. 확장 및 현대화 (1970년대 ~ 2000년대)
1979년부터 1983년까지 공항을 확장하였으며, 1983년에 현재의 청사가 완공되었다. 늘어나는 여객을 처리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여객터미널을 확장하였다. 2000년 8월에 화물터미널이 신축되어 연간 32만ton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2002년 12월에는 국내 최초로 내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면세점이 개장되었다.[52][53] 적정처리 능력을 초과한 이용객을 수용하기 위하여 2006년 10월 17일에 단기 공항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 여객터미널 우측에 신 탑승동을 건설하여 개관하였으며, 2007년 5월부터 5년 동안 확장공사와 기존 청사의 리모델링으로 2012년 7월에 여객처리능력이 2,547만명으로 늘어났고,[52] 추가 증축 및 리모델링으로 2019년에는 3,170만명으로 늘었다.[53]2. 3. 지속적인 성장과 시설 확충 (2000년대 ~ 현재)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여객터미널을 확장하였다. 2000년 8월에 화물터미널이 신축되어 연간 32만 톤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2002년 12월에 국내 최초로 내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면세점이 개장되었다. 2006년 10월 17일에는 단기 공항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 여객터미널 우측에 신 탑승동을 건설하여 개관하였으며, 2007년 5월부터 5년 동안 확장공사와 기존 청사의 리모델링으로 2012년 7월에 여객처리능력이 2,547만명으로 늘어났다.[52] 2019년에는 추가 증축 및 리모델링으로 3,170만명으로 늘었다.[53]2003년에 연간 이용객이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2009년에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치고 대한민국에서 국내선 이용객 수 1위 공항이 되었다.[54] 2011년에는 이용객 수 기준으로 전 세계 85위를 기록하였다.[55] 2013년에는 연간 이용객이 2천만 명을 돌파하여 총 이용객 수에서도 김포국제공항을 앞질렀다.[56]
3. 시설 규모
여객터미널은 연간 3,170만 명(국내선 2,790만 명, 국제선 38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 여객터미널의 연간 이용객 처리 능력 면에서 인천(7,700만 명)과 김포(3,500만 명)에 이어 대한민국 3위 공항이다.
동-서로 길이 3180m의 활주로(07/25) 1본과 남-북으로 길이 1910m의 활주로 1본이 교차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18만 회(시간당 35회)이다.[57] 384458m2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31대와 경항공기 3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항행안전시설은 계기착륙시설(ILS), 무선표지(TVOR/DME), 항공등화, RVR(시정자동측정장치)이다. 공항등급은 CAT-II (착륙가능 활주로 가시범위 300m 이상)이다.
4. 운항 노선
제주국제공항은 국제선과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많은 정기편이 운휴, 감편되거나 노선이 변경되었다.[45][46]
4. 1. 국제선
항공사 | 목적지 |
---|---|
대한항공 | 베이징(수도) |
제주항공 | 방콕(수완나품), 지난, 홍콩(첵랍콕), 후쿠오카 |
진에어 | 상하이(푸둥), 시안 |
티웨이항공 |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타이베이(타오위안), 홍콩(첵랍콕) |
중국남방항공 | 다롄[75] |
동하이 항공 | 난통[76] |
럭키에어 | 쿤밍 |
룽에어 | 닝보[77] |
샤먼항공 | 푸저우[78] |
준야오 항공 | 베이징(다싱)[79], 난징, 상하이(푸둥) |
춘추항공 | 광저우, 난징, 상하이(푸둥), 선양, 스좌장, 양저우, 항저우 |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첵랍콕) |
타이거 항공 타이완 | 타이베이(타오위안) |
스쿠트 | 싱가포르 |
필리핀 항공 | 계절편: 마닐라 |
로얄 에어 필리핀 | 마닐라[80] |
2020년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많은 정기편이 운휴, 감편, 노선 변경되고 있다.
2024년 10월 현재[45][46]
4. 2. 국내선
항공사 | 목적지 |
---|---|
대한항공 | 서울(김포), 광주, 대구[81], 부산, 사천[82], 여수[83], 울산, 청주 |
아시아나항공 | 서울(김포), 광주, 대구, 여수, 청주 |
에어로케이 | 청주 |
에어부산 | 서울(김포), 부산, 울산 |
에어서울 | 서울(김포) |
이스타항공 | 서울(김포)[84], 군산[85], 청주[86] |
제주항공 | 서울(김포), 광주, 대구, 무안[87], 부산, 여수, 청주 |
진에어 | 서울(김포), 광주, 군산, 대구, 무안[88], 부산, 여수, 울산, 원주, 포항경주 |
티웨이항공 | 서울(김포), 광주, 대구, 부산, 청주 |
5. 이용객 추이 및 통계
이 자료는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를[89] 항목별로 정리한 것이다. 한국공항공사는 항공통계에 에어택시의 실적을 포함시키지 않으므로, 울산공항에 취항하였던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과 사천공항에 부정기로 취항하였던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의 실적은 제외되었다.
제주도가 한국의 인기 휴양지로 자리 잡으면서 제주-서울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공 노선이 되었다.[36] 2019년에는 8개 항공사를 통해 8만 5천 편의 항공편이 운항되었고, 김포와 제주 간 항공편에서는 1700만 석이 판매되었다.
