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천 청풍 한벽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천 청풍 한벽루는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보물 제528호 누각이다. 고려 시대에 청풍군 승격을 기념하여 건립되었으며, 조선 시대 3대 누각 중 하나로 꼽힌다. 1972년 홍수로 유실되었으나 복원되었고,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청풍문화재단지로 이전되었다. 주열, 김정, 송시열 등의 현판과 하륜, 송처관 등의 기문이 전해지며, 현재는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천시의 문화유산 - 배론성지
    배론성지는 신유박해 이후 천주교 신자들이 찾던 성지로, 황사영 백서 집필 토굴, 한국 최초 신학교, 최양업 신부 묘 등을 통해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와 신앙의 자유, 한국 천주교 성립과 발전의 역사적 의미를 보여준다.
  • 제천시의 문화유산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충청북도의 보물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충청북도의 보물 - 두시언해
    두시언해는 두보의 시를 번역한 것으로, 조선 성종 때 초간본이 간행되었으며, 한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총 52부로 구성되어 있다.
  • 충청북도의 누정 - 강선대
    강선대는 고양시 대화동 금강 기슭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곳으로, 신선이 놀던 곳이라는 전설과 조선 시대 문인들의 시가 전해지며, 여씨 문중에서 건립한 6각정이 있다.
  • 충청북도의 누정 - 여의정
    여의정은 1935년 밀양 박씨 종중이 솔밭 안에 지은 팔작지붕 형태의 정자로, 일제강점기 민족의식 고취와 문중 결속력 강화 목적으로 건립되어 현재는 지역 문화 공간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제천 청풍 한벽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제천 청풍 한벽루
(堤川 淸風 寒碧樓)
(Hanbyeongnu Pavilion in Cheongpung, Jecheon)
유형보물
지정 번호528
지정일1971년 1월 8일
주소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읍리)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국유
수량1동
문화재청 ID12,05280000,33

2. 위치

원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읍리 203-1번지(구 청풍도호부 관아 소재지)에 위치했었다.[1] 1985년 충주댐 수몰로 인해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청풍문화단지 내로 옮겨졌다.[1]

3. 명칭

'한벽루'라는 명칭은 풍혈의 차가운 바람((寒))과 수혈의 푸른 물((碧))에서 유래되었다.[2]

4. 구조

한벽루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중층 팔작지붕 건물로, 서쪽에서 누각으로 오를 수 있도록 정면 1칸, 측면 3칸의 측랑(側廊)이 붙어 있다. 누각의 공포(栱包)는 이익공(二翼工) 양식이고 측랑은 초익공(初翼工) 양식이며, 누각은 부연(浮椽)이 있는 겹처마이지만 측랑은 부연이 없는 홑처마이다. 누각의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연등천장이지만, 동쪽 합각 밑을 가리기 위해 우물천장을 일부 설치하였다. 밀양 영남루, 남원 광한루와 함께 조선시대 3대 누각 중 가장 간결하고 단아한 외관을 갖추었다.[3]

5. 연혁


  • 주열(?~1287)이 한벽루 제영(題詠)을 창작하기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4]
  • 1317년(고려 충숙왕 4년) 청풍 출신 혼구(1251~1322)가 충숙왕의 왕사로 책봉되고, 청풍군 승격을 기념하여 중창되었다.[5]
  • 1406년 청풍군수 정수홍이 중수하였다.[6]
  • 1634년 청풍군수 권경이가 개창하였다.[7]
  • 1839년 청풍부사 현인복이 중수하였다.[8]
  • 1849년 청풍부사 이휘재가 중수하였다.[9]
  • 1870년 청풍부사 이직현이 중수하였다.[10]
  • 1900년경 군내 유지들이 수축하였다.[11]
  • 1950년 6.25 전쟁으로 난간과 계단이 파괴되었으나, 1956년에 보수되었다.[12]
  • 1971년 1월 8일 보물 제528호로 지정되었다.[13]
  • 1972년 8월 19일 대홍수로 유실되었으나, 1976년 4월에 복원되었다.[14]
  •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이건되었다.

6. 현판 및 기문

주열이 한벽루 제영(題詠)을 창작하기 이전에 건립되었으며,[4] 이후 여러 차례 중수 및 개창되었다. 1317년 충숙왕의 왕사였던 청풍 출신 혼구가 청풍군 승격을 기념하여 중창하였고,[5] 1406년 청풍군수 정수홍,[6] 1634년 청풍군수 권경이,[7] 1839년 청풍부사 현인복,[8] 1849년 청풍부사 이휘재,[9] 1870년 청풍부사 이직현이 각각 중수하였다.[10] 1900년경 군내 유지가 수축하였고,[11] 1950년 6.25 전쟁으로 파괴된 것을 1956년 보수하였다.[12]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13] 1972년 대홍수로 유실되었다가 1976년 복원,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이전되었다.[14]

