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트 (천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트는 전파은하, 퀘이사 등 활동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력한 플라스마 분출 현상이다. 수천에서 수백만 광년에 달하는 길이를 가지며, 자기장 뒤틀림에 의해 시준되어 발생한다는 가설이 있다. 제트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 이온화된 물질의 빔으로, 블랙홀의 회전에 의해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여겨지며, 블랜포드-즈나이엑 과정과 펜로즈 과정이 에너지 추출의 주요 이론으로 제시된다. 중성자별, 별 형성 과정에서도 제트가 관측되며, 일부 퀘이사의 제트는 초광속 운동처럼 보이기도 한다. M87, 센타우루스자리 A, 3C 66B, SS433 등 다양한 천체에서 제트가 관측되었으며, 감마선 폭발 발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성간 분자 구름 속에서 별이 만들어지기 시작할 때, 성간 물질은 중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진다. 처음에는 모든 방향에서 모이지만, 점차 질량이 집중된 곳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원반 모양의 가스 구름을 형성한다. 이때 가스가 수축하는 중심부에서는 원시별이 태어난다. 수축이 여러 곳에서 동시에 일어나면 쌍성이 형성되기도 한다.
퀘이사에서 관측되는 제트 중 일부는 광속을 넘는 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천체를 초광속 퀘이사라고 부른다. 이는 제트 자체의 운동 속도와 퀘이사의 고유 운동이 조합되어 나타나는 효과이다.
M87: 타원은하로, 중심의 거대 블랙홀에서 나오는 상대론적 제트가 허블 우주 망원경의 가시광선[26] 및 초대형 배열의 전파 영역에서 관측되었다.[24] 국립천문대 미즈사와 VLBI 관측소의 국제 연구팀은 이 제트의 초광속 운동을 관측하고 있다.[24]
[1]
논문
A Review of Astrophysical Jets
https://pos.sissa.it[...]
2015
2. 상대론적 제트의 정의 및 특징
'''상대론적 제트'''(relativistic jeteng)는 활동은하(전파은하, 퀘이사 등)의 중심에 있는 무거운 천체나 중성자별, 항성블랙홀 등에서 발생하는, 극단적으로 강력한 플라스마 분출 현상이다.[26] 이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 이온화된 물질의 빔 형태를 띤다.
제트의 길이는 수천 광년에서[27] 수백만 광년까지[28][2] 이를 정도로 매우 길다. 제트의 속도는 빛의 속도에 매우 근접하는데, 예를 들어 미세퀘이사로 불리는 SS433의 제트는 빛의 속도의 약 0.26배(0.26c)에 달하고,[9] 감마선폭발과 관련된 제트는 로렌츠 인자가 약 100 (빛 속도의 약 0.99995배)에 달하는 등[10],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빠른 천체 현상 중 하나로 꼽힌다.
제트의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특수 상대성 이론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상대론적 분사출(relativistic beaming) 현상으로 인해 관측 방향에 따라 제트의 겉보기 밝기가 크게 달라진다.[8] 또한, 일부 퀘이사의 제트에서는 초광속 운동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제트 자체의 빠른 속도와 천체의 고유 운동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겉보기 현상이다. M87 은하 중심 블랙홀에서 나오는 제트에서도 이러한 초광속 운동이 관측된 바 있다.[24]
제트의 형성은 강착원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뒤틀림이 중심 천체의 회전축을 따라 물질을 분출시키는 과정으로 설명되기도 한다.[29][30] 하지만 정확한 형성 메커니즘과 제트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해서는 아직 학계에서 많은 논쟁이 진행 중이다.[31][11] 현재로서는 제트가 전자, 양전자, 양성자가 섞인 전기적으로 중성인 혼합물이거나,[12][13][14] 혹은 양전자-전자 플라스마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3. 상대론적 제트의 형성 원리
'''상대론적 제트'''(relativistic jet영어)는 전파은하나 퀘이사와 같은 일부 활동은하 중심의 거대 천체에서 분출되는 매우 강력한 플라스마 흐름이다.[26] 이 제트의 길이는 수천 광년[27]에서 수백만 광년[28]에 달할 수 있다.