제주도가 휴양지로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일본 등에서 방문하는 국제 관광객 수가 증가했다. 1997년 제주공항은 9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했고, 2019년에는 최대 2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000만 명을 돌파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국제 관광객 수가 감소했지만, 서울-제주 노선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노선으로 남아 있었고, 항공기 지연은 여전히 흔한 일이었다.[37]
2019년 국토교통부는 제주도 남부 서귀포시 인근에 2021년부터 시작될 41.8억달러 규모의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공항은 제주도 국내선의 50%를 담당하고 악천후 시 항공편 전환에 기여할 예정이었으며, 연간 1898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7] 그러나 2021년 환경부는 제주의 광범위한 지하수 매장량과 멸종위기종인 무당개구리 등 지역의 생태계 보호 실패를 이유로 계획을 취소했다. 2023년에는 완공 시점 없이 51억달러 규모의 새로운 공항 계획이 임시 승인되었다.[3]
5. 1. 전체 이용객
연도 | 여객 (명) | 운항 (편수) |
---|---|---|
1997년 | 9,819,129 | 63,134 |
1998년 | 7,469,980 | 50,979 |
1999년 | 8,242,134 | 49,978 |
2000년 | 9,125,939 | 55,675 |
2001년 | 9,320,337 | 60,597 |
2002년 | 9,939,700 | 68,681 |
2003년 | 10,802,989 | 77,069 |
2004년 | 11,104,341 | 76,075 |
2005년 | 11,354,925 | 73,556 |
2006년 | 12,109,836 | 78,611 |
2007년 | 12,296,426 | 93,073 |
2008년 | 12,448,084 | 95,671 |
2009년 | 13,643,366 | 99,323 |
2010년 | 15,724,360 | 103,426 |
2011년 | 17,201,878 | 112,696 |
2012년 | 18,443,047 | 120,698 |
2013년 | 20,055,238 | 130,454 |
2014년 | 23,197,796 | 145,533 |
2015년 | 26,237,562 | 158,691 |
2016년 | 29,707,364 | 172,743 |
2017년 | 29,604,363 | 167,280 |
2018년 | 29,455,305 | 168,331 |
2019년 | 31,316,394 | 175,366 |
2020년 | 21,054,696 | 138,256 |
2021년 | 25,802,550 | 160,230 |
2022년 | 29,703,662 | 169,624 |
2023년 | 29,096,271 | 167,086 |
- 2013년 이용객이 2천만 명을 넘어 김포국제공항을 제치고 총 이용객 수가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대한민국 2위 공항이 되었다.
- 2014년 운항편수가 14만 편을 넘어 김포국제공항(2012년 138,706편)의 운항편수를 앞질렀다.
- 2019년 이용객이 3천만 명을 넘었다.
5. 2. 국내선 이용객
1997년부터 2023년까지의 제주국제공항 국내선 이용객 및 운항 편수는 다음과 같다.연도 | 운항 (편수) | 여객 (명) |
---|---|---|
1997년 | 63,134 | 9,819,129 |
1998년 | 50,979 | 7,469,980 |
1999년 | 49,978 | 8,242,134 |
2000년 | 55,675 | 9,125,939 |
2001년 | 60,597 | 9,320,337 |
2002년 | 68,681 | 9,939,700 |
2003년 | 77,069 | 10,802,989 |
2004년 | 76,075 | 11,104,341 |
2005년 | 73,556 | 11,354,925 |
2006년 | 78,611 | 12,109,836 |
2007년 | 93,073 | 12,296,426 |
2008년 | 95,671 | 12,448,084 |
2009년 | 99,323 | 13,643,366 |
2010년 | 103,426 | 15,724,360 |
2011년 | 112,696 | 17,201,878 |
2012년 | 120,698 | 18,443,047 |
2013년 | 130,454 | 20,055,238 |
2014년 | 145,533 | 23,197,796 |
2015년 | 158,691 | 26,237,562 |
2016년 | 172,743 | 29,707,364 |
2017년 | 167,280 | 29,604,363 |
2018년 | 168,331 | 29,455,305 |
2019년 | 175,366 | 31,316,394 |
2020년 | 138,256 | 21,054,696 |
2021년 | 160,230 | 25,802,550 |
2022년 | 169,624 | 29,703,662 |
2023년 | 167,086 | 29,096,271 |
- 2009년 김포국제공항을 제치고 국내선 이용객 수 기준 1위 공항이 되었다.
-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저비용 항공사의 성장과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의 여파에 따른 국내 여행 선호로 국내선 이용객이 급증하였다.
- 2013년 이용객이 2천만 명을 넘어 김포국제공항을 제치고 총 이용객 수가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대한민국 2위 공항이 되었다.
- 2014년 운항편수가 14만 편을 넘어서면서 김포국제공항 (2012년 138,706편)을 앞질렀고, 같은 해 국내선 이용객 또한 2천만 명을 넘어섰다.