6. 1. 현판

제천 청풍 한벽루 현판 목록
현판명작가비고
청풍한벽루(淸風寒碧樓)송시열액자[17]
제영(題詠)주열(朱悅), 김정(金淨)판제[15]
청풍한벽루(淸風寒碧樓)박필문(朴弼文)8분액자,[18] 청풍부사 역임
제일강산(第一江山)김수증(金壽增)4자[19] 청풍부사 역임
만고청풍한벽루(萬古淸風寒碧)미상6자[20]
한벽루(寒碧樓)김도근(金度根)대액자,[21] 청풍부사 역임
청풍한벽루(淸風寒碧樓)김정희6자[22]


6. 2. 기문


  • 1450년 청풍군수 송처관(宋處寬)의 한벽루기(寒碧樓記)[23]
  • 1406년 하륜(河崙)의 한벽루기(寒碧樓記)[24]
  • 1634년 이준(李埈)의 한벽루기(寒碧樓記)[25]
  • 1695년 청풍부사 이현석(李玄錫)의 한벽루기(寒碧樓記)[26]
  • 1814년 홍의영(洪儀泳)의 한벽루 대청 상량문[27]

7. 현황

1972년 홍수로 한벽루 관련 현판은 모두 유실되었으나, 송시열의 현판과 하륜의 기문은 복원되어 게시되었다.

8. 문화재 안내문

보물 제528호 제천 청풍 한벽루는 청풍면 관아에 딸린 건물로, 고려 충숙왕 4년(1317)에 청풍현 출신 승려 청공이 왕사(왕의 스승)가 되면서 청풍현이 청풍군으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고자 세워졌다. 밀양 영남루(보물 제147호), 남원 광한루(보물 제281호)와 함께 조선 시대 누각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주는 건물로 꼽히며, 본채 옆에 작은 부속채가 딸려 있는 형태이다. 조선 시대의 많은 문인과 화가들은 한벽루에서 보는 빼어난 경치를 주제로 한시와 그림들을 남겼다.

1972년 8월 대홍수로 건물이 무너지고 현판들도 모두 떠내려갔으나, 1975년에 본래 모습대로 다시 지어졌다. 원래 청풍면 읍리에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마을이 물에 잠기자 이곳으로 옮겨졌고, 송시열이 쓴 현판은 사진을 보고 다시 만들어졌다.

8. 1. 국문

보물 제528호 제천 청풍 한벽루는 청풍면 관아에 딸린 건물로, 고려 충숙왕 4년(1317)에 청풍현 출신 승려 청공이 왕의 스승인 왕사가 되면서 청풍현이 청풍군으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고자 세운 누각이다. 본채 옆에 작은 부속채가 딸려 있는 형태로, 밀양 영남루(보물 제147호), 남원 광한루(보물 제281호)와 함께 조선 시대 누각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주는 건물로 꼽힌다. 한벽루에서 보는 경치가 매우 빼어나서 조선 시대의 많은 문인과 화가들이 한벽루를 주제로 한시와 그림들을 여러 편 남겼다.

1972년 8월 대홍수로 건물이 무너지고 현판들도 모두 떠내려가 1975년에 본래 모습대로 다시 지었다. 원래는 청풍면 읍리에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마을이 물에 잠기자 이곳으로 옮겼고, 송시열이 쓴 현판은 사진을 보고 다시 만들었다.

8. 2. 영문



Treasure No. 528영어

이 누각은 고려 시대(918-1392)에 청풍이 현에서 군으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지어졌다. 1317년 이 지역 출신의 승려 청공이 왕사(王師)로 임명되면서 청풍의 행정적 지위가 승격되었다.

이 누각은 1972년 대홍수로 붕괴되어 1975년에 재건되었다. 1985년에는 충주댐 건설로 인해 청풍문화재단지로 이전되었다. 누각은 계단식 목재 바닥이 있는 확장된 날개가 특징이다.

건물 정면에 걸린 현판은 1972년 홍수로 분실된 후 새로 제작되었다. 원래 현판에는 조선 시대(1392-1910)의 저명한 유학자이자 문신인 송시열(1607-1689)이 쓴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조선 시대에 사대부와 화가들은 남한강 지역으로 여행을 떠났고, 한벽루와 그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 시와 그림을 포함하여 많은 문학 작품과 그림을 제작했다.

9. 갤러리

참조

[1] 서적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 2013
[2] 서적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3] 간행물 문화재청
[4]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
[5] 서적 고려사
[6] 서적 충청도읍지 청풍
[7] 서적 충청도읍지 청풍
[8] 서적 제천군지 1969
[9] 서적 제천군지 1969
[10] 문서 팔영루중수비 1969
[11] 서적 제천군지 1969
[12] 서적 제천군지 1969
[13] 간행물 문화재청
[14] 간행물 문화재청
[15] 서적 청풍부읍지(淸風府邑誌)
[16] 서적 여지도서
[17] 서적 청풍군읍지
[18] 서적 청풍군읍지
[19] 서적 청풍군읍지
[20] 서적 청풍군읍지
[21] 서적 청풍군읍지
[22] 간행물 문화재청
[23] 서적 여지도서
[24] 서적 동문선(동문선)
[25] 서적 충청도읍지 청풍
[26] 서적 유재집(游齋集)
[27] 간행물 내제문화(제12집) 2000
[28] 서적 조선환여승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