상대론적 제트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가설은 중심 천체 주변에 형성된 강착원반에서 자기장이 뒤틀리고, 이 자기장이 중심 천체의 회전축을 따라 물질 분출을 유도하고 정렬시켜(시준하여) 강착원반의 양쪽 면에서 제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26] 만약 이 제트가 지구를 향하고 있다면, 상대론적 분사출 효과 때문에 실제보다 훨씬 밝게 관측될 수 있다.
제트의 형성과[29][30] 그 구성 물질[31]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학계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다. 현재로서는 제트가 전자, 양전자, 그리고 양성자가 섞인 전기적으로 중성인 상태의 플라스마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유력하다.
이러한 제트 현상은 활동은하핵뿐만 아니라, 중성자별이나 항성블랙홀 주변의 강착원반에서도 훨씬 작은 규모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미세퀘이사라고 부른다. SS433과 같은 미세퀘이사에서는 빛의 속도의 23%(0.23''c'')에 달하는 제트가 관측되기도 했다.
상대론적 제트는 감마선폭발 발생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 제트들은 로렌츠 인자가 ~100(대략 빛의 속도의 0.99995배)에 달하며, 현재까지 알려진 천체 현상 중 가장 빠른 것들에 속한다.
제트를 형성하고 방출하는 데에는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 에너지의 근원으로는 주로 회전하는 블랙홀이 지목된다. 블랙홀의 에너지가 어떻게 제트로 전달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블랜포드-즈나이엑 과정과 펜로즈 과정이 제안되었다.[32][15][33][16]
3. 1. 에너지원
상대론적 제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에너지의 주요 원천으로는 회전 블랙홀이 지목되고 있다.[32][15] 블랙홀의 에너지가 어떻게 제트로 전달되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이론이 경쟁하고 있다.
첫 번째는 블랜포드-즈나이엑 과정으로, 강착원반 주변의 자기장이 블랙홀의 회전에 의해 영향을 받아 에너지가 전달된다고 설명한다.[32][15] 두 번째는 펜로즈 과정으로, 틀 끌림 현상을 통해 회전하는 블랙홀로부터 직접 에너지를 추출하는 방식이며, 이후 이론적으로도 제트 형성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33][16][34][17][35][18]
하지만 제트를 동반하는 고에너지 천체 현상이 자주 관측되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에너지 공급 메커니즘은 이 두 이론 외에도 강착 원반 자체의 에너지나 X선 방출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랙홀이 주변의 별이나 성간물질을 빨아들일 때 강착 원반이 형성되며, 이와 함께 원반의 회전축 방향으로 물질이 초고속으로 분출되는 제트 현상이 관측되기도 한다.
3. 1. 1. 블랜포드-즈나이엑 과정
블랜포드-즈나이엑 과정은 회전 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가장 대중적인 이론 중 하나이다.[15] 이 과정에서는 중심 블랙홀 주변 강착원반의 자기장이 블랙홀의 회전에 의해 끌려가면서 꼬이게 된다. 이렇게 꼬인 자기력선이 강하게 조여지면서, 이 힘을 통해 상대론적 물질이 방출되는 것으로 설명된다.[15] 이는 상대론적 제트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막대한 에너지가 어떻게 블랙홀로부터 제트로 전달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주요 메커니즘으로 여겨진다.