- 2019년에는 이용객이 3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 제주도가 한국의 인기 휴양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제주-서울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공 노선 중 하나가 되었다.[36]
2022년 기준 국내선 노선별 운항 현황은 아래와 같다.[2]
순위 | 공항 | 승객 수 | 항공기 이착륙 횟수 | 항공사 |
---|---|---|---|---|
1 | 서울-김포 | 17,250,478 | 95,042 |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
2 | 부산 | 3,714,710 | 21,498 | 에어부산, 에어서울,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
3 | 청주 | 3,172,099 | 18,494 | 에어로케이,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
4 | 대구 | 2,144,594 | 12,587 |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
5 | 광주 | 1,661,178 | 9,907 |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
5. 3. 국제선 이용객
2003년 말부터 2008년 초까지 중국-대만 간 직항 운항이 불가능했던 상황에서 중화민국(타이완)의 원동항공과 중국의 중국동방항공이 타이베이-상하이 간 환승 공항으로 제주국제공항을 이용하면서 국제선 환승객이 크게 증가했으며, 재래시장과 제주시티투어와 같은 기착지 관광 형태가 인기를 누렸다.[90][91]2007년 국제선 운항 편수는 1만 1천 편, 여객 수는 126만 명을 넘었다. 그러나 2008년 5월 중화민국의 원동항공이 폐업하면서 대만 노선이 대폭 감소했고, 2009년 운항 편수와 여객 수는 2007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당시 원동항공은 제주-타이베이 노선에 주 84편, 제주-가오슝 노선에 주 14편을 운항했다.[92]
이후 국제선 여객은 2012년 100만 명 대에 재진입했고, 2014년에는 200만 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국제선 운항 편수와 여객 수가 2016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가, 2019년 다시 200만 명 대에 재진입했다.
연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운항(편수) | 2,379 | 2,429 | 2,279 | 2,450 | 2,909 | 2,685 | 2,835 | 4,049 | 5,093 | 8,062 |
여객 (명) | 266,785 | 256,850 | 289,635 | 332,797 | 352,230 | 318,220 | 297,246 | 459,962 | 605,898 | 899,940 |
연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운항(편수) | 11,827 | 5,938 | 4,713 | 5,351 | 5,728 | 8,438 | 11,711 | 16,155 | 14,674 | 19,172 |
여객 (명) | 1,264,615 | 743,185 | 626,091 | 713,623 | 718,930 | 1,085,496 | 1,562,468 | 2,257,517 | 1,993,851 | 2,741,885 |
연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9,735 | 12,559 | 17,536 | 2,209 | 88 | 647 | 8,134 | |||
여객 (명) | 1,276,952 | 1,899,478 | 2,668,053 | 282,798 | 4,781 | 93,912 | 1,195,005 | |||
순위 | 공항 | 승객 수 | 항공기 운항 횟수 | 항공사 |
---|---|---|---|---|
1 | 싱가포르 | 37,282 | 208 | 스쿠트 항공 |
2 | 방콕(수완나폼) | 26,518 | 185 | 제주항공 |
3 | 오사카(간사이) | 13,678 | 104 | 티웨이항공 |
4 | 타이페이(타오위안) | 4,724 | 38 | 타이거항공 타이완, 티웨이항공 |
5 | 시안 | 4,007 | 50 | 진에어 |
5. 4. 노선별 순위
2017년 기준 제주 출발 국내선 노선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93][94][95]순위 | 공항 | 여객(명) | 운항(편수) | 항공사 |
---|---|---|---|---|
1 | 김포국제공항 | 17,026,002 | 91,147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
2 | 김해국제공항 | 4,420,262 | 23,923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
3 | 청주국제공항 | 2,385,611 | 14,246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
4 | 대구국제공항 | 1,938,043 | 11,418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
5 | 광주공항 | 1,740,231 | 11,015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
6 | 여수공항 | 236,137 | 1,841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
7 | 군산공항 | 225,797 | 1,420 | 대한항공, 이스타항공 |
8 | 무안국제공항 | 141,067 | 860 | 티웨이항공 |
9 | 원주공항 | 81,560 | 705 | 대한항공 |
10 | 사천공항 | 57,718 | 444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
11 | 울산공항 | 56,222 | 414 | 대한항공 |
12 | 인천국제공항 | 18,761 | 111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
- 제주 ~ 김포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 중 하나이다. 2012년 5월, 영국의 이코노미스트는 이 노선을 2011년 세계 1위 구간(여객 수 기준, 990만 명)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에는 세계 여행산업 관련 IT업체인 '아마데우스 IT 그룹'이 2012년 세계 1위 구간(환승 승객 제외한 여객 수 기준, 1,015만 명)으로 선정하였다.
- 제주 ~ 인천 사이에는 정기 노선이 없다. 인천국제공항에 관한 통계는 대부분 커퓨 타임(야간운항통제 시간)에 걸려 원래의 도착지에 착륙하지 못한 여객기가 인천국제공항에 대체 착륙한 경우에 해당한다.
2017년 기준 제주 출발 국제선 노선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이용객 1천 명 이상)
순위 | 공항 | 여객(명) | 운항(편수) | 항공사 |
---|---|---|---|---|
1 | 상하이(푸동) | 446,807 | 3,252 | 준야오항공, 중국동방항공, 진에어, 춘추항공 |
2 | 홍콩(첵랍콕) | 117,683 | 776 | 캐세이 드래곤 항공,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3 | 오사카(간사이) | 97,805 | 787 |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
4 | 항저우 | 85,538 | 607 | 베이징 캐피탈 항공, 오케이항공, 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춘추항공, 하이난 항공 |
5 | 베이징(수도) | 72,900 | 708 | 대한항공, 중국국제항공 |
6 | 톈진 | 67,643 | 465 | 오케이항공, 춘추항공, 톈진항공 |
7 | 도쿄(나리타) | 54,154 | 433 |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
8 | 선양 | 47,415 | 380 | 중국남방항공, 춘추항공 |
9 | 타이베이(타오위안) | 40,835 | 288 | 제주항공, 타이거 항공 타이완 |
10 | 닝보 | 36,797 | 297 | 오케이항공, 중국동방항공, 춘추항공 |
11 | 난징 | 21,285 | 154 | 오케이항공, 준야오항공, 중국동방항공 |
12 | 방콕(수완나품) | 14,532 | 89 | 이스타항공, 진에어 |
13 | 난창 | 13,519 | 92 | 럭키 에어, 중국동방항공 |
14 | 마카오 | 11,942 | 128 | 에어 마카오, 진에어 |
15 | 창사 | 10,204 | 62 | 오케이항공 |
16 | 하얼빈 | 10,099 | 62 | 춘추항공 |
17 | 양저우 | 10,045 | 84 | 춘추항공 |
18 | 취안저우 | 9,989 | 62 | 이스타항공 |
19 | 스자좡 | 9,684 | 120 | 춘추항공 |
20 | 우한 | 9,015 | 214 |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
21 | 선전 | 8,652 | 86 | 선전 항공, 중국남방항공 |
22 | 마닐라 | 7,637 | 62 | 제주항공, 팬퍼시픽 항공 |
23 | 난퉁 | 6,671 | 84 | 선전 항공 |
24 | 쿠알라룸푸르 | 6,355 | 23 | 에어아시아 X |
25 | 시안 | 5,833 | 40 | 진에어 |
26 | 푸저우 | 5,031 | 52 | 샤먼 항공 |
27 | 샤먼 | 4,455 | 54 | 샤먼 항공 |
28 | 정저우 | 4,339 | 42 | 중국남방항공 |
29 | 창춘 | 4,335 | 44 | 중국남방항공 |
30 | 호치민 | 4,306 | 38 | 비엣제트 항공,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 |
31 | 하노이 | 3,991 | 26 | 비엣제트 항공, 제주항공,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 진에어 |
32 | 다롄 | 2,924 | 42 | 중국남방항공 |
33 | 청두 | 1,813 | 144 | 중국동방항공 |
34 | 사이판 | 1,663 | 35 | 제주항공 |
35 | 울란바토르 | 1,598 | 12 | MIAT 몽골 항공 |
36 | 우루무치 | 1,517 | 63 | 춘추항공 |
37 | 후쿠오카 | 1,386 | 8 | 진에어, 티웨이항공 |
38 | 이바라키 | 1,372 | 8 | 진에어 |
39 | 비엔티안 | 1,294 | 8 | 진에어 |
40 | 블라디보스토크 | 1,257 | 13 | 야쿠티아 항공 |
41 | 나고야 | 1,082 | 8 | 티웨이항공 |
42 | 다낭 | 1,036 | 6 | 진에어, 티웨이항공 |
2022년 기준 제주 출발 국제선 최다 이용 노선은 다음과 같다.[2]
순위 | 공항 | 승객 수 | 항공기 운항 횟수 | 항공사 |
---|---|---|---|---|
1 | 싱가포르 | 37,282 | 208 | 스쿠트 항공 |
2 | 방콕(수완나폼) | 26,518 | 185 | 제주항공 |
3 | 오사카(간사이) | 13,678 | 104 | 티웨이항공 |
4 | 타이페이(타오위안) | 4,724 | 38 | 타이거항공 타이완, 티웨이항공 |
5 | 시안 | 4,007 | 50 | 진에어 |
6. 신공항 계획
2015년 11월 10일 박근혜 정부와 당시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도 성산읍 온평리와 신산리 일대에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62] 이후 "제주 제2공항 반대위원회"가 결성되어 반대 운동을 펼치고 있다.[48]
6. 1. 추진 배경 및 경과
제주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하면 여객 수와 운항 편수 모두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공항이지만, 사실상 1개의 활주로(07/25)로 운영되고 있어 시설 운영에 제약이 많다.[58] 폭설 등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59][60] 이러한 이유로 2010년대에 들어서 공항 확장(07L/25R 활주로 증설)과 신공항 건설 여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61]2015년 11월 10일, 박근혜 정부와 당시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도 동부에 위치한 성산읍 온평리와 신산리 일대에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62]
제주도가 한국의 인기 휴양지로 자리 잡으면서 제주-서울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공 노선이 되었다.[36] 제주도가 휴양지로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일본 등에서 방문하는 국제 관광객 수가 증가했다. 1997년 제주공항은 9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했고, 2019년에는 최대 2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000만 명을 돌파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국제 관광객 수가 감소했지만, 서울-제주 노선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노선으로 남아 있었고, 항공기 지연은 여전히 흔한 일이었다.[37]