3. 1. 2. 펜로즈 과정
''펜로즈 과정''[33]은 틀 끌림 현상을 통해 회전 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이론이다. 이 과정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하는 중력자기력 효과와 관련이 있다. 이후 레바 케이 윌리엄스는 상대론적 입자가 이 메커니즘을 통해 에너지와 운동량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했으며,[34] 이는 상대론적 제트가 형성되는 가능한 과정 중 하나로 여겨진다.[35]
3. 2. 강착원반과의 관계
별간 물질 등이 블랙홀에 흡수될 때, 종종 블랙홀 주변에는 강착원반이라고 불리는 원반 모양의 구름이 만들어진다. 천체물리학 제트의 형성은 이 강착원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나의 가설에 따르면, 강착원반에서 자기장이 뒤틀리면서 중심 천체의 회전축을 따라 물질 분출이 집중되고, 특정 조건 하에서는 강착원반의 양면에서 제트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26] 제트가 방출되는 데 필요한 막대한 에너지는 회전하는 블랙홀 자체에서 나오거나, 혹은 강착원반 내의 에너지 및 생성 과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강착원반에서 발생하는 X선 방출은 이러한 제트 형성 메커니즘과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6]
블랙홀에서 제트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이론으로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이러한 제트 현상은 활동은하핵이나 퀘이사뿐만 아니라, 중성자별이나 항성블랙홀 주변의 강착원반에서도 관측된다. 이러한 작은 규모의 제트 시스템은 미세퀘이사라고 불린다.
3. 3. 중성자별에서의 제트
중성자별에서도 제트가 관측될 수 있다. 예시로 펄서 IGR J11014-6103은 현재까지 은하수에서 관측된 가장 큰 제트를 가지고 있으며, 속도는 빛의 속도의 80% (0.8''c'')로 추정된다. X선 관측이 이루어졌지만, 전파 신호나 강착원반은 감지되지 않았다.[19][20]
처음에 이 펄서는 빠르게 회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이후 측정 결과 회전 속도는 15.9 Hz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21][22] 이러한 느린 회전 속도와 강착 물질의 부재는 제트가 회전이나 강착에 의해 구동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제트는 펄서의 회전 축과 정렬되어 있고 펄서의 실제 운동과는 수직으로 보인다.
4. 별 형성 시 제트
가스 구름의 회전 중심부로 끌려온 물질 중 일부는 원반과 수직인 양방향으로 제트 형태로 분출된다. 이 제트의 속도는 초속 약 10km 정도로 추정된다.
이러한 가스 제트 분출 현상의 예시로 허빅-하로 천체(Herbig-Haro object, HH)가 있다. 허빅-하로 천체는 주로 암흑 성운 주변에서 발견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HH 30, HH 34, HH 47 등이 있다.
5. 초광속 운동
국립천문대 미즈사와 VLBI 관측소의 국제 연구팀은 M87 은하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에서 나오는 고에너지 플라스마 제트의 초광속 운동을 관측하고 있다[24].
6. 관련 천체
센타우루스자리 A: X-선 이미지에서 상대론적 제트가 관측된다.
3C 66B: 허블 유산 보관소의 근UV 이미지에서 상대론적 제트가 관측된다.
SS433: 미세퀘이사의 일종으로, 평균 속도 0.26c의 제트가 관측된다.[9] 다른 미세퀘이사들은 훨씬 더 빠른 제트를 가지기도 한다.
감마선폭발: 상대론적 제트의 형성은 감마선폭발 발생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로 여겨진다.[10] 이 제트들은 약 100 정도의 로렌츠 인자를 가지며, 이는 거의 0.99995c에 해당하는 속도로,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빠른 천체 현상 중 하나이다.
상대론적 제트는 활동 은하, 전파 은하, 퀘이사의 중심 블랙홀뿐만 아니라, 은하 내의 중성자별, 항성블랙홀, 펄서와 같은 더 작은 규모의 천체에서도 발견된다.[6][7][2] 예를 들어, 은하 NGC 3862나 원시별 형성 영역인 HH 24-26에서도 제트가 관측된다.
참조
[2]
논문
A Uniform Description of All the Astrophysical Jets
https://pos.sissa.it[...]
[3]
논문
A rapidly changing jet orientation in the stellar-mass black-hole system V404 Cygni
https://eprints.soto[...]
2019-04
[4]
논문
A review of Astrophysical Jets
[5]
웹사이트
Star sheds via reverse whirlpool
http://www.astronomy[...]