2019년 국토교통부는 제주도 남부 서귀포시 인근에 41.8억달러 규모의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공항은 제주도 국내선의 50%를 담당하고 악천후 시 항공편 전환에 기여할 예정이었으며, 연간 1898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7] 그러나 2021년 환경부는 제주의 광범위한 지하수 매장량과 멸종위기종인 무당개구리 등 지역의 생태계 보호 실패를 이유로 계획을 취소했다. 2023년에는 완공 시점 없이 51억달러 규모의 새로운 공항 계획이 임시 승인되었다.[3]
제주국제공항 이용객 증가에 따라 한국 정부는 신공항 건설을 결정했다. 계획에 따르면 신공항은 제주국제공항 남동쪽 40km 지점에 있는 서귀포시 신산리에 건설될 예정이다.[47] 활주로는 길이 3200m, 폭 60m의 1개만 건설되며, 2025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반대 운동으로는 “제주 제2공항 반대위원회”가 결성되었다. 해당 단체는 나리타 공항 문제에서 미리즈카 투쟁을 계속하고 있는 미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 반대 동맹(키타하라파)이 주최하는 데모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48]
6. 2. 논란
제주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하면 여객 수와 운항 편수 모두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공항이지만, 사실상 1개의 활주로(07/25)로 운영되고 있어 시설 운영에 제약이 많다.[58] 이 때문에 폭설 등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59][60] 이러한 이유로 2010년대에 들어서 공항 확장(07L/25R 활주로 증설)과 신공항 건설 여부를 두고 논의가 본격화되었다.[61]2015년 11월 10일, 박근혜 정부와 당시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도 동부 성산읍 온평리와 신산리 일대에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하였다.[62] 이 발표는 공항 예정 부지의 땅값 상승과 부동산 투기를 막아 토지 보상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으나,[63] 주민들의 이해를 구하려는 노력과 이를 뒷받침할 대체지 마련의 준비 없이 이루어져 해당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렀다.[64][65] 2010년 외국인 투자이민제 시행 후 제주도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기 때문에,[66] 공항 예정지 주민들에 대한 집단 이주 대책과 대체지 제공은 주민 설득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신공항 건설 및 입지 결정의 근거가 된 연구 용역이 공정성과 객관적 타당성에 많은 문제점과 허점을 드러내 신뢰를 잃었다.[67][68] 연구 용역 책임자가 제2공항 건설 부지 중 하나로 검토된 정석비행장을 소유한 한진그룹이 지배하는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라는 점에서 공정성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으며,[69] 신공항보다 먼저 자세히 검토되었어야 할 제주공항 확장 검토는 용역보고서(총 321 페이지)에서 단 2 페이지에 불과하였다.[67][70][71] 또한, 정석비행장의 안개일수와 오름 절취 여부에 관해서도 논리적인 설득을 하지 못하였으며,[72][73] 군사기지(군-민 공용) 전용이 검토[65]된 것까지 확인되어 갈등이 심화되었다.[64][65][68][74]
제주국제공항 이용객 증가에 따라 한국 정부는 신공항 건설을 결정했다. 계획에 따르면 신공항은 제주국제공항 남동쪽 40km 지점에 있는 서귀포시 신산리에 건설될 예정이다.[47] 활주로는 길이 3200m, 폭 60m의 1개만 건설되며, 2025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제주 제2공항 반대위원회”가 결성되어 반대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단체는 나리타 공항 문제에서 산리즈카 투쟁을 계속하고 있는 산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 반대 동맹(키타하라파)이 주최하는 데모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48]
6. 3. 환경 문제 및 계획 변경
제주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하면 여객 수와 운항 편수 모두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공항이지만, 사실상 1개의 활주로(07/25)로 운영되고 있어 시설 운영에 제약이 많다.[58] 폭설 등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데 구조적인 한계도 있다.[59][60] 이러한 이유로 2010년대에 들어서 공항 확장(07L/25R 활주로 증설)과 신공항 건설 여부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61]2015년 11월 10일, 박근혜 정부와 당시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도 동부 성산읍 온평리와 신산리 일대에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62] 제주도가 한국의 인기 휴양지로 자리 잡으면서 제주-서울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공 노선이 되었다.[36] 2019년에는 8개 항공사를 통해 8만 5천 편의 항공편이 운항되었고, 김포와 제주 간 항공편에서는 1700만 석이 판매되었다.
제주도가 휴양지로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일본 등에서 방문하는 국제 관광객 수가 증가했다. 1997년 제주공항은 9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했고, 2019년에는 최대 2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000만 명을 돌파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국제 관광객 수가 감소했지만, 서울-제주 노선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노선으로 남아 있었고, 항공기 지연은 여전히 흔한 일이었다.[37]
2019년 국토교통부는 제주도 남부 서귀포시 인근에 2021년부터 시작될 41.8억달러 규모의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공항은 제주도 국내선의 50%를 담당하고 악천후 시 항공편 전환에 기여할 예정이었으며, 연간 1898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7] 그러나 2021년 환경부는 제주의 광범위한 지하수 매장량과 멸종위기종인 무당개구리 등 지역 생태계 보호 실패를 이유로 계획을 취소했다. 2023년에는 완공 시점 없이 51억달러 규모의 새로운 공항 계획이 임시 승인되었다.[3]
제주국제공항 이용객 증가에 따라 한국 정부는 신공항 건설을 결정했다. 계획에 따르면 신공항은 제주국제공항 남동쪽 40km 지점에 있는 서귀포시 신산리에 건설될 예정이다.[47] 활주로는 길이 3200m, 폭 60m의 1개만 건설되며, 2025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제주 제2공항 반대위원회”가 결성되어 반대 운동을 펼치고 있다. 해당 단체는 나리타 공항 문제에서 미리즈카 투쟁을 계속하고 있는 미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 반대 동맹(키타하라파)이 주최하는 데모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48]
7. 국제선 활성화 대책
2011년 11월 10일 제주국제공항은 정기 국제선 확충을 위해 7개 항공사와 함께 '제주 국제 항공노선 활성화 추진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신규 정기 국제선을 운영하는 항공사에 대해 기준 탑승률(잠정 62%) 미달 시 손실 보전금을 지원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이에 앞서 6월에는 '제주특별자치도 국제항공노선과 국제해상여객 운송 확충 지원 조례'가 공표되었다.[96]
2012년 12월 20일 통과된 '제주특별자치도 국제항공노선과 국제 해상여객운송 노선 확충 지원 조례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선 신규 취항뿐 아니라 6개월 이상 증편하는 경우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되었다. 또한 지원 기준도 기존의 '평균 탑승률'에서 증편되는 항공기에 한해 '편당 탑승률'로 개정되었다.[97]
제주국제공항은 1998년 9월부터 3·4단계 항공자유권을 보장하는 일방 항공자유화를 선언한 '''자유공항'''(free airport)이다. 이에 외국 국적 항공사의 취항이 자유로워 국제선 직항 노선 확대를 유도해왔다. 그러나 외국 항공사의 취항은 자유로운 반면, 국내 국적 항공사는 취항에 제약이 있는 것을 이용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자국 기업 보호 정책으로 불이익을 받는 사례가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98]
8. 사건 및 사고
- 1982년 2월 5일: 대한민국 공군 페어차일드 C-123 프로바이더기가 제주도에 착륙을 시도하던 중 한라산 북쪽 약 3.70km 지점에서 악천후로 추락했다. 승객 53명(승무원 6명, 육군 병사 47명) 전원이 사망했다.[38]
- 1994년 8월 10일: 대한항공 2033편(HL7296) 에어버스 A300-600R 항공기가 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하여 제주국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했다. 기내에 탑승한 160명 전원이 생존했다.[39]
- 2011년 7월 28일: 아시아나항공 991편(HL7604) 보잉 747-400F 항공기가 인천국제공항에서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으로 가던 중 기내 화재가 발생하여 제주도로 회항을 시도하던 중 추락했다.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40]
참조
[1]
웹사이트
Airport information for RKPC
http://worldaerodata[...]
2006-10-00
[2]
웹사이트
KAC 한국공항공사
https://www.airport.[...]
[3]
웹사이트
Second Jeju Island airport approved after earlier rejection
https://koreajoongan[...]
2024-05-29
[4]
웹사이트
Aero K hebt verspätet ab
https://www.aerotele[...]
2022-05-31
[5]
웹사이트
에어서울, 일본발 악재에 '국내선' 유턴
http://www.sisaweek.[...]
2019-08-30
[6]
웹사이트
Beijing Capital Resumes Hangzhou – Jeju Service From Dec 2023
https://www.aerorout[...]
2023-11-17
[7]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NS23 International / Regional Network – 23APR23
https://www.aerorout[...]
2023-04-24
[8]
웹사이트
CHINA UNITED ADDS INTERNATIONAL SERVICE FROM ORDOS IN LATE-2Q24
https://www.aerorout[...]
2024-05-28
[9]
웹사이트
Donghai Airlines Resumes Nantong – Jeju in Sep 2024
https://www.aerorout[...]
2024-08-05
[10]
뉴스
이스타항공, 8월부터 청주-제주 노선 운항 재개
https://www.nbntv.kr[...]
NBN
2023-06-15
[11]
뉴스
이스타항공, 내달 군산∼제주 노선 신규 취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3-09-06
[12]
뉴스
Eastar to resume flights this month for turnaround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3-03-14
[13]
웹사이트
HK Express 1Q23 Korea Service Restorations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2-11-15
[14]
웹사이트
Jeju Air Expands Mainland China Network From late-April 2024
https://www.aerorout[...]
2024-04-12
[15]
웹사이트
Jeju Air adds Jeju – Hong Kong route in 3Q18
https://www.routeson[...]
Routesonline
2018-05-31
[16]
웹사이트
JiangXi Air plans Jeju service from late-April 2024
https://www.aerorout[...]
2024-03-21
[17]
웹사이트
Jin Air adds new domestic routes in 2Q20
https://www.routeson[...]