2015-05-26
[6]
웹사이트
Hubble Detects Faster-Than-Light Motion in Galaxy M87
http://www.stsci.edu[...]
1999-01-06
[7]
웹사이트
Evidence for Ultra-Energetic Particles in Jet from Black Hole
http://news.yale.edu[...]
Yale University – Office of Public Affairs
2006-06-20
[8]
논문
Simulations of Jets Driven by Black Hole Rotation
https://cds.cern.ch/[...]
[9]
논문
Jet Velocity in SS 433: Its Anticorrelation with Precession-Cone Angle and Dependence on Orbital Phase
https://www.research[...]
2021-01-15
[10]
논문
A wind environment and Lorentz factors of tens explain gamma-ray bursts X-ray plateau
2022-09-24
[11]
논문
Bulk Comptonization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by Extragalactic Jets as a Probe of Their Matter Content
[12]
논문
Pair Plasma Dominance in the Parsec-Scale Relativistic Jet of 3C 345
[13]
문서
Electron–positron Jets Associated with Quasar 3C 279
http://pc.astro.bran[...]
[14]
웹사이트
Vast Cloud of Antimatter Traced to Binary Stars
http://www.nasa.gov/[...]
NASA
2008-01-09
[15]
논문
Electromagnetic extraction of energy from Kerr black holes
[16]
논문
Gravitational Collapse: The Role of General Relativity
[17]
논문
Extracting X-rays, Ύ-rays, and relativistic e−e+ pairs from supermassive Kerr black holes using the Penrose mechanism
[18]
논문
Collimated Escaping Vortical Polar e−e+Jets Intrinsically Produced by Rotating Black Holes and Penrose Processes
[19]
웹사이트
Chandra :: Photo Album :: IGR J11014-6103 :: June 28, 2012
http://chandra.harva[...]
[20]
논문
A closer view of the IGR J11014-6103 outflows
[21]
논문
The long helical jet of the Lighthouse nebula, IGR J11014-6103
http://www.aanda.org[...]
[22]
논문
Discovery of X-ray Pulsations from the INTEGRAL Source IGR J11014-6103
[23]
웹사이트
Pair of huge plasma jets spotted blasting out of gigantic black hol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10-03
[24]
웹사이트
日韓合同電波望遠鏡群で探る巨大ブラックホールジェット 〜見えてきた「超光速噴出流」の現場〜
https://www.miz.nao.[...]
国立天文台
[25]
문서
http://www.astronomy[...]
[26]
저널
광일 규모의 AGN에서의 상대론적 제트 구조는 무엇인가?
http://www.nrao.edu/[...]
2009-02-11
[27]
문서
M87 은하에서 빛보다 빠른 운동을 관측한 허블
http://www.stsci.edu[...]
1999-01-06
[28]
문서
블랙홀에서 나온 제트의 초고에너지 입자에 대한 증거
https://web.archive.[...]
2006-06-20
[29]
문서
상대론적 제트 형성에 관한 이론과 시뮬레이션: 미세퀘이사 및 거대퀘이사에 대한 통합모형에 관하여
http://arxiv.org/abs[...]
2003
[30]
문서
블랙홀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공급된 제트에 관한 시뮬레이션
http://www.sciencema[...]
2004-08-13
[31]
문서
질량구성 탐사로써 외부은하 제트에 의한 우주배경복사의 대규모 콤프턴 산란
http://arxiv.org/abs[...]
2005
[32]
간행물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77
[33]
간행물
중력붕괴: 일반상대성이론의 역할
1969
[34]
저널
펜로즈 과정을 이용한 초대질량 커 블랙홀으로부터의 X-선, 감마선, 그리고 상대론적 e−e+쌍 추출
[35]
문서
본질적으로 회전 블랙홀과 펜로즈 과정에 의해 발생한 시준되어 탈출하는 수직 쌍극 e-e+ 제트
http://arxiv.org/abs[...]
2004-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