2020-05-26
[18]
뉴스
진에어·제주항공, 제주 노선 신규 취항…매일 2회 운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0-09-29
[19]
웹사이트
Jin Air Expands Jeju Domestic Network in NS24
https://www.aerorout[...]
2024-03-28
[20]
뉴스
포항~김포, 포항~제주 노선 진에어 31일 취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0-07-16
[21]
뉴스
진에어, 원주~제주 노선 다음 달 8일 신규 취항
http://news.kbs.co.k[...]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0-09-25
[22]
웹사이트
Juneyao Airlines Resumes Jeju Service in NS23
https://www.aerorout[...]
2023-03-10
[23]
웹사이트
국내선 지방/제주 운항 재개
https://www.koreanai[...]
2023-10-06
[24]
뉴스
사천-제주 하늘길 3년 5개월 만에 다시 뚫렸다…신규 노선 취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3-10-13
[25]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Jeju – Tokyo service from July 2024
https://www.aerorout[...]
2024-05-14
[26]
뉴스
대한항공 여수~제주 노선 29일부터 재개…여수공항 12→14편
https://www.news1.kr[...]
News1
2023-10-04
[27]
웹사이트
Loong Air resumes Jeju service from late-June 2023
https://www.aerorout[...]
2023-05-29
[28]
웹사이트
Loong Air adds Jeju – Ningbo in 3Q24
https://www.aerorout[...]
2024-06-20
[29]
웹사이트
开航|8月21日起,春秋航空将复航广州=济州岛航线,每天1班
https://mp.weixin.qq[...]
2024-07-24
[30]
웹사이트
Spring Airlines adds Nanjing – Jeju service from mid-August 2019
https://www.routeson[...]
routesonline
2019-07-24
[31]
웹사이트
9月1日起 天津航空新开榆林=济州岛国际航线 每周2班
https://mp.weixin.qq[...]
2024-09-03
[32]
웹사이트
tigerair Taiwan NW22 Operation Changes – 13OCT22
https://www.aerorout[...]
2022-10-27
[33]
웹사이트
T'Way Air NW22 Japan Operations – 27OCT22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2-10-27
[34]
웹사이트
T'Way Air adds Jeju – Taipei service in late-Dec 2022
https://www.aerorout[...]
2022-11-08
[35]
웹사이트
XiamenAir adds Fuzhou – Jeju service From late-Jan 2024
https://www.aerorout[...]
2024-01-04
[36]
웹사이트
Busiest Routes Right Now
https://www.oag.com/[...]
2021-06-03
[37]
웹사이트
New Jeju Airport still facing challenges
https://www.koreatim[...]
2021-06-03
[38]
ASN accident
unknown
2023-10-18
[39]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00B4-622R HL7296 Cheju Airport (CJU)
http://aviation-safe[...]
2018-07-15
[40]
웹사이트
Official: Pilot on crashed South Korean cargo plane reported fire in final moments Macleans.ca - Canada - Features
http://www.macleans.[...]
2014-01-25
[41]
WAD
RKPC
[42]
웹사이트
KAC
https://www.airport.[...]
2022-02-20
[43]
웹사이트
世界の空の便、昨年の運航数トップは韓国「ソウル~済州線」
https://forbesjapan.[...]
Forbes JAPAN
2021-04-17
[44]
웹사이트
济州岛到大兴国际机场航空航班时刻表
https://flights.ch.c[...]
[45]
웹사이트
フライト情報
https://www.airport.[...]
[46]
웹사이트
済州国際空港 飛行機時刻表
https://transit.navi[...]
[47]
뉴스
済州第2空港、城山日出峰から10分の距離に建設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5-11-11
[48]
웹사이트
強制執行反対署名を広げ8・10請求異議裁判-10・8集会へ 樫の木まつりが大成功 〝労農学の力でこの農地守る〟
http://www.zenshin.o[...]
週刊『三里塚』
2017-08-06
[49]
설명
[50]
웹인용
제주비행장을 국제공항으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8-03-05
[51]
웹인용
제주·오사카 간 신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68-03-05
[52]
뉴스
제주공항 확장사업 5년 만에 완료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2-07-06
[53]
뉴스
제주국제공항 하루평균 480편 뜨고 내려,역대 최다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20-01-10
[54]
뉴스인용
제주공항 여객 김포공항 추월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0-01-21
[55]
뉴스인용
The world's top 100 airports: listed, ranked and mapped
http://www.guardian.[...]
Guardian DataBlog
2012-05-04
[56]
뉴스
제주공항 연간 이용객 2천만명 돌파
https://news.v.daum.[...]
CBS 노컷뉴스
2013-12-31
[57]
뉴스
제주공항 계류장 사고, 무리한 슬롯 확대가 화 불러
https://news.v.daum.[...]
제주CBS
2016-07-15
[58]
뉴스인용
[제주공항 점검] ① 4㎝ 눈에 마비…관광객 포화에 '지연 또 지연'
https://www.yna.co.k[...]
2018-01-20
[59]
뉴스
'악몽의 3박 4일'…제주공항 대응 능력도 마비
http://news.kbs.co.k[...]
KBS
2016-01-26
[60]
뉴스
4cm 눈에 마비..관광객 포화에 '지연 또 지연'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8-01-20
[61]
뉴스
7년 후 포화 제주공항.. 확장하나, 신공항 짓나
https://news.v.daum.[...]
조선일보
2011-12-19
[62]
뉴스
제주 제2공항 예정지 성산읍 온평·신산지역 결정
http://www.ihalla.co[...]
한라일보
2015-11-10
[63]
뉴스
제주2공항 예정지 일대, 토지거래허가 구역 지정
https://news.naver.c[...]
뉴스1
2015-11-10
[64]
뉴스
졸속 진행, 거듭된 강한 반발 '제주공항 용역 설명회' 파행 또 파행
http://www.sisajeju.[...]
시사제주
2016-01-07
[65]
뉴스
제주 제2공항 예정지 발표 2주년…깊어진 갈등과 사업 난항
http://www.sisajeju.[...]
시사제주
2017-11-10
[66]
뉴스
투자이민제 도입… 가격 껑충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6-06-25
[67]
뉴스
"부실한 제2공항 용역 재검토하라", 시민단체 꼽은 7가지 문제점
http://www.headlinej[...]
헤드라인제주
2016-11-30
[68]
뉴스
국토부, 제주 제2공항 건설 놓고 헛발질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7-12-20
[69]
뉴스
"제주 제2공항 부지 선정 이면에 국토부-대한항공 커넥션(?) 있나"
http://www.jejudomin[...]
제주도민일보
2015-12-02
[70]
뉴스
난개발에 지친 제주도민 "제2공항 하지 말자"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7-09-27
[71]
뉴스
제2공항 건설보단 현 제주공항 확장 요구…지지 정당·후보 무관 한목소리
https://news.naver.c[...]
뉴스1
2018-05-14
[72]
뉴스
정석비행장 탈락 이유는 오름 때문
http://www.jejudomin[...]
제주도민일보
2016-01-07
[73]
뉴스
제주 오름 싹둑 잘라 제2공항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7-07-21
[74]
뉴스
원희룡, 토론회서 '제2공항 건설 반대 주민'에 폭행당해
https://news.naver.c[...]
JTBC
2018-05-14
[75]
뉴스
중국남방항공, 3년 만에 '제주~다롄' 직항 재운항
https://www.news1.kr[...]
뉴스1
2023-08-04
[76]
웹인용
Donghai Airlines adds Nantong – Jeju service from late-March 2019
https://www.routeson[...]
2019-03-06
[77]
웹인용
Loong Air Schedules Ningbo – Jeju late-April 2023 Launch
https://www.aerorout[...]
2023-04-11
[78]
웹인용
Xiamen Airlines adds Fuzhou – Jeju service from late-Jan 2024
https://www.aerorout[...]
2023-01-04
[79]
웹인용
JUNEYAO AIRLINES ADDS BEIJING – JEJU SERVICE FROM JULY 2023
https://www.aerorout[...]
2023-05-19
[80]
웹인용
ROYALAIR PHILIPPINES NS23 JEJU OPERATIONS
https://www.aerorout[...]
2023-04-11
[81]
뉴스
대한항공 대구-제주 노선 29일부터 운항
https://news.kbs.co.[...]
KBS
2023-10-19
[82]
뉴스
사천-제주 하늘길 3년 5개월 만에 다시 뚫렸다…신규 노선 취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10-13
[83]
뉴스
대한항공 여수~제주 노선 29일부터 재개…여수공항 12→14편
https://www.news1.kr[...]
뉴스1
2023-10-04
[84]
뉴스
이스타항공, 이달 26일부터 김포~제주 뜬다…하루 12회 운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3-07
[85]
뉴스
이스타항공, 10월 1일부터 군산~제주 노선 재취항
https://www.jjan.kr/[...]
전북일보
2023-09-06
[86]
뉴스
이스타항공, 8월부터 청주∼제주 노선 운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6-13
[87]
뉴스
무안공항 국내 정기 노선 운항 재개
https://news.kbs.co.[...]
KBS
2024-04-01
[88]
뉴스
진에어, 무안·울산 등 5개 제주 노선 대상 항공권 할인
https://www.ebn.co.k[...]
EBN
2024-03-27
[89]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2020-01-20
[90]
뉴스
제주공항 환승공항 자리잡아
https://news.naver.c[...]
제주일보
2004-10-29
[91]
뉴스
제주공항 환승수입 짭짤하네
https://news.naver.c[...]
제주일보사
2005-02-28
[92]
뉴스
원동항공 항공기운항 중단..제주 관광객 유치 비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5-15
[93]
뉴스
제주~김포(서울),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공 노선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3-04-18
[94]
뉴스
Top flights - Where are the world's busiest airline routes?
http://www.economist[...]
Economist
2012-05-14
[95]
웹사이트
300 world 'super routes' attract 20% of all air travel, Amadeus reveals in new analysis of global trends
http://www.amadeus.c[...]
2013-04-16
[96]
뉴스
내년 제주 직항 국제노선 취항 항공사에 손실보전금 지원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1-11-11
[97]
뉴스
국제선 지원 확대된다
http://www.jemin.com[...]
제민일보
2012-12-21
[98]
뉴스
中항공사는 맘대로 제주 취항…국내업체는 군